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가 탈추격(선도형) 기술혁신체제로 안착됨에 따라 미래학의 중요성과 더불어 미래산업 창출에 대한 지식수요가 부각되고 있음. 본 과목은 공학기술과 기술경영관점을 통합하여 미디어 산업을 과거,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 미디어 기술 및 산업의 진화 방향 예측과 함께 emerging 제품 및 기술을 학습한다.
권장과목
선수과목
최근 우리나라가 탈추격(선도형) 기술혁신체제로 안착됨에 따라 미래학의 중요성과 더불어 미래산업 창출에 대한 지식수요가 부각되고 있음. 본 과목은 공학기술과 기술경영관점을 통합하여 미디어 산업을 과거,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 미디어 기술 및 산업의 진화 방향 예측과 함께 emerging 제품 및 기술을 학습한다.
선수과목
컴퓨터 계산 방식은 디지털 시스템의 설계 복잡도와 전력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수 체계와 계산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VLSI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 과목에서는 다양한 수 체계와 하드웨어 계산 방식을 다루며 고속 및 저전력 연산에 대해서도 깊게 다룬다.
선수과목
기초적인 전자회로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아날로그 회로를 설계할 때 널리 쓰이는 기본 블록들 (광대역 연산 증폭기, 비교기, 연속시간 아날로그 필터, 스위치-커패시터 필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등)에 대해서 CMOS 중심으로 다루는 고급과정이다.
선수과목
비선형 시스템의 해석과 비선형 제어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제반 기법을 소개한다. 비선형 시스템의 해석기법으로 Liapunov stability, singular perturbations, averaging method등을 다루고 비선형제어 기법으로 feedback linearization, sliding mode control, backstepping, Liapunov redesign technique등을 논한다.
선수과목
지능제어 기법으로 알려진 여러 가지 제어기법 중에서 불확실성 처리와 학습 능력의 관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fuzzy 제어기 및 신경회로망 학습제어기 설계 방법론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fuzzy set 이론 및 fuzzy 논리를 이용한, fuzzy 제어기의 설계 방법 및 응용예를 다루고, ANN을 Review한 후 이에 기반하여 dynamic 시스템 제어를 위한 ANN-기반 학습 제어 기법과 최적화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GA)등을 포함한 최근 소개되고 있는 지능제어 기법들을 취급한다.
선수과목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기구학, 동역학 및 제어 알고리즘의 설계방법을 다룬다. 특히, homogeneous transformations, kinematics equations, motion trajectory planning을 공부한 후 여러 가지 제어 방법을 다루며 시물레이션을 통하여 이의 유용성을 비교 학습한다.
선수과목
최대원칙의(maximum principle)의 유도, 최적제어 시스템의 설계에 대해 공부한다. 최소시간, 최소연료, 최소에너지시스템의 설계방법과 계산방법을 다루고, dynamic progrmming, discrete maximum principle과 응용 등을 학습한다. 또한 optimal control의 advanced topic을 다룬다.
선수과목
본 강의에서는 네트워크 관리에 관한 중요 이슈와 관리 기법에서 필요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하여 살펴보고, 추후 연구 이슈를 토론한다.
선수과목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