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1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2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3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4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5
  • 6
Learn More
AI in E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machine learning  efforts are already   a big part of   ongoing
research in all 6 divisions - Computer, Communication, Signal,
Wave, Circuit and Device - of KAIST EE 

  • 6
  • 6
Learn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최신현 교수팀
초저전력 차세대 상변화
메모리 소자 개발 성과
Nature 게재
Read more...
윤인수 교수 연구실 ‘팀 애틀랜타’, DARPA'AIxCC’ 결승 진출
Read more...
권경하 · 이상국 교수팀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개발
Read more...
명현 교수 연구팀 DreamWaQ & CAROS-H
CNN ‘Tech for Good’ 방송 출연
Read more...
RF/mmWave Devices & Systems
Read more...
Software Systems & Networking
Read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Highlights

241218 tj
황우현 이재준 증명사
<(왼쪽부터) 황우현 석사과정, 이재준 학부생>

 

우리 학부 조성환 교수 연구실의 황우현 석사과정 학생과 이재준 학부과정 학생이 12월 11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2024년 한국 대학생 반도체 회로설계 경진대회 시상식’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한국 대학생 반도체 회로설계 경진대회’는 반도체공학회의 주관으로, 전국 반도체 분야 대학생들의 IC 회로 설계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자 개최되며, 다수의 반도체 관련 기업의 후원을 받아 개최되었습니다.

 

시상식 기념 촬영 사진
<12월 11일 열린 시상식에서 이재준 학부생(왼쪽)과 황우현 석사과정>

 

수상한 작품의 제목은 ‘칩 스케일에서 동작 가능한 자기공명방식의 2-코일 무선통신 시스템’이며, 황우현 석사과정, 이재준 학부과정이 참여하였습니다.

 

해당 작품은 창의성, 난이도, 완성도를 기준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칩 스케일’에서 ‘자기공명방식의 2-코일 시스템’이라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채택한 점과, 무선통신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높은 완성도로 효과적인 설계를 수행한 점을 인정받아 대상을 수여했습니다.

오민택 학생 사진
오민택 박사과정, 최진석 교수 증명사진
<(왼쪽부터) 오민택 박사과정, 최진석 교수>

 

우리 학부 최진석 교수 연구실의 오민택 박사과정 학생이 12월 7일 IEEE Seoul Section에서 개최한 ‘2024 IEEE Student Paper Contest’에서 은상(Silver Award)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IEEE Student Paper Contest’는 IEEE Seoul Section에서 주최하는 행사로, 전기전자공학 전 분야에 걸친 우수 연구 논문을 발굴하고 학생들의 연구 역량을 평가하여 시상하는 권위있는 대회입니다. 이번 연도 대회에서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학생들은 2025 IEEE Region 10 학생 논문 대회에 참가할 자격이 부여됩니다.

 

‘2024 IEEE Student Paper Contest’에서 은상을 수상한 오민택 박사과정 기념사진
<‘2024 IEEE Student Paper Contest’에서 은상을 수상한 오민택 박사과정>

 

수상한 논문의 제목은 “Multi-RIS-Aided Beamforming Design for MU-MIMO Systems with Imperfect CSIT”이며, 해당 논문은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RIS를 활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현실적인 제약 조건을 고려한 빔포밍 설계 연구입니다. 오민택 박사과정 학생은 불완전한 채널 상태 정보 하에서 다중 RIS를 활용해 MU-MIMO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설계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전기전자공학 전 분야를 아우르는 학생들과의 경쟁 속에서, 무선 통신 분야의 연구 우수성을 인정받아 은상을 수상했습니다. 

241212 윤찬현 교수님 th
241212 윤찬현 교수님 main
<(왼쪽부터) 윤찬현 교수, 장진혁 박사과정>

 

우리 학부 윤찬현 교수 연구팀은 AI 안전에서 중요한 요소인 Machine Unlearning 에 대해 새로운 접근법으로 과거 가중치 예측 모델 InvWNN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문제가 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된 AI 모델에서 해당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기법들은 전체 훈련 데이터 접근을 요구하거나 성능 저하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가중치 히스토리를 학습해 과거의 가중치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사용해 점진적으로 데이터의 영향을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림 1 : 제안된 InvWNN의 Machine Unlearning 과정 및 Unlearning Trajectory>
<그림 1 : 제안된 InvWNN의 Machine Unlearning 과정 및 Unlearning Trajectory>

 

이 기술은 특정 데이터에 대한 Finetuning과 가중치 예측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문제가 되는 데이터를 점진적으로 제거한다. 특히, 해당 접근법은 잔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없이도 작동 가능하며, 다양한 데이터셋과 아키텍처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방법들과 비교했을 때 학습 데이터로부터 불필요한 지식을 정확히 제거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별다른 추가 절차 없이도 다양한 Task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제안된 방법을 통해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높은 정확도의 성능을 입증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머신 언러닝 기술의 실질적 응용 가능성을 크게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 결과는 내년 2월 미국에서 열리는 인공지능 분야 최우수 국제 학회 중 하나인 The 39th Annual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AAI 2025)에서 ‘Learning to Rewind via Iterative Prediction of Past Weights for Unlearning’라는 제목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교수님 TH
최준일 교수 시상식 사진
<최준일 교수>

 

우리 학부 최준일 교수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대학총장협회가 공동 주관하고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에서 후원하는 ‘제6회 차세대과학자상(IT 분야)’을 수상하였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https://kast.or.kr)은 2011년부터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의 후원으로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의 젊은 과학자를 선발·포상함으로써 21세기 국가 과학기술의 주역으로 육성하고자 에쓰-오일 시상 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은 만 45세 이하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박사과정 및 포닥 시기 발표 논문을 제외한 최근 10년 간 대표 연구논문 10편을 바탕으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최준일 교수는 기계학습을 활용한 통신 시스템 및 6G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우수한 연구 결과를 인정받아 2024년 12월 5일에 차세대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우리 학부는 2022년 이현주 교수, 2023년 정재웅 교수에 이어 2024년 최준일 교수까지 3년 연속으로 차세대과학자상(IT 분야)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김기업 TH 1
장은영 김기업 사진
<(왼쪽부터) 장은영 · 김기업 박사과정>
우리 학부 이현주 교수 연구실의 장은영 박사과정 학생과 김기업 박사과정 학생이 11월 21일 부산 아스티 호텔에서 개최한 ‘2024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대학원생 대상 포스터발표 세션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는 학술적 및 인적 교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20년 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수상한 논문의 제목은 ‘3D Organoid Multi-functional Monitoring Platforms for Real-time and Non-invasive Analysis’이며, 장은영 박사과정, 김기업 박사과정이 참여하였습니다.
 
 해당 학회의 4개 학술분과 (마이크로나노 유체, MEMS 센서 및 액츄에이터, MEMS 전자소자, 메디컬 MEMS) 중 메디컬 MEMS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우수논문상을 수여받았습니다.
김정호 교수 이미지

반도체 쌓고 구멍 뚫고…유별난 호기심이 ‘HBM의 아버지’ 낳았다 

김정호 교수 사진
<김정호 교수>

우리 학부 김정호 교수님의 인터뷰 기사가 11월 30일자 중앙일보 지면에 게재됐습니다. 

HBM 기본 구조를 창안하게 된 계기 및 연구자로서의 삶이 문답식으로 담겨있습니다. 

중앙일보 온라인 사이트에서 기사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온라인 사이트 바로가기  

(저작권 준수를 위해 기사 전문을 제공하지 않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정명수 교수 이미지 썸네일
과기부 장관상을 수상한 정명수 교수
<정명수 교수>

 

우리 학부의 정명수 교수님께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셨습니다.

 

정명수 교수님은 차세대 데이터센터 고속 연결 기술인 CXL(Compute Express Link) 기술 개발을 이끌며, 교원 창업을 통해 국가 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하고 젊은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11월 15일에 열린 2024 대한민국 디지털 혁신 시상식에서 이 표창을 수상하셨습니다.

 

교수님은 스토리지와 메모리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운영체제 및 컴퓨터 아키텍처 분야의 주요 학술대회(SOSP, OSDI, ISCA, MICRO, ASPLOS, HPCA, ATC, FAST, SC 등)에 논문을 발표하고, 국제 학술대회에서 총 131건의 논문을 공개하는 등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해 오셨습니다. 또한 SC, ISC, 삼성컨퍼런스, 북경대학교 등에서 진행한 기조연설/저명인사 초청 강연을 비롯해 다양한 국제 학술대회와 기관에서 발표하는 등 학계와 산업계에서 활발히 활동해 오셨습니다. 이 외에도, 교수님께서는 미국과 스위스의 국가 과제 선정위원회에 플래시 시스템 및 CXL 연구 관련 자문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연구의 국제적 가시성을 높이는 데 꾸준히 기여하고 있습니다.

 

image02
<정명수 교수가 개발한 CXL 기술: CXL IP 및 스위치 기반 시스템>

특히 CXL 기반 데이터센터 고속 연결 기술 분야에서는 연구개발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KAIST 교원 창업기업 파네시아를 설립하고, 데이터센터 기술을 포함한 캐시 일관성 관련 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계십니다. 2022년에는 USENIX 연례회의에서 CXL 2.0 스위치를 포함한 풀-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셨으며, 2023년 SC 전시회에서는 CXL 3.0/3.1 기술을 통합한 시스템을 선보였습니다. 최근에는 AI 서비스 가속을 위한 CXL 솔루션으로 2년 연속 CES 혁신상을 수상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능의 CXL IP(설계 자산)를 공개하는 등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발전을 이끌고 계십니다.

 

이번 수상은 그동안 교수님의 연구와 노력이 만들어낸 값진 성과로, 많은 분들과 함께 이루어낸 의미 있는 성취로 생각됩니다.

 

관련 기사
-전자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62515?sid=105
-ZDNet: https://zdnet.co.kr/view/?no=20241129151425
-헬로티: https://www.hellot.net/news/article.html?no=95892
-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95913?sid=101
-테크월드: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353

이현주 교수 인물사진 썸네일
이현주 교수 인물 사진
<이현주 교수>

 

우리 학부 이현주 교수가 2024년 대한치료초음파학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상은 치료 초음파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이룬 젊은 연구자를 격려하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만 43세 이하 연구자 중 한 명에게 수여되는 상입니다. 

 

대한치료초음파학회는 치료 초음파 기술의 학문적 발전과 기술 혁신을 목표로 설립된 학술 단체로 초음파를 활용한 진단 및 치료 기술의 연구와 임상 적용을 활성화하고, 관련 학문 분야 간의 융합과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치료 초음파는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해 조직을 자극하거나 병변을 치료하는 기술로, 암 치료, 신경 자극, 혈전 용해 등 다양한 의학적 분야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학회는 이러한 치료 초음파 기술의 학문적 기반을 강화하고, 연구자와 의료진 간의 협력을 지원함으로써 의료 기술의 발전과 환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현주 교수는 신경 인터페이스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를 수행하며, 양방향 신경 인터페이스 및 뇌질환 치료를 위한 비침습적 뇌 자극 기술을 초음파로 개발하는 데 주력해왔습니다. 이번 수상을 통해 이 교수는 치료 초음파 분야에서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으며, 차세대 리더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공지사항

MORE

학부일정

세미나

날짜:

October 14th, Mon 11am - 11:50am

연사:

Istvan Szerdahelyi(The Ambassador of Hungary to the Republic of Korea)

장소:

KI Building(E4), Matrix Hall(2nd Fl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