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2024 LAB FAIR 웹게시용 1

2024 전기및전자공학부 LAB FAIR

 

2024 전기및전자공학부 LAB FAIR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많은 참석 바랍니다.

 

o 일 시 : 2024년 10월 2일(수) 오전 10시

o 장 소 : KI빌딩 퓨전홀 및 로비

o 지도교수 TO현황 확인

   1)국비 석사 TO 현황:  국비석사 TO 현황 링크

   2)KAIST 장학생 TO(정년후 교수임용): KAIST 장학생 TO현황(정년후 교수 임용) 링크

o 첨부의 서류를 반드시 다운로드하여 랩배정 관련한 안내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등

2024년 9월 전기및전자공학부 제2회 대학원 풋살대회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대학원 학생행사기획단에서 직접 기획한 행사로, 이번 대회 총 16팀이 참여하였고 “김상식, 정준선 교수님 “연구실 연합팀(주장 : 이형근)이 우승을 차지하였습니다.
대회에 많은 관심 가져주신 대학원생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있을 전기및전자공학부 대학원생 행사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등

2등

3등

1

안녕하세요,

전기및전자공학부 EE Externship프로그램 7기 (2024년 겨울학기) 모집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접수기간 : 2024년 9월 30일(월) ~ 2024년 10월 11일(금) 까지

 

2. 제출 서류 및 제출 방법 : 

    – EE Externship 7기 신청서(첨부 참조), 신청서 내 지원회사 우선순위 3순위까지 기재 필요

    – 성적표 (제출시점 기준 1달 이내 발급 기준) 

    – 제출 방법: 신청서 및 성적표를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kkmj20@kaist.ac.kr)

 

[2024학년도 겨울학기 EE Externship 프로그램 7기 운영 정보] 

 

1. 지원 가능 대상 : 전기및전자공학부 3학년 이상 학생 (이수학점 69학점 이상), 2025년도 전기및전자공학부 봄학기 석사 신입생

 

2. 7기 참여기업 리스트

모라이, 배럴아이, 북엔드, 알파카네트웍스, 잇다반도체, 코넥티브, 하이퍼엑셀 ( 총 7개 기업)

  상세내용은 첨부의 Externship_기업소개자료 참고

 

3. 추후 일정(상세 일정은 추후 변동될 수 있음. 담당자가 개별 안내 예정)

 – 10/21(월)  ~ 10/25(금) 중 하루: 1차 오리엔테이션 진행(추후 안내)

 – 11/4(월) ~ 11/15(금): 기업 면접 진행

 – 11/20 (수, 예정): 학생-기업 매칭 결과 공유

 – 2024/12/23(월) ~ 2025/02/21(금): 기업에 파견되어 업무 수행(약 9주) 

 

4. 기타 프로그램 상세 내용 및 참여기업 소개 자료는 첨부파일 참고

 

5.  문의처: 전기및전자공학부 행정팀 강명주(kkmj20@kaist.ac.kr, 042-350-8585)

5

전기및전자공학부 배현민 교수 연구실 이지민 석사과정,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 학회(fNIRS 2024) Poster Excellence Award 수상

Inline image 2024 09 27 10.48.45.675

<(왼쪽부터) 이지민 석사과정, 유성권 박사과정, 고범준 박사과정, Liang Yuqing 석사졸업생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배현민 교수 연구실의 이지민 석사과정 학생이 9월 11일부터 9월 15일, 영국 버밍엄 대학교에서 개최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 학회(fNIRS 2024)에서 Poster Excellence Award를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한 fNIRS는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학술대회이며, 뇌를 포함한 생체 조직의 기능적 특성을 이해하려는 기초 및 임상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학회입니다. 
 
수상한 연구 포스터의 제목은 “Fiber-less speckle contrast optical spectroscopy system using a multi-hole aperture method”이며, 이지민 석사과정, 유성권 박사과정, 고범준 박사과정, Liang Yuqing 석사졸업생이 참여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fNIRS 2024 Program Committee에 의해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Poster Excellence Award를 수여받았습니다.
 
이는 Scientific Excellence Awards중 하나로, 발표된 350개의 포스터 중 석/박사과정, 박사 후 펠로우를 대상으로 포스터나 프리젠테이션을 훌륭하게 수행한 참여자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Inline image 2024 09 27 10.45.16.005
      <상장 사진>
4

[전기및전자공학부 원인수 석사, 지정민 박사과정, 이동균 박사, 2024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수상]

IMID

<(왼쪽부터) 원인수 석사, 지정민 박사과정 학생, 이동균 박사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유승협 교수 연구실 원인수 석사 (‘24. 8 졸업), 박사과정 지정민 학생이 2024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에서 현장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동균 박사 (2024. 2 졸업)도 스트레쳐블 OLED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성과에 대해 김용배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는 매년 여름, 개최하는 디스플레이 분야 세계 2대 국제학회이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제주컨벤션센터 (ICC Jeju)에서 개최되었다.

 

지정민 박사과정생이 현장 발표를 한 포스터의 제목은 “Temperature-Dependent Dynamics of Triplet Excitons in MR-TADF OLEDs: Insights from Magneto-Electroluminescence Analysis” 로 산업통상자원부 혁신기술디스플레이혁신공정 사업 지원하에 삼성디스플레이와의 협력을 통해 수행되었다.

 

또한, 이동균 박사가 수상한 ‘김용배상 대상’은 당해년도 졸업한 디스플레이 분야 우수 졸업논문을 제출한 자 중 1명을 선발하여 IMID에서 시상하는 영예로운 상이다.

 

Best Paper Award

  <현장우수포스터상 사진>

 

<김용배상 대상 수상 사진>

3

이상민 박사 (노용만교수 연구실),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융합학부 조교수 임용

[이상민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2023년도 졸업생 이상민 박사(지도교수: 노용만)가 2024년 9월 1일 자로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융합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상민 박사는 “Associative Learning for Multimodal Representation under Ambiguous Pair Problems” 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박사 과정 동안 Multimodal Learning, Memory Learning 주제로 CVPR, ECCV, IEEE Trans on Image Processing 등 Top tier 학회 및 유수 학술지에 19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UIUC)에서 박사후 연구원(Postdoc)으로 수학을 하였다. Postdoc 기간 중에는 “Modeling Multimodal Social Interactions: New Challenges and Baselines with Densely Aligned Representations” 연구로 CVPR 2024에서 구두 발표(oral presentation)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상민 박사의 현재 주요 관심 분야는 Multimodal Learning, Social Artificial Intelligence이다.

2

권인소 교수 제38회 인촌상 수상자 선정

<권인소 교수 사진>
 
권인소 교수가 9일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가 주최하는 제38회 인촌상에서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는 일제강점기 암울한 시대에 동아일보와 경성방직을 설립하고 중앙학교와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를 통해 인재를 양성한 인촌 김성수 선생의 유지를 기리기 위해 1987년부터 인촌상을 제정해 시상하고 있다.
 
인촌기념회는 권인소 교수 선정과 관련, “1980년대 국내 불모지였던 로보틱스·컴퓨터비전 분야에 도전해 세계적인 연구 결과를 내놨다. 1세대 컴퓨터비전 연구자로 200여 명의 제자를 양성했고 인공지능(AI) 컴퓨터비전 분야의 기틀을 닦았다. 최근 인간의 주의 집중을 모사한 ‘어텐션’ 모델을 컴퓨터비전으로 확장했다. 영상 인식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인 ‘CBAM’ 알고리즘을 개발했고, 관련 논문은 2만 회가 넘는 압도적인 인용 횟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권인소 교수는 IEEE 회원으로 카이스트 자동화 및 설계공학과 학과장, 국제컴퓨터비전회지 편집위원, 카이스트 로보틱스 및 컴퓨터비전연구실 책임교수, 카이스트 P3디지카센터 센터장, IEEE 회원, 제11회 아시아컴퓨터비전총회 공동의장, 2016년 한국로봇학회장을 역임했다.

 
1

이재협 박사 (김문철교수 연구실),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조교수 임용

 

[이재협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졸업생 이재협 박사(지도교수: 김문철)가 2024년 9월 1일부로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재협 박사(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학사/석사/박사)는 박사 과정동안 위성 영상 처리를 위한 딥러닝 기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IEEE TGRS/GRSL 등 국제저명학술지와 학술대회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주요 연구는 영상 생성, 변환, 복원 및 화질 개선 분야이다.

공지사항

MORE

세미나 및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