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1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2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3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4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5
  • 6
Learn More
AI in E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machine learning  efforts are already   a big part of   ongoing
research in all 6 divisions - Computer, Communication, Signal,
Wave, Circuit and Device - of KAIST EE 

  • 6
  • 6
Learn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Highlights

(왼쪽부터 이용복 박사과정 학생,  윤준보 교수)
 

IEEE MEMS 학회는 MEMS 학계 및 산업에서 권위를 인정 받는 국제 학술 대회이다. 이용복 학생이 수상한 상은 제출된 총 636편의 학생 논문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거쳐 최종 20편을 선정하여 수여한 상이다. 선정된 논문은 “A Fast and Energy-Efficient Nanoelectromechanical Non-Volatile Memory for In-memory Computing” 으로 초고속, 초저에너지로 작동하는 나노 전자 기계식 비 휘발성 메모리 개발과 이를 이용해  In-memory Computing을 구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 학회명: The 36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IEEE MEMS 2023)

  • 일시 및 개최지: 2023. 1.15 – 2023. 1.19, 독일 뮌헨.

  • 수상 내역: Outstanding Student Oral Presentation Award Finalist

  • 수상자: 박사과정 이용복 (지도교수 윤준보)

  • 수상 논문: A Fast and Energy-Efficient Nanoelectromechanical Non-Volatile Memory for In-memory Computing

  • 수상 저자: 이용복, 강민호, 최판규, 김수현, 김태수, 이소영, 윤준보 (지도 교수) 

 

Outstanding Student Oral Presentation Award Finalist 상장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손영익 교수가 1월 24(화), ‘윤석열 대통령과 과학기술 영(young) 리더와의 대화’에 초대 받아 ‘양자과학기술 분야 전망과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날 행사는 차세대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4개 연구분야(AI, 양자, 바이오, 우주) 대표자를 초청한 자리로서, 손영익 교수는 양자 분야를 대표하는 과학자로 초대 받았다.

[오른쪽부터 첫 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 두 번째 손영익 교수]
 

용산 대통령실 누리홀에서 열린 ‘과학기술 영(young) 리더와의 대화’에 양자 분야 손영익(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AI 분야 전병곤(서울대)·김선주(연세대) 교수, 첨단바이오 분야 윤태영(서울대)·우재성(고려대) 교수, 우주 분야 윤효상(KAIST) 교수 등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분야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방안에 대해 물었고, 참석자들은 ‘인력의 중요성’을 첫 번째로 꼽았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이를 위해 우수 인력들이 모일 수 있는 해외 우수 연구기관을 유치하고, 기업의 직접적 수요가 없는 연구 분야에 대해서는 석·박사급 우수 인력들이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등의 의견이 제시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은 안보, 경제 등 모든 분야의 출발점”이라며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 지원하고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 등 주요국과 각 분야별로 역할을 분담하고, 이를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국제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 동석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는 “국가 연구개발(R&D) 자금이 제대로 집행돼 구체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개선하라”고 지시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교수님

[손영익 교수]
 
-Bio:
손영익 교수는 10년 이상의 양자컴퓨팅 및 통신 분야 연구 개발 경력을 보유한 양자정보 기술 분야 전문가로서,
현재 KAIST-Harvard 양자기술국제협력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양자정보과학기술은 기존의 고전정보 대비 보다 효율적인 연산, 보다 안전한 암호통신 등 정보처리기술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것이 기대되는 미래 유망 분야로 알려져 있다.
 
-관련링크 :
 
KAIST 초세대 협업 연구실로 새롭게 선정된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연구실 김정호 교수 연구팀 1

KAIST 초세대 협업 연구실로 새롭게 선정된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연구실 김정호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안승영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남색 양복), 김경민 신소재공학과 교수(남색코트),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회색양복) ]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에는 김정호 책임교수 외에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안승영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가 참여교수로 협업한다.
이들은 세대 간의 연구 협력을 통해 ‘시스템반도체 패키징’기술을 심화·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를 기초로 국내 시스템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시스템반도체 패키징’은 그동안 분리해 사용돼 온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하나의 반도체 안에 3차원적으로 집적하는 기술이다.
또한 인공지능의 학습 계산 능력을 현저하게 높이고 동시에 전력 소모는 줄이는 첨단 기술이며, 기존 ‘반도체 무어의 법칙’을 이어가는 초격차 기술이자 미래 인공지능 시대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특히, 김정호 교수가 주도하는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이 분야 세계 최고의 연구실로 꼽히고 있다. 3차원 집적 패키징 기술은 슈퍼컴퓨터와 초대형 데이터 센터의 고성능 서버,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의 핵심 기술로 각종 인공지능 서비스와 메타버스와 같은 고부가가치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경쟁력 중 하나다.
 
3차원 고성능 이종집적 패키징(3D High Performance Heterogeneous Computing Packaging)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고성능·저전력·다기능 시스템을 구현하고, 특히 이 전체 설계 과정을 인공지능 기계학습 방법으로 자동화할 계획이다. 미국 전자공학회 석학회원(IEEE 펠로우)인 김정호 교수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중에는 최초로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개소하는 영예를 얻게 됐다.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의 김정호 책임교수는 “우리나라가 진정한 반도체 강국으로 자리 잡기 위해 꼭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분야에 특화된 연구를 실현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경쟁력 제고에도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링크 :
 
1

63bb6f7c21d6d

[왼쪽부터 신욱철, 박관용, 이병욱, 이경현, 권인소 교수]
 

WACV는 Google Scholar h-5 인덱스로 Computer Vision 분야에서 전체 9위를 기록하고 있는 주요 학술 대회이다.
 
올해 1,577편의 submissions 중 64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그 중 Best Student Paper Award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의 제목은 “Self-supervised Monocular Depth Estimation from Thermal Images via Adversarial Multi-spectral Adaptation” 이다.
 
본 연구는 한장의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거리를 추정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열화상이 갖고 있는 저해상도 문제와 온도분포에 따른 상세한 영상정보의 부제 등으로 컴퓨터비전 분야의 난제 중 하나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층 신경망의 자기 지도 학습 기법과 다중 스펙트럼 영상들 간의 적대적 학습 기법을 융합한 독창적인 딥러닝 모델을 제시하였다.
 
특히, 정확한 카메라 보정 정보 등 많은 제약 조건이 있는 기존 방법들과 달리, 독립적인 열화상 영상과 컬러 영상을 신경망 학습에 활용함으로서 제약 조건 없이 신경망의 학습을 가능케 하며, 다양한 조건 실험을 통하여 기존 방법 대비 주/야간/저조도 등 열악한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였다. 

 

WACV Plaque

시상식 사진
GYUWAN KIM 1
 
[김규완 학생]
 
대한민국 인재상은 우수한 청년 인재들을 발굴·시상하기 위해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상으로,  29일 오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인재상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대학․청년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김규완은 육군 연구개발 장교이자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대학원생으로 ‘광통신’ 분야 연구와 국방과학으로의 접목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인재이다.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자는 전국의 고교생 50명과 대학생·청년 50명 등 총 100명으로 학교장 또는 소속기관장 등의 추천을 받아 지역심사와 중앙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했다. 
수상자에게는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과 상금(200만 원)이 부상으로 주어졌다.
 
시상식 사진
 
DSC5828
DSC5828
DSC5825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고급인력 육성을 위한 2기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2기부터는 반도체 전문석사과정을 신규 설치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본 반도체 전문석사과정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신규 인력부족문제를 해결하고, 국내 산업체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경력자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여 산업체 현장에서 쌓은 연구/개발 경험과 대학원에서 배울 심화이론을 결합시켜 국내 기업인력의
연구 개발 능력을 강화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운영할 예정이다. 
 
반도체 전문석사과정은 2023년 가을학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33

제민규 교수는 지난 12월 7일 서울 aT센터에서 열린 반도체공학회 2022년도 정기총회에서 “해동반도체공학상”을 수상했다.

해동과학문화재단은 그동안 대한민국의 기술 발전과 산업을 위한 인재 발굴 및 동기부여를 위해 많은 노력과 헌신을 해왔으며, 특히 2021년에는 반도체 산업과 기술을 위한 “해동반도체공학상”을 제정하여 반도체 인재 발굴을 위한 초석을 제공하였다.

올해 제 2회 “해동반도체공학상”은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분야의 중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시기이기에 수상의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Photo Minkyu Je long

[제민규 교수] 

 

제민규 교수는 바이오메디컬 및 센서 인터페이스 집적회로/마이크로시스템 분야 연구 초창기이던 2000년대 초반부터 싱가포르의 A*STAR 산하 IME 연구소에 재직하면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4년부터는 한국의 학계로 자리를 옮겨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계속함으로써 이 분야 국내 연구 수준을 세계 수준으로 견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해당 분야의 개척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주요 연구자로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 분야를 이끄는 리더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차세대 의료기기 및 뇌신경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로 및 시스템 분야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20년에 IEEE Circuits and Systems Society (CASS)의 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현재까지 총 110편의 SCI급 논문을 게재하고 총 252편의 국제학술대회 논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분야와 관련한 각종 IEEE 우수 저널에 총 76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최고 수준 국제학술대회인 IEEE ISSCC, IEEE SOVC, IEEE CICC에 총 25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 분야 연구를 통해 총 24건의 국외특허, 총 26건의 국내특허 등록 그리고 총 30건의 특허가 국내/외 출원 중에 있다.

 

관련 분야 대기업들은 물론 스타트업 기업 및 중소기업들과의 활발한 협력을 통해 바이오/의료기기 분야 및 IoT 센서 분야의 기술 경쟁력 확보, 산업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그리고 신흥시장을 목표로 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도 크게 기여해오고 있다.

5

이현주 교수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대학총장협회가 공동 주관하고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에서 후원하는 ‘제4회 차세대과학자상(IT 분야)’을 수상하였다.  

더불어 이현주 교수는 차세대과학자상 수상금액 중 400만원을 학교발전기금으로 기부하였다.

 

dataURItoBlob 5

 

한국과학기술한림원(https://kast.or.kr)은 2011년부터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의 후원으로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의 젊은 과학자를 선발·포상함으로써 21세기 국가 과학기술의 주역으로 육성하고자 에쓰-오일 시상 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

 

2022년 12월 9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대학총장협회가 공동 주관한 이날 시상식에서, 물리학, 생리의학, 화학공학·재료공학, 에너지, IT 등 5개 분야에서 선정된 차세대 과학자 5명에게 총 2억원의 연구지원금을 전했다.

 

관련 링크 :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21209010001964

공지사항

MORE

학부일정

세미나

날짜:

1.15(월), 10시 30분~

연사:

박현주 대표(인포웍스)

장소:

E3-2 우리별세미나실

[2024 Fall Regular Track]
Global EPSS Program
Application Guide

[전기및전자공학부
전임교원 채용]

[2024 Fall Regular Track]
Global EPSS Program
Application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