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1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2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3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4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5
  • 6
Learn More
AI in E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machine learning  efforts are already   a big part of   ongoing
research in all 6 divisions - Computer, Communication, Signal,
Wave, Circuit and Device - of KAIST EE 

  • 6
  • 6
Learn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Highlights

IMG 5264c
KAIST는 현대자동차와 ‘고속 자율주행 기술 연구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2월 23일 체결했다.
심현철 교수팀과 체결한 이번 계약은 현대차가 KAIST에 연구비를 지원하고, KAIST는 고속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된 전문 지식과 경험 등을 공유하고 홍보에 협조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2월 23일(목), 경기도 화성시 롤링힐스 호텔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현대차 성낙섭 상무와 KAIST 심현철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및 연구진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성낙섭 현대자동차 연구개발경영기획실장(상무)는 “이번 파트너십을 토대로 고속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가 고속 차량뿐 아니라 일반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성과 성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세계 무대에 도전장을 내민 KAIST 심현철 교수팀의 고속 자율주행 기술 연구에 힘을 보태겠다”고 덧붙였다.
 
심현철 교수는 “2010년부터 국내 자율주행대회를 계속 개최하고 여러 대학의 연구를 지원해 국내 자율주행 기술 저변 확대를 위해 힘쓰고 있는 현대자동차의 후원을 받게 되어 영광이다”라고 말하며 “향후 이탈리아와 미국에서 개최되는 대회에서는 이번 지원에 힘입어 더욱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IMG 5264c
 
image01
– CES 2023 자율주행대회에 참가하는 KAIST 레이싱 팀 (팀장: 나성원, 팀원: 문성우 남현욱 류찬회 강재영)
 
 
image02
– 2021년 10월 23일, Indy Autonomous Challenge에 참가한 9개 팀. (KAIST 팀은 앞열 오른쪽)
 
 
 

전기및전자공학부가 제29회 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금년에도 ‘대학부문 최다 수상학과’로 선정되었다.

제 29회를 맞이한 휴먼테크논문대상은 삼성전자가 주최하며, 1994년 이래로 과학기술 분야의 우수한 인력을 발굴하기 위해 선정하는 논문상이다.

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는 개별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개인상 이외에 우수한 성과를 나타낸 대학 및 고교(급)에는 특별상을 수여한다.

‘대학부문 최다 수상학과’로 선정되면 부상으로 1천만원의 상금을 받는다. 

 

해년마다 전기및전자공학부가 최다 수상학과로 선정되고 있으며, 올해 금상 등 9편의 수상논문이 선정되었다.

수상내역은 아래와 같다.

 

분과 수상 주저자 공저자1 공저자2 공저자3 지도교수 논문제목
Circuit Design 금상 양제 김재영 임석빈 이석진 김주영 JNPU: A 1.04 TFLOPS Joint-DNN Training Processor with Speculative Quantization and Triple Heterogeneity
Circuit Design 은상 김상진 이지용 엄소연 조우영 유회준 DynaPlasia: An eDRAM In-Memory Computing-based Re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with Triple-mode Cell
Circuit Design 동상 이민수 채종윤     문건우 A PWM Resonant Converter with Near-Zero-Ripple Input Current and High Efficiency for Fuel Cell Applications
Circuit Design 동상 한동현 류준하 김상엽 김상진 유회준 MetaVRain: A 133mW Real-time Hyper-realistic 3D NeRF Processor with 1D-2D Hybrid Neural Engines for Metaverse on Mobile Devices
Communication & Networks 은상 김재홍 이윤헌 임휘준 정영목 한동수 Co-optimizing for Flow Completion Time in Radio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 Networks 동상 김재한 유명성     신승원 Heimdallr: Fingerprinting SD-WAN Control-Plane Architecture via Encrypted Control Traffic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은상 김태현       박경수 Rearchitecting the TCP Stack for I/O-Offloaded Content Delivery
Physical Devices & Processes 동상 이용복 김태수 이소영   윤준보 Sub-10 fJ/bit Radiation-hard Nanoelectromechanical Non-volatile Memory
Signal Processing 장려상 신욱철 이경현     권인소 Spectral-Invariant Monocular Depth Estimation 
6

명현 교수 연구실에서 ‘제18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KRoC 2023)’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다.

 

-학술대회명18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KRoC 2023)

-일시: 2023/2/15 ~ 18

-장소강원도 휘닉스 평창

-참석인원: 1,400

 

6

 

[포스터 일반 부문 우수논문상]

제목특징선 기반 SLAM을 위한 소실점 정보의 Loss 함수 개발

저자임현준·명현

부상상금 20만원

 

[RED Show 일반 부문 우수상]

제목전장 상황에서의 무인정찰을 위한 자율비행 드론

저자이응창·Aswin Nahrendra·최준호·이승현·명현

부상상금 20만원

 

[RED Show 학부생 부문 우수상]

제목: B2Bot Biomimetic Beetle Robot Capable of Walking and Flying

저자이준·이준석·최덕규·명현

부상상금 20만원

 

30840 66623 2435

[수상사진_포스터 일반 부문 우수논문상]

 

30840 66626 2435

[수상사진_ RED Show 일반 부문 우수상]

 

30840 66625 2435

[수상사진_ RED Show 학부생 부문 우수상]

 

-관련 기사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840

-관련 기사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843

 

5
5
 
[유회준 교수, 조병진 교수] 
 

유회준 교수는 반도체 분야 세계적 권위자로 256메가 SD램을 세계 최초 개발하고, AI 반도체 개발의 근간을 마련했다. 그는 AI 반도체를 구현하기 위한 심층신경망(DNN)이 업계 관심을 모으기 전부터 관련 연구를 매진했다. 지능형 시각 프로세서, 신경망처리장치(NPU), 뉴로모픽 프로세서 발전에 공헌했다. 구체적으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뉴런 신경망’을 모방한 네트워크를 지능형 시각 프로세서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과 컴퓨팅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 사물인식과 자연어 처리 등에 필수적인 DNN을 기반으로 NPU를 개발, 저전력 AI 반도체 시장의 지평을 열었다. 유회준 교수는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19년 국제고체회로학회(ISSCC)에서 아시아인 최초로 기조연설을 맡은 바 있다.

또 기업과 학계가 협력, 차세대 메모리로 불리는 프로세싱인메모리(PIM) 기술 발전을 주도하기 위해 ‘PIM반도체설계연구센터’를 지난해 설립했다. 

 

조병진 교수는 반도체 소프트브레이크다운(SBD) 현상을 최초로 발견하고 그 기제(매커니즘)를 밝혀냈다. 소프트브레이크다운은 반도체 게이트 절연막에 누설 전류가 흐르는 절연 파괴 현상이다. 트랜지스터 핵심 요소인 게이트 절연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반도체 기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조병진 교수는 고유전체 연구 분야 세계적 권위자다.

고유전체는 기존 실리콘산화물 절연막을 대체,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는 물질로 수요가 늘고 있다.

조병진 교수는 고유전체를 처음으로 전하트랩형 메모리에 적용하는 등 반도체 발전에 기여했다. SK하이닉스와 주성엔지니어링 등과 함께 고유전체를 적용한 D램 제품 개발에도 공헌했다. 반도체 분야 논문은 600편이 넘는다. 

참고로 ‘강대원상’의 고 강대원 박사는 현재 반도체 트랜지스터 대세로 자리잡은 ‘금속산화막반도체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반도체 트랜지스터 미세화와 대량 생산에 공헌했다. 또 낸드 플래시 메모리 핵심 기술인 플로팅 게이트 개발에도 기여했다. 

전기및전자공학부 2023년 봄학기 콜로퀴움을 진행하오니,

구성원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날짜: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3월 9일부터 6월 8일까지)

장소: 비대면 원격강의

         (줌 링크는 포스터의 QR코드 참고)

* 콜로퀴움 출석 인정 횟수는 6회입니다.

2023콜로키움 포스터봄학기02 2 2

4

1.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

<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 >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과 국가 중요 시설에서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드론을 추락시키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안티드론 기술은 드론의 다양한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안티드론 기술의 평가장이 되고 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 연구팀이 도심에서 사용이 가능한 협대역 전자기파*를 원격에서 드론의 회로에 주입해 드론을 즉각적으로 무력화하는 안티드론 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 기존에 사용되는 광대역 전자기파을 이용한 안티드론 기술은 주변의 전자·전기 장치에 피해를 일으켜, 도심사용이 어렵다는 점을 개선하여 매우 좁은 대역의 협대역전자기파를 이용한 안티드론 기술은 목표 드론 기종에만 그 효과를 한정할 수 있게 해준다. 

 

김 교수 연구팀은 드론 제조사의 제어 유닛 보드가 전자파 주입에 따른 민감도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각 제조사별 수집된 민감도를 극대화한 주파수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매우 좁은 대역의 협대역전자파를 주입하더라도 원격에서 드론을 즉각적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기술의 특징은 이렇게 좁은 대역으로 특정 주파수로 전자파 주입을 할 경우 기존의 안티드론 기술과 달리, 주변 전자 장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도심에서도 적용 가능한 안티드론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같은 제어 유닛 보드를 사용하는 드론들을 이용한 군집 드론 공격 시 이들 드론을 동시에 추락시킬 수 있다.

즉, A 기종을 사용하는 100개의 적 드론과 B 기종을 사용하는 100개의 아군 드론이 동시에 비행하고 있을 때 아군 드론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100개의 적 드론을 모두 격추시킬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된다.

 

images 000058 image1.jpg 7

< 사진 1. 안티드론 기술 시연 모습 >

 

KAIST  장준하 연구원과 조만기 연구원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보안최우수학회 중 하나인 `NDSS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심포지움 2023에 채택됐다.

(논문명 : Paralyzing Drones via EMI Signal Injection on Sensory Communication Channels) 

 

드론의 구동을 위하여 관성 계측 장치(IMU)는 다양한 센서값들을 제어 유닛 보드에 전달을 한다. 제어 유닛 보드는 이 센서값들을 제어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다음 번 드론의 움직임, 즉 로터의 회전수나 드론의 자세를 계산한다. 이 연구의 핵심 아이디어는 이 관성 계측 장치와 제어 유닛 보드 간의 통신을 방해시키면 제대로된 센서값을 받을 수 없고, 이 경우 다음 번 드론의 제어가 불가능해 진다는 것이다.

 

이 통신을 방해하기 위한 기술로 연구팀은 전자파 간섭(EMI) 취약점을 갖는 제어 유닛 보드에 대한 전자파 주입을 선택했다.

실험을 통하여 동종의 제어 유닛 보드는 같은 주파수의 전자파에 민감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협대역의 전자기파를 주입할 경우, 주변 전자 장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뿐 아니라, 군집 드론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점을 발견하였다.

 

1. 드론 무력화 기술의 원리

< 그림 1. 드론 무력화 기술의 원리 >

 

한편 김용대 교수 연구팀은 2015년 소리를 관성 계측 장치에 포함된 평형센서인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에 주입하여 드론을 떨어뜨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었다.

2015년 연구와 이번 연구는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2015년 연구는 달팽이관(정확히는 세반고리관)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인간이 평형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과 유사한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달팽이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달팽이관에서 뇌로 연결되는 신경망을 잠시 막을 경우에도 인간이 평형을 유지하기 힘든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연구팀은 실내 전자파 차폐 시설을 이용해 10m 거리에서 호버링 비행 중인 드론을 즉각적으로 추락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공격 거리와 요구 전력 간의 관계를 도출했다. 10m 이상의 거리에 대해선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함을 확인했다.

 

 

1. 드론 무력화 기술 분류

< 표 1. 드론 무력화 기술 분류 >

 

공동 제1 저자인 장준하 연구원은 “드론 제어 유닛 보드의 전자파 간섭(EMI) 취약성을 이용하면 특정 영역의 드론들을 즉시 무력화하는 안티드론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ˮ며, “또한 이는 기존의 안티드론 기술이 가지는 주변 전자 장치에 대한 영향을 문제를 해결한 도심에서 적용 가능한 안티드론 기술이며 고도화 연구를 통해 자폭 드론, 집단 드론 공격 등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ˮ 라고 말했다. 

김용대 교수는 “원천 연구가 이제 끝난 시점이고 실용화 연구를 통해 실제 제품 개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확인이 필요하다”며, “추가로 제어 유닛 보드와 IMU 센서 간의 통신 회로 뿐 아니라 다른 회로의 취약점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무인이동체 보안을 위한 항재밍 및 무허가 무인이동체 탐지대응 기술 개발 사업과 정보통신기술기획원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사업 그리고 미 공군과학연구실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 링크:

1. 보안 최우수 학회 NDSS 논문 발표: 장준하, 조만기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제1저자로 NDSS 학회에 전자파를 이용한
안티 드론 기술이 채택되었고 이 내용이 SBS 8시 뉴스에 보도 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6OfVX04uCU&t=45s&ab_channel=SBS%EB%89%B4%EC%8A%A4

2. 안티드론 관련 SBS “그것이알고싶다”: 영공 침범 – 우리는 왜 북한 무인기를 막을 수 없었나 (10분 45초 – 14분 15초):
https://www.youtube.com/watch?v=A97hxxcC6_I&t=647s&ab_channel=%EA%B7%B8%EA%B2%83%EC%9D%B4%EC%95%8C%EA%B3%A0%EC%8B%B6%EB%8B%A4

3. 안티드론 관련 SBS “비디오머그”: 전쟁 승패를 좌우할 드론 킬러들, 어디까지 와 있을까? / 게임체인저 / 비디오머그:
https://www.youtube.com/watch?v=HHtP-GovymE&ab_channel=%EB%B9%84%EB%94%94%EC%98%A4%EB%A8%B8%EA%B7%B8-VIDEOMUG

(왼쪽부터 이용복 박사과정 학생,  윤준보 교수)
 

IEEE MEMS 학회는 MEMS 학계 및 산업에서 권위를 인정 받는 국제 학술 대회이다. 이용복 학생이 수상한 상은 제출된 총 636편의 학생 논문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거쳐 최종 20편을 선정하여 수여한 상이다. 선정된 논문은 “A Fast and Energy-Efficient Nanoelectromechanical Non-Volatile Memory for In-memory Computing” 으로 초고속, 초저에너지로 작동하는 나노 전자 기계식 비 휘발성 메모리 개발과 이를 이용해  In-memory Computing을 구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 학회명: The 36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IEEE MEMS 2023)

  • 일시 및 개최지: 2023. 1.15 – 2023. 1.19, 독일 뮌헨.

  • 수상 내역: Outstanding Student Oral Presentation Award Finalist

  • 수상자: 박사과정 이용복 (지도교수 윤준보)

  • 수상 논문: A Fast and Energy-Efficient Nanoelectromechanical Non-Volatile Memory for In-memory Computing

  • 수상 저자: 이용복, 강민호, 최판규, 김수현, 김태수, 이소영, 윤준보 (지도 교수) 

 

Outstanding Student Oral Presentation Award Finalist 상장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손영익 교수가 1월 24(화), ‘윤석열 대통령과 과학기술 영(young) 리더와의 대화’에 초대 받아 ‘양자과학기술 분야 전망과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날 행사는 차세대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4개 연구분야(AI, 양자, 바이오, 우주) 대표자를 초청한 자리로서, 손영익 교수는 양자 분야를 대표하는 과학자로 초대 받았다.

[오른쪽부터 첫 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 두 번째 손영익 교수]
 

용산 대통령실 누리홀에서 열린 ‘과학기술 영(young) 리더와의 대화’에 양자 분야 손영익(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AI 분야 전병곤(서울대)·김선주(연세대) 교수, 첨단바이오 분야 윤태영(서울대)·우재성(고려대) 교수, 우주 분야 윤효상(KAIST) 교수 등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분야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방안에 대해 물었고, 참석자들은 ‘인력의 중요성’을 첫 번째로 꼽았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이를 위해 우수 인력들이 모일 수 있는 해외 우수 연구기관을 유치하고, 기업의 직접적 수요가 없는 연구 분야에 대해서는 석·박사급 우수 인력들이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등의 의견이 제시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은 안보, 경제 등 모든 분야의 출발점”이라며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 지원하고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 등 주요국과 각 분야별로 역할을 분담하고, 이를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국제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 동석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는 “국가 연구개발(R&D) 자금이 제대로 집행돼 구체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개선하라”고 지시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교수님

[손영익 교수]
 
-Bio:
손영익 교수는 10년 이상의 양자컴퓨팅 및 통신 분야 연구 개발 경력을 보유한 양자정보 기술 분야 전문가로서,
현재 KAIST-Harvard 양자기술국제협력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양자정보과학기술은 기존의 고전정보 대비 보다 효율적인 연산, 보다 안전한 암호통신 등 정보처리기술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것이 기대되는 미래 유망 분야로 알려져 있다.
 
-관련링크 :
 

공지사항

MORE

학부일정

세미나

날짜:

1.15(월), 10시 30분~

연사:

박현주 대표(인포웍스)

장소:

E3-2 우리별세미나실

[2024 Fall Regular Track]
Global EPSS Program
Application Guide

[전기및전자공학부
전임교원 채용]

[2024 Fall Regular Track]
Global EPSS Program
Application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