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학부 배현민 교수가 4월 30일 학술문화관 정근모콘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년 ‘KAIST 리서치데이’에서 최고의 영예인 연구대상을 수상했다.
배 교수는 ‘AI를 통한 정량적 의료 영상 초음파 장비 연구개발 연구’에 관한 성과를 인정받아 이번 연구대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며, 이날 기념 강연을 통해 10여 년간의 연구 여정을 공유했다.
배 교수는 초음파 장비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상업화에 성공하지 못했던 정량적 초음파 기술을 실현해, 2024년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영상의학회(RSNA)에서 라이브 데모를 통해 그 기술력을 입증했다. 해당 기술은 기존 초음파 장비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될 수 있어, 조기 암 진단은 물론 폐, 간, 심장 등 주요 장기의 질환 진단에도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배 교수는 “정량적 초음파 기술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이 가능해져, 다양한 의료 분야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며, “앞으로도 이 기술이 인류의 의료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라며 연구에 대한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편, 올해 리서치데이에서는 ‘KAIST 2024년 대표연구성과 10선’에 권경하(요도 카테터 삽입 없이 방광 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이식형 생체전자 시스템), 유민수(uPIMulator: 범용 PIM 아키텍처를 위한 빠르고 유연한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교수가 선정됐다.
2025년 KAIST 14대 미래선도기술 대표연구성과에는 최준일 교수(카이랄 나노입자를 활용한 차세대 가시광 보안 통신 기술/차세대 통신 분야)와 유경식 교수(양자정보 광신호를 처리하는 실리콘 광집적회로/양자 분야)가 이름을 올렸다.
이광형 총장은 “세계 최초이자 세계 최고의 연구를 지향하는 KAIST는 오늘 리서치데이를 통해 우수 연구자들의 탁월한 성과를 함께 축하하며, 앞으로도 KAIST는 연구를 통해 국가와 인류사회에 기여하고, 혁신과 융합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연구기관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KAIST 리서치데이는 지난 2016년부터 매년 이어져 온 우리 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축제로, 연구개발(R&D) 성과를 공유하고 융합연구를 위한 연구자들의 교류를 활성화를 위해 마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