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1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2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3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4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5
  • 6
Learn More
AI in E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machine learning  efforts are already   a big part of   ongoing
research in all 6 divisions - Computer, Communication, Signal,
Wave, Circuit and Device - of KAIST EE 

  • 6
  • 6
Learn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Highlights

2023 이융 강의실 명명식7

2023년 6월 26일 4시 이융 강의실로 명명될 N1 201호에서 이융 교수님과 가족들을 비롯하여 100여분의 교수님들을 모시고 “이융 강의실 명명식”을 진행하였습니다. 

 

이광형 총장님을 비롯, UNIST 이용훈 총장님, 문재균 공대학장님, 정송 AI대학원장님, 그리고 포항공대, 고려대, 연세대, 서강대 등 전국에 계신 교수님들을 포함하여 카이스트의 많은 교수님들과 이융 교수님의 제자들이 참여해주셨습니다. 명명식은 100명규모의 강의실 뒷편에 자리를 구하지 못한 많은 분들이 서서 행사에 참여할 정도로 성황을 이루었습니다. 

 

강준혁 학부장님 사회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는 이융 교수님의 업적을 되돌아보고, 그동안 이융 교수님이 KAIST와 학부에 기여하신 모든 부분에 대하여 나누고 감사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특히 문재균 공대학장님은 이융 교수님의 카이스트와 공대에 대한 기여를 말씀하신 후 “이융” 이라는 제목의 자작시를 낭송하셨고, 많은 분들에게 감동과 웃음을 주셨습니다. 신진우 교수님은 이융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전문가의 입장에서 조명하여 주셨고, 정송 원장님은 20년 지기로서 이융 교수님과의 첫 만남부터 지금까지의 이야기와 이융 교수님이 컴퓨터 디비전 체어로서의 기여를 말씀해주셨습니다. 

 

KAIST, UNIST 총장님 두 분의 메시지와 Mung Chiang 퍼듀대 총장님, 전 과학기술부 장관이신 최양희 한림대 총장님의 격려 메시지, 여러 교수님들의 영상편지, 그리고 100여명의 청중의 사랑과 존경이 담긴 박수는 지난 3년여간 암투병을 하고 계신 이융 교수님에게 큰 힘과 희망이 되었습니다. 

 

이융 교수님은 행사 이후에 “너무 너무 너무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저에게 아주 큰 추억을 주셨고, 아이들에게도 좋은 기억을 많이 심어주셨어요. 다시한번 너무 감사드리고 사랑합니다”라고 감사의 메시지를 남겨주셨습니다. 

 

강준혁 학부장님께서는 “학부 교수님들의 발전기금 쾌척으로 모인 소중한 기금은 앞으로 이융 강의실 레노베이션에 쓰일 것”이라고 행사에서 공표하셨고, 이에 학부에서는 종합적인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여 공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1 강의실을 “이융 강의실”로 명명하는데 흔쾌히 동의를 표해주신 전산학부와 전산학부 류석영 학부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다시 한 번 많은 교직원과 학교 모든 구성원의 참여에 감사드리고, 이융 교수님의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2023 이융 강의실 명명식7

 

2023 이융 강의실 명명식10

2024학년도  봄학기 입학 대학원 신입생 모집과 관련하여 KAIST 대학원입학팀에 제출하는 서류 이외에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행정팀에 직접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안내드립니다.

 

첨부의 파일을 다운로드 하시어  내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신입생 석·박통합과정 지원자의 경우 지원 시에 지도예정교수님을 적극적으로 찾아보시고, 해당 교수님 TO와 관련하여 면담하신 후에 지원하시기를 적극적으로 권장합니다.

* 서류 제출 해당자의 경우 이메일 제출도 가능합니다. (자필 서명된 서류 스캔본으로 제출가능)

* 문의 및 제출처 :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행정팀(E3-2, 1212호) 김태연 barbie1975@kaist.ac.kr(T.042-350-3402)

 

2023학년도 가을학기 석사과정/전문석사과정 랩배정 안내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석사과정/전문석사과정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023학년도 가을학기 석사과정/전문석사과정 신입생의 랩배정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 아 래 =

 

  1.  랩 배정 기간: 6. 16.() – 6. 30.()까지

           학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교수진, 실험실, 연구분야 등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습득

           (학부 홈페이지 : https://ee.kaist.ac.kr)

       

    2. 국비 T/O 현황: 국비석사TO

     

    3. KAIST 장학생 및 일반장학생 배정: 홈페이지 구성원-교수님현황 참조하 시어 자유롭게 면담 (교수님T/O제한없음)

 

  1.  산학프로그램 장학생: 각 산학프로그램 홈페이지의 현재 참여교수님을 확인하여 지도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EPSS 홈페이지: http://epss.kaist.ac.kr/contents/people/people_010100.jsp

 

  1. 연구실 배정 방법: 원하는 교수님과 면담 후 첨부의 양식에 서명을 받아서 지도예정교수님 참조하여 이메일 제출

 

  1. 제출서류: 2023. 6. 30(금)까지

       (1) 연구실 확정이 된 경우 : “[첨부1] 신입생 연구실 배정 확정서” 제출

       (2) 연구실 확정이 안 된 경우 : “[첨부2] 지도교수 배정 신청서” 제출

 

    7. 랩배정 결과 발표: 7월14일(금) 17시 이후, 학부 홈페이지 공지사항(www.ee.kaist.ac.kr)

 

    8. 담당자: 전기및전자공학부 사무실(E3-2, 1212호실)

                  김태연(042-350-3402, barbie1975@kaist.ac.kr )

 

 

2

전기및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 연구실, 맥신 나노기술로 세탁가능한 투명 플렉시블 OLED 개발

 

2 3 1

 

– 최경철 교수 연구팀, 6시간 세탁에도 견디는 2D 맥신 전극을 활용해 방수성 투명 플렉시블 OLED 개발
– 환경적으로 견고한 고수명의 맥신 기반 OLED 디스플레이 개발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패션, 의료,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성 및 파급력 기대
 
 
3
 
자동차 디스플레이, 바이오 헬스케어, 군사 및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약간의 변형에도 쉽게 깨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은나노와이어, 전도성 고분자 등 많은 투명 플렉시블 전도성 소재에 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 연구팀이 나노종합기술원 이용희 박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맥신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물에 노출돼도 뒷배경을 보이며 빛을 발광하는 방수성 투명 플렉시블(유연) OLED 개발에 성공했다. 
 
2차원 맥신(MXene) 소재는 높은 전기 전도도와 투과도를 보이고 용액공정을 통한 대규모 생산성 등의 매력적인 특성을 가진 전도성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대기 중 수분이나 물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쉽게 열화되기 때문에 고수명의 전자장치로 활용되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로 인해 정보 표시가 가능한 매트릭스 형태로의 시스템화 단계까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었다. 
 
최경철 교수 연구팀은 수분이나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전략을 통해 환경적으로 견고한 고수명의 맥신 기반 OLED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수분에 의한 맥신의 전기적 특성 열화 메커니즘을 분석하는데 주목했고, 다음으로 인캡슐레이션 박막을 설계하는 데 주목했다. 
 
연구팀은 수분을 차단하고 잔류응력 상쇄 기술을 도입하여 유연성을 주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이중층 구조로 인캡슐레이션 박막을 설계했다. 더불어, 물속에서도 열화없이 세탁이 가능하도록 최상부에 수십 마이크로(μm) 두께의 얇은 플라스틱 필름을 부착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연구팀은 햇빛 비추는 실외디스플레이 조건인 실외에서도 사람의 눈으로 밝기 인식이 가능한 정도로 1,000 cd/m2 이상의 휘도(밝기)를 내는 적색(R)/녹색(G)/청색(B)의 맥신 기반 OLED를 개발했다. 적색 맥신 기반 OLED의 경우, 2,000시간의 대기보관수명(70% 휘도유지), 1,500시간의 대기 구동수명(60% 휘도유지), 1.5mm 수준의 낮은 곡률 반경에서 1,000회 이상을 견디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6시간 동안 물안에 넣어 놓아도 그 성능이 유지되었다(80% 휘도유지). 더불어, 패터닝(patterning) 기술을 활용해 맥신 기반 OLED를 수동 매트릭스(passive-matrix)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글자나 모양 표시가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시연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최경철 교수 연구팀의 정소영 박사과정은 “맥신 OLED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이에 적합한 인캡슐레이션 구조 및 공정 설계에 집중했다”며 “맥신 OLED를 매트릭스 타입으로 제작해 간단한 문자나 모형을 표시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분야에 맥신이 응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최경철 교수는 “이번 연구가 맥신의 다양한 전자소자로의 응용에 가이드라인이 될 뿐 아니라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패션, 기능성 의류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의 OLED 기술과의 격차를 벌리기 위해서는 이러한 새로운 OLED 융합 신기술이 계속 개발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경철 교수 연구팀의 정소영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주도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IF 18.0)’에 지난 4월 5일 字로 온라인 게재됐으며, 전면 표지 논문(Front Cover)으로 6월 13일 字로 게재됐다. (논문명: Highly Air-Stable, Flexible, and Water-Resistive 2D Titanium Carbide MXene-Based RGB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for Transparent Free-Form Electronics)
 
언론보도 :
1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상현교수 연구실 국송현 박사과정생이 2023 International Memory Workshop (IMW)에서 Best Student Paper를 수상했다. 
 
IMW는 반도체 메모리기술에 관한 기술개발을 다루는 국제학회로 30%내외의 채택률 (올해 29%)을 보이는 경쟁력 있는 학회로
올해는 미국 Monterey에서 개최되었다.
 
국송현 학생의 논문은 기존의 강유전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해 P-Channel을 이용한다는 발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P-Channel 강유전 전계효과트랜지스터가 우수한 성능의 차세대 NAND 플래시메모리 후보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이 가치를 인정받아 IMW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또한, 국송현 학생은 지난주에 열린 VLSI symposium on Technology and Circuits에서도 차세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강유전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구조 설계 방법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1 3
 
– 학 회 명: 2023 International Memory Workshop (IMW)
– 개최기간: 5월 21-24일 (Monterey, CA, US)
– 수 상 명: Best student paper award
– 저      자 : 국송현, 한재훈, 김봉호, 김준표, 김상현 (지도교수)
– 논 문 명: Proposal of P-Channel FE NAND with High Drain Current and Feasible Disturbance for Next Generation 3D NAND 
 
 
2 3
 

1 2

 

– 나노 스케일에서의 새로운 광 결합 메커니즘 발견

– 빛을 반도체 칩 안에 가두고 제어하는 광반도체 소자의 집적도 100배 이상 향상

– 집적 광학 회로를 기반으로 하는 양자 기술 및 라이다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집적 광학 반도체(이하 광반도체)는 빛을 나노 스케일의 반도체 구조물에 가두고 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컴퓨터와 같은 기존의 전자 기기들이 전자의 흐름을 이용했다면, 광반도체 소자는 전자 대신 광자(빛의 양자 단위)를 제어하고 이를 활용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라이다(LiDAR) 및 양자 센서·컴퓨터와 같은 복잡한 광학 시스템을 하나의 작은 칩으로 만들어 줄 수 있어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이다.

김상식 교수 연구팀은 광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10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광 결합 메커니즘을 개발했다.

 

김상식 교수가 교신저자로 주도하고 미국 텍사스 공과대학 재직 당시 지도하던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라이트: 사이언스 앤 어플리케이션(Light: Science & Applications)’ [IF=20.257]에 6월 2일 字에 게재됐다. (논문명: Anisotropic leaky-like perturbation with subwavelength gratings enables zero crosstalk). 하나의 칩당 구성할 수 있는 소자 수의 정도를 집적도(集積度)라고 하는데, 집적도가 높을수록 많은 연산을 할 수 있고 공정 단가 또한 낮춰준다.

 

기존의 반도체 기술에서 5나노, 2나노 등의 단위로 얼마나 작게 만드느냐가 관건인데, 광반도체 소자에서도 집적도를 높이는 것은 성능, 가격, 에너지 효율 등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광반도체 소자의 직접도를 높이기는 매우 어려운데, 이는 빛의 파동성으로 인해 근접한 소자 사이에서 광자 간에 혼선(crosstalk)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김상식 교수는 광반도체의 집적도에 있어서 전문성과 연구 업적을 인정받는 연구자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반도체 구조물을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패턴화하여 빛이 옆으로 퍼지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무손실 메타물질(all-dielectric metamaterial)을 개발하였고, 이를 실험을 통해 입증하여 광반도체 집적도에 있어서 세계적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Nature Communications 9, 1893 (2018)’와 ‘Optica 7, 881-887 (2020)’에 보고되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에서 NSF 커리어 어워드(NSF Career Award)와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에서 젊은과학기술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특정 편광에서만 빛의 혼선을 줄여줄 수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새로운 광 결합(coupling) 메커니즘의 발견으로 기존에는 불가능이라 여겨졌던 편광 조건에서도 집적도를 높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김상식 교수는 “이번 연구가 흥미로운 점은 기존에는 오히려 빛의 혼선을 크게 해줄 거라고 여겨졌던 누설파(leaky wave, 빛이 옆으로 잘 퍼지는 특성을 가짐)를 통해 역설적으로 혼선을 없애준 점이다”라며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누설파를 이용한 광 결합 방법을 응용한다면 더욱 작고 노이즈가 적은 다양한 광반도체 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2

 

언론보도 :

연합뉴스 : KAIST, 광반도체 소자 집적도 100배 높이는 기술 개발 | 연합뉴스 (yna.co.kr) 

이데일리 : 양자컴 활용 광학 반도체 연구해 소자 집적도 100배 높였다 (edaily.co.kr) 

2 4

전기및전자공학부 강준혁 교수 연구실 안성준 박사과정 IEEE BMSB 2023 학술대회에서 ‘Best Student Paper’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강준혁 교수 연구실 안성준 박사과정 학생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IEEE BMSB 2023 학술대회에서 Best Student Paper
(최우수 학생 논문상)을 수상했다.
 
IEEE BMSB(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Broadband Multimedia Systems and Broadcasting) 학술대회는 IEEE의 방송기술분과(Broadcast Technology Society)에서 개최하는 권위 있는 학술행사로, 방송기술 분야에 특화된 세계 최대 규모 학술대회다. 
 

2 4

       안성준 박사과정                  강준혁 교수님

 

안성준 박사과정 학생 연구(논문명: Adaptive Modification of Fading Channel Models for Terrestrial SFN Environments)는 2세대 지상파방송 시스템이 기본 채택하고 있는 단일주파수망(SFN)의 성능 분석에 필수적인 채널 모델을 제공하는 연구로, 실측 기반 채널 모델을 확장하여 수신 환경에 적응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변형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해당 연구는 세계 각국의 지상파방송 및 통신 표준화와 기술 개발, 성능 분석에 폭넓게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안성준 학생은 “앞으로도 활발한 국제 협력을 통해 좋은 연구 성과를 만들어가겠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2 3

1 2

[조강민 박사과정, 권용휘 박사, Pervaiz Kareem 박사, 신영수 교수 왼쪽부터]
 

– 수 상 명: 2022 IEEE TSM Best Paper Award – Honorable Mention

– 논문제목: Integrated Test Pattern Extraction and Generation for Accurate Lithography Modeling

– 저     자: 조강민, 권용휘, Pervaiz Kareem, 신영수 교수 (지도교수)

– 저 널 명: IEEE Transaction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영수 교수 연구실 조강민 박사과정과 권용휘 박사 (Synopsys), Pervaiz Kareem 박사 (IMEC)가 IEEE Transaction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SM)에서 2022년 ‘Best Paper Award (BPA) – Honorable Mention’상을 수상하였다.
 
BPA – Honorable Mention은 일 년 동안 해당 저널에 실린 100여편의 논문들 중 3편만이 선정된다.
 
특히 권용휘 박사와 신영수 교수는 2021년에 해당 저널에서 BPA (단 1편에 시상)를 수상함으로써, 2년 연달아 BPA – Honorable Mention을 수상하는 쾌거를 올렸다.
 
TSM은 IEEE Electron Devices Society (EDS)에서 출간하며, 전자 소자와 시스템의 manufacture관련 최신 이론과 응용을 다루는 가장 권위있는 저널이다.
 
2 2
6

1

 
– 플래시 전용 온-칩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SSD 시스템 반도체 개발로 차세대 고성능 SSD 시장 우위 선점 기대
– 기존 시스템 대비 최대 31배 응답시간 줄이고, 수명 23% 늘려
– 인공지능 연구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알고리즘 성능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최근 인공지능을 훈련하기 위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해지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주요 저장장치인 고성능 SSD(Solid State Drive, 반도체 기억소자를 사용하는 저장장치) 제품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고성능 SSD 제품일수록 SSD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서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결합형(tightly-coupled) 구조의 한계에 부딪혀 성능을 극대화하기 어려웠다. 
 
김동준 교수 연구팀이 고성능 조립형 SSD 시스템 개발을 통해 차세대 SSD의 읽기/쓰기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뿐 아니라 SSD 수명연장에도 적용 가능한 SSD 시스템 반도체 구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김동준 교수 연구팀은 기존 SSD 설계가 갖는 상호-결합형 구조의 한계를 밝히고, CPU, GPU 등의 비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설계에서 주로 활용되는 칩 내부에서 패킷-기반 데이터를 자유롭게 전송하는 온-칩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SSD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 전용 온-칩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성능을 극대화하는 상호-분리형(de-coupled) 구조를 제안했으며, 이를 통해 SSD의 프론트-엔드 설계와 백-엔드 설계의 상호 의존도를 줄여 독립적으로 설계하고 조립 가능한 ‘조립형 SSD’를 개발했다.
 
※온-칩 네트워크(on-chip network): CPU/GPU등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에 쓰이는 칩 내부의 요소에 대한 패킷-기반 연결구조를 말한다. 온-칩 네트워크는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를 위한 필수적인 설계 요소중 하나로서 반도체칩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더욱 중요해지는 특징이 있다.
 
김동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조립형 SSD 시스템 구조는 내부 구성요소 중 SSD 컨트롤러 내부,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기점으로 CPU에 가까운 부분을 프론트-엔드(front-end), 플래시 메모리에 가까운 부분을 백-엔드(back-end)로 구분하고, 백-엔드의 플래시 컨트롤러 사이 간 데이터 이동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전용 온-칩 네트워크를 새롭게 구성해, 성능 감소를 최소화하는 상호-분리형 구조를 제안했다.
 
SSD를 구동하는 핵심 요소인 플래시 변환 계층의 일부 기능을 하드웨어로 가속하여 플래시 메모리가 갖는 한계를 능동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상호-분리형 구조는 플래시 변환 계층이 특정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에 국한되지 않고, 프론트-엔드 설계와 백-엔드 설계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설계의 용이성을 가지는 점이 ‘조립형’ SSD 구조의 장점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 시스템 대비 응답시간을 31배 줄일 수 있었고 SSD 불량 블록 관리기법에도 적용해 약 23%의 SSD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지호 박사과정이 제1 저자,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는 컴퓨터 구조 분야 최우수 국제 학술대회인 `제50회 국제 컴퓨터 구조 심포지엄(50th IEEE/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 Architecture, ISCA 2023)’에서 6월 19일 발표될 예정이다. (논문명: Decoupled SSD: Rethinking SSD Architecture through Network-based Flash Controllers).

연구를 주도한 김동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의 SSD가 가지는 구조적 한계를 규명했다는 점과 CPU와 같은 시스템 메모리 반도체 중심의 온-칩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해 하드웨어가 능동적으로 필요한 일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차세대 고성능 SSD 시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며, “상호-분리형 구조는 수명연장을 위해서도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SSD 구조로써 그 가치가 성능에만 국한되지 않아 다양한 쓰임새를 가진다며”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컴퓨터 시스템 저장장치 분야의 저명한 연구자인 KAIST 정명수 교수와 컴퓨터 구조 및 인터커넥션 네트워크 (Interconnection Network) 분야의 권위자인 김동준 교수, 두 세계적인 연구자의 융합연구를 통해 이루어낸 연구라는 의미가 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2 2

 

언론보도
 

 

공지사항

MORE

학부일정

세미나

날짜:

1.15(월), 10시 30분~

연사:

박현주 대표(인포웍스)

장소:

E3-2 우리별세미나실

[2024 Fall Regular Track]
Global EPSS Program
Application Guide

[전기및전자공학부
전임교원 채용]

[2024 Fall Regular Track]
Global EPSS Program
Application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