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칭 | 국비장학생 | KAIST 장학생 | KAIST 프로그램 장학생 | 국비장학생 | ||
KAIST KEPSI | KAIST LGenius | KAIST EPSS | ||||
등록금 지원 | ○ | ○ | ○ | ○ | ○ | ○ |
지원 Source | 정부 | 지도교수 | SK 하이닉스 | LG Display | 삼성반도체 | 소속회사 |
지도가능교수 | 모든 교수 | 신청 교수* | 참여 교수* | 참여 교수* | 참여 교수* | 모든 교수 |
병역특례여부 | ○ | ○ | ||||
지원자격 |
학사 졸업 예정자 및 졸업자 |
학사 졸업 예정자 및 졸업자 |
병역필 (군필자 및 여학생 우대) |
병역필 |
병역필 (군필자 및 여학생 우대) |
회사 승인 (석사 2학기, 박사 2학기 이상 전일제 수업) |
의무사항 |
학기 중 조교 활동 의무 (석사2년차~ 박사4년차) |
석사 또는 박사 학위 후 지원 회사에 취업 | 석사 또는 박사 학위 후 지원 회사에 취업 | 석사 또는 박사 학위 후 지원 회사에 취업 | 석사 또는 박사 학위 후 지원 회사에 취업 | 석사 또는 박사 학위 후 지원 회사에 취업 |
인건비 및 생활비 지원 |
조교수당(1)+ 연구실 인건비(2) (1). 조교수당 (정부지원) 석사: 265,000원/월 박사: 450,000원/월 추가 TA 신청시 500,000원/월 추가 (2). 연구실 인건비 (교수지원): 석사: 1,800,000원/월 이하 박사: 2,500,000원/월 이하 (인건비는 연구실 별로 다름) |
지도교수와 상의 |
석사 90만원/월 박사, 연차별 110, 120, 160, 170, 190만원/월 |
해당 홈페이지 참고 및 담당 부서에 문의 |
해당 홈페이지 참고 및 담당 부서에 문의 |
회사와 상의 |
국비장학생
국비 장학금의 경우 정부에서 교육경비를 지원하는 경우로 가장 많은 T.O.를 갖고 있다. 원서제출 당시 신청한 경우에 한하여 선발되고, KAIST 장학생이나 일반 장학생으로 입학 후 국비 장학생으로 변경을 할 수는 없다. 국비 장학생으로 선발된 학생은 학기 중 조교활동을 하게 되며 조교활동에 대한 월급여를 받는다.
KAIST 장학생
KAIST 장학생은 지도교수의 재량하에 교육경비를 지원받는 경우로 지도교수가 학생의 등록금과 약속된 금액을 인건비로 지원하게 된다. 사전에 지도교수와 상의해야 한다. KAIST 지도교수 장학생이라 부르기도 한다.
KAIST 프로그램 장학생
KAIST 프로그램 장학생은 KAIST와 연계된 회사로부터 교육경비를 지원받는 경우로 KAIST와 연계된 회사는 SK하이닉스, LG Display, 삼성반도체가 있고, 각각의 이름은 KAIST KEPSI, KAIST LGenius, KAIST EPSS로 불린다. 행정적 학생 구분은 KAIST 장학생과 동일하다. 교내에서 KAIST 프로그램 장학생을 지칭할 때는 대체로 KAIST KEPSI, KAIST LGenius, KAIST EPSS 중 해당되는 프로그램으로 부른다.
일반장학생
KAIST와 연계된 회사 이외에도 회사로부터 교육경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일반 장학금은 회사에서 교육경비를 지원하는 경우로 등록금과 약속된 금액의 인건비를 지원받는다. 입학 당시 이미 회사와 약속을 하여 산학 장학생 신분이 되는 경우도 있고, 다른 장학생 신분으로 입학 후(석사 2학기, 박사 2학기 이상) 회사 면접을 거쳐 산학장학생 신분이 되는 경우도 있다. 학위 취득 후에는 해당 회사에 일정기간 취업하여 복무를 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교내에서는 산학 장학생이라 불리기도 한다.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