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1
  • 3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2
  • 3
Learn More
AI in E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machine learning  efforts are already   a big part of   ongoing
research in all 6 divisions - Computer, Communication, Signal,
Wave, Circuit and Device - of KAIST EE 

  • 3
  • 3
Learn More
Previous
Next

Highlights

[유민수 교수]

 

Google Research Scholar Award는 전 세계 대학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과학 및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신진 연구자들과 구글과의 협업을 촉진하고 장기적 협력 관계를 도모하기 위해 구글 본사에서 2021년에 신설한 프로그램이다.

유민수 교수는  학계에서 7년 미만으로 활동한 신진 연구자 자격으로 전 세계에서 선정된 총 78명의 신진 교원 수상자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Systems 분야에서 선정된 4명의 교원 중의 한 명으로 올해 수상을 하게 되었다.

국내 소재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는 3명이 선정되었으며, 이 중 유민수 교수와 본교 AI대학원 김범준 교수를 포함한 2명이 KAIST 소속이다.

 

유민수 교수는 ‘Co-Designing Hardware/Software Systems for Differentially Private Machine Learning’이라는 연구 주제로 수상을 하게 되었다.

최근 들어 ChatGPT로 각광받고 있는 LLM (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생성형 AI (Generative AI) 기술은 AI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 및 활용하여 AI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데이터센터로 전송 및 저장되는 와중에 유출되거나, 이를 기반으로 학습된 모델이 추론 과정에서 서비스 될 때에 학습에 사용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등 사용자 개인정보보호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수상의 기반이 된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기계학습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연구’는 대량의 데이터 사용이 필수적인 AI 모델 학습 과정에서, 개인 정보나 민감한 사용자 데이터가 AI 모델의 학습이나 추론 과정에서 유출되지 않는 AI 반도체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연구할 예정이다.

 

전체 수상자 명단 및 해당 수상에 관한 자세한 소식은 아래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research.google/outreach/research-scholar-program/recipients/?category=2023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는 학부생들의 진솔한 진로/진학 고민 상담을 위해 2023학년도 봄학기부터 무엇EE든 물어보살 행사를 기획하였습니다.

5월 22일에 개최된 2023-3회 무엇EE든 물어보살 행사는 약 20여명의 학생들과 학부장님, 부학부장님 및 소자, 신호 디비젼 교수님들을 모시고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특히 소자, 신호 관련 진로/진학 고민을 진솔하게 나눌 수 있는 기회여서 학생들에게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무엇EE든 물어보살 행사는 학생 여러분의 고민을 더욱 귀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CXL 3.0 기반 검색 엔진을 위한 AI 반도체를 개발하였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이미지 검색, 데이터베이스, 추천 시스템, 광고 등의 서비스들은 근사 근접 이웃 탐색(Approximate Nearest Neighbor Search, ANNS)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근사 근접 이웃 탐색 알고리즘을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할 때 필요한 데이터 셋이 매우 커 많은 양의 메모리를 요구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압축 방식과 스토리지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각각 낮은 정확도와 성능을 가지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메모리 확장의 제한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XL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였다. CXL은 PCI 익스프레스(PCIe) 인터페이스 기반의 CPU-장치 간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로, 가속기 및 메모리 확장기의 고속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CXL 스위치를 통하여 여러 대의 메모리 확장기를 하나의 포트에 연결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CXL을 통한 메모리 확장은 로컬 메모리와 비교하여 메모리 접근 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AI 반도체(CXL-ANNS)는 CXL 스위치와 CXL 메모리 확장기를 사용해 근사 근접 이웃 탐색에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할 수 있어 정확도와 성능 감소를 없앴다.

또한 근사 근접 이웃 탐색의 특징을 활용해 데이터 근처 처리 기법과 지역성을 활용한 데이터 배치 기법으로 CXL-ANNS의 성능을 한 단계 향상시켰다.

연구팀은CXL-ANNS의 프로토타입을 자체 제작하여 기존 연구들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CXL-ANNS는 기존 연구들 대비 평균 111 성능 향상이 있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92의 성능 향상을 보여줬다.

 

이번 연구는 미국 보스턴에서 오는 7월에 열릴 시스템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유즈닉스 연례 회의 `USENIX Annual Technical Conference, 2023’에 ‘CXL-ANNS’이라는 논문명(CXL-ANNS: Software-Hardware Collaborative Memory Disaggregation and Computation for Billion-Scale Approximate Nearest Neighbor Search)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해당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구실 웹사이트(http://camelab.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림1.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그림2. CXL-ANNS의 로고]

 

[그림3. CXL-ANNS 연구진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장준혁, 이승준, 석사과정 최한진, 박사과정 권미령, 배한여름, 교수 정명수]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 참조

[Link]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5259204i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525000225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technology/2023/05/25/4UW5LPX3WVARVIS3QBBICPINFM/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30525000092

 

2023학년도 가을학기 재입학 지원 관련 주요 사항

 

지원서류 접수

ㅇ 방법: 방문 또는 우편접수 ※ 학생 제출마감일(2023. 6. 15.) 도착분까지 접수함

ㅇ 주소: (우편번호 34141)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행정팀 E3-2, 1212호/학사과정: 전수연 선생님 앞, 대학원과정: 이주경 선생님 앞)

지도교수 의견

ㅇ 지원자가 지도교수와 연락하여 대면 또는 비대면 방식으로 면담

ㅇ 지도교수 의견서는 지도교수가 작성하여 학과사무실에 직접 제출

지도교수/학과장 서명

ㅇ 지원자는 재입학원(지원양식 1) 지도교수 및 학과장의 서명을 받은후 학과사무실에 제출

전과 지원

ㅇ 전과지원서(지원양식 5) 작성 및 본인/보증인 서명

ㅇ 현 지도교수 및 지도예정교수 모두 면담 실시

ㅇ 원 소속학과 지도교수와 학과장, 재입학 지원학과 지도예정교수와 학과장의 의견 및
서명을 받은 후, 전과지원서를 각 학과사무실에 제출

학과/전공 면담심사 방식: 대면 또는 비대면 면접

학사과정 학생정책처장 면담심사 방식: 대면 또는 비대면 면접

※ 교무처(학적팀)에서 대상자에게 개인 이메일을 통해 면담 안내 예정

. 재입학 대상 : 학사 및 석·박사과정 학생 중 자퇴, 제적자

 

. 재입학원 제출기한

1) 학생 제출기간: 2023. 6. 15.(목)까지 전기및전자공학부 행정팀에 제출 

 ▶ (우편번호: 34141)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행정팀 E3-2, 1212호/학사과정: 전수연 선생님 앞, 대학원과정: 이주경 선생님 앞)

2) 학과/전공 심사기간: 2023. 6. 16.(금) ~ 2023. 6. 30.(금)

3) 학과/전공 심사결과 학적팀 제출: 2023. 6. 30.(금)까지

. 재입학 신청 자격

1) 아래에 해당되는 자는 재입학을 신청할 수 없음

– (2008년 입학생까지) 재학연한 만료에 의하여 제적된 자

– (2009년 입학생 이후)재학연한 만료에 의하여 제적된 자 또는 재학연한을 연장한 후
제적 또는 자퇴자

2) 재입학은 자퇴 또는 제적일이 속하는 학기를 포함하여 2학기가 경과하여야함

 

. 재입학 신청 및 심의 절차

대상자의 재입학 지원

학과/전공 면담 심사

학생정책처장 면담심사(학사과정)

학사․연구심의위원회 심의

교학부총장 승 인

 

원 소속학과와 다른학과로 재입학 지원하는 경우

대상자의

재입학 지원

재입학 지원서류*를 각 2부 작성하여 원 소속학과 및 재입학 지원학과에 모두 제출

* 재입학원, 면학계획서, 지도교수의견서, 성적증명서 외 원 소속학과가 있는 학생이 다른학과로 재입학 지원 시 전과지원서, 학사과정 새내기과정학부 학생이 학과를 결정하여 재입학 지원 시 학과()지원신청서를 추가로 제출해야 함

학과/전공

면담심사

원 소속학과 및 재입학 지원학과 모두 심사

※ 단, 자퇴/제적 당시 학사과정 새내기과정학부 학생이 학과를 결정하여 재입학 지원하는 경우, 새내기과정학부의 학과심사는 생략함. 학과심사는 지원 예정 학과에서만 실시

학생정책처장 면담심사(학사과정)

학사․연구심의위원회 심의

교학부총장 승인

. 학과/전공에서의 재입학 심의 추천

1) 지도교수, 학과장/전공책임교수, 학과/전공내 교수1인을 포함한 3인으로 구성된

심의위원회 또는 학과/전공 관련위원회에서 지도교수의 의견서, 면학계획서 등을

참고하여 재입학 신청자의 수학능력여부, 잔여재학기간 내 졸업가능여부 등을 종합

심사하여 추천함

2) 다만, 학사과정 학생의 경우, 학생정책처장이 학과/전공에서 추천된 재입학지원자를

면담 심사하고 심사 결과를 학사·연구심의위원회에서 발표함

 

. 재입학지원서류

1) 재입학원 (지원양식 1) – 학생 제출

2) 면학계획서 (지원양식 2) – 학생 제출

3) 지도(예정)교수 의견서 (지원양식 3) – 지도교수 제출

4) 재입학심의 추천서(지원양식 4) – 학과제출

5) 성적증명서 – 학생 제출

6) 전과지원서 (지원양식 5) – 본인제출(원 소속학과와 다른학과로 재입학 지원 시)

7) 학사과정 학과(부) 지원신청서 (지원양식 6) – 본인제출(새내기과정학부 학생이 학과를
선택하여 재입학 지원 시)

※ 원 소속학과와 다른학과로 지원 시 해당서류를 각 2부씩 준비하여 원 소속학과 및 재입학
지원학과 모두에 제출해야 함

 

. 기타 재입학 관련사항

1) 기 취득한 학점은 별도의 인정 절차 없이 성적표에 기재된 모든 학점(성적)을

그대로 인정함

2) 재입학자의 졸업 이수요건은 처음 입학당시의 해당요건을 적용함

3) 재입학자의 재학기간은 각 과정에 처음 입학한 날로 부터 기산함

4) 학사경고에 의해 제적된 후 재입학한 학생이 재차 학사경고를 받을시 제적됨

5) 자격시험 불합격으로 인해 제적된 후 재입학한 학생은 재입학 후 휴학기간을

(1학기의 휴학기간은 제외) 포함하여 1년 이내에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하며,

이 기간이 경과하여도 합격 하지 못한 학생에 대하여는 제적

6) 재입학은 1회에 한하며 원 학년 이하에 허가 할수 있음

7) 재입학자의 납입금은 “납입금 징수규정”에 의거 납부하여야 함

붙 임: 1. 2023학년도 가을학기 각 과정 재입학 지원 안내 1부.

  1. 지원양식 1부.
안녕하세요. 
 
카이스트에서 이번 2023학년도 2학기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신입생 모집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 대학원에서는 최신 기술과 동향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혁신적인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을 전문적으로 배우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 부탁드리며, 신입생 모집 관련 정보는 하단 포스터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학년도 가을학기 [반도체공학대학원] 신입생 모집
 
정부의 반도체 인력양성사업과 연계하여 반도체 소자, 소재 및 패키징 분야에서 
초격차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낼 고급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고 현장중심 산학연 교류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반도체공학대학원이 설립되어 2023년 2학기부터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반도체공학대학원 2023년 2학기 입학 설명회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 드립니다. 

■ 온라인/오프라인 입시설명회

  ○시간: 2023년 5월 30일 화요일 오후 4시

  ○장소: KAIST 정보전자공학동 (E3-2) 2층 2201호 우리별세미나실

  ○온라인 참여: https://kaist.zoom.us/j/82798445312

   

             

 

  ○사전등록: https://forms.gle/9eGFXArkqjLpb2829

  

             

■ 문의처

  ○반도체공학대학원

     – Tel: 042-350-5407

     – E-mail: semicon@kaist.ac.kr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는 코로나 기간 이후 첫 학부장 및 랩대표간담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랩비조성 금지에 대한 당부를 시작으로 대학원생 휴식일수 보장, 기타 건의사항 등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2023학년도 가을학기 입학 대학원입시 면접 안내 

 

2023학년도 가을학기 전기및전자공학부대학원 입시 서류전형에 합격하신 것을 축하드리며 면접일정 안내 및 유의사항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1.대상자: 1단계 서류심의 합격자

 

  2.면접일: 석사,석박통합,전문석사과정 지원자: 5월 16일(화)

                박사,재학생석박통합과정 지원자    : 5월 17일(수)

 

  3.면접시간 및 면접대기장소(석사,박사지원자 동일)

     오전9시,정보전자동(E3-2빌딩) 우리별세미나실(2201호) 

 

  4.유의사항

      가. 신분증, 수험표 반드시 지참하셔야 면접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수험표 출력은 5월 12(금)까지만 가능

      나. 면접은 개별면접으로 진행되므로, 종료 시각은 개인별로 다릅니다.

           (사전에 개별 면접시각 확인 응대는 불가)

      다. 해외 체류중이거나 코로나19로 격리 중인 경우 비대면 면접 신청할 수 있으며,

           5월 12일(금) 까지만 접수 받습니다. (회신방법: 아래 이메일에 수험번호/성명/사유 기재 후 회신)

      라. 면접불참 시, 아래 메일로 사전에 반드시 연락 바랍니다.

 

  5.문의: barbie1975@kaist.ac.kr

 

  6.참고사항

      KAIST 찾아오는 길

      면접장소 오시는 길

학부일정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