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1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2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3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4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5
  • 6
Learn More
AI in E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machine learning  efforts are already   a big part of   ongoing
research in all 6 divisions - Computer, Communication, Signal,
Wave, Circuit and Device - of KAIST EE 

  • 6
  • 6
Learn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정재웅 교수팀
온도에 따라 강도가 바뀌는
전자잉크 개발
Read more...
권경하 교수팀
자가발전형
이산화탄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Read more...
김용대 · 윤인수 교수팀
금융 필수 보안 소프트웨어의
해킹 악용 가능성 밝혀​
Read more...
명현 교수팀
ICRA NSS 챌린지
종합 1위
Read more...
이성주 교수팀
음악 창작 돕는 작곡 AI 동료
‘어뮤즈’ 공개
Read more...
심현철 교수팀
A2RL 드론 침피언십 리그
세계3위
Read more...
유민수 교수팀
챗GPT 등 대형 AI모델
학습 최적화 시뮬레이션 개발​
Read more...
윤준보 교수팀
정밀한 압력 감지가 가능한
인공 촉각 시스템 개발
Read more...
신승원 교수팀
챗GPT를 이용한
개인정보 악용 가능성 규명
Read more...
유승협 교수팀
저전력 고속 웨어러블
이산화탄소 센서 개발
Read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Highlights

< 올해의 KAIST인 상을 받은 명현 교수(왼쪽)과 이광형 총장 >

 

우리 대학이 ‘올해의 KAIST인 상’ 수상자로 명현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올해의 KAIST인 상’은 탁월한 학술 및 연구 실적으로 국내‧외에서 KAIST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구성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지난 2001년에 처음 제정됐다. 23번째 수상자로 선정된 명현 교수는 지난 한 해 동안 로봇 자율보행 신기술 ‘드림워크(DreamWaQ)’ 개발 및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실적과 3D 위치인식 및 맵작성(SLAM) 등의 신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드림워크(DreamWaQ)’란 별도의 시각이나 촉각 센서의 도움 없이 계단도 성큼 오를 수 있는 보행로봇 제어기다. 이를 장착한 명현 교수 연구팀의 자율보행로봇은 ‘국제 사족보행 로봇 자율보행 경진대회’에서 MIT 등 세계 유수 대학 소속팀과 경쟁해 4배 이상의 점수를 획득하는 압도적 실력을 선보이며 우승했다. 또한, 대회에서 함께 사용된 주변 환경 인지 및 경로 탐색 기술도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명현 교수는 “저희 연구실에는 창의적이고 공익적인 로봇 기술 개발, 도전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경진대회 출전, 영향력 있는 논문 쓰기라는 연구 방향이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명 교수는 “앞으로도 이 세 가지 방향에 더욱 매진하며 연구하고, 부족한 지도교수를 따라준 훌륭한 학생들과 저를 위해 희생해 준 가족들, 그리고 학교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올해의 KAIST인 상’ 시상식은 14일 오전 열리는 KAIST의 개교 53주년 기념식에서 진행된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교육, 학술, 국제협력 성과가 탁월하거나 KAIST의 위상에 크게 공헌한 총 39명의 교원에게도 특별 포상이 진행된다. 

정원석 생명과학과 교수는 세계 뇌 질환 연구의 중심으로 손꼽히는 뇌 면역 관련 분야에서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해 ‘학술대상’을 수상한다. 정 교수는 뇌 면역을 담당하는 별아교세포와 미세아교세포에 존재하는 면역 관련 분자의 기전과 그 조절 방식이 서로 상이함을 발견하는 등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거듭 달성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창의강의대상’은 콘테스트 기반 생명실험교육법을 최초로 개발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이끌어낸 박영균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수상한다. 함자 쿠르트(Hamza Kur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KAIST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자부심을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받아 ‘우수강의대상’을 받는다. 

 

‘공적대상’은 이창양 경영공학부 교수가 수상한다. 이 교수는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 2분과 간사로 임명돼 정부의 산업, 국토, 농림 등 실물 부문 정책의 틀을 만드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제6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산업, 통상 및 에너지 등 실물 경제를 총괄해 학교의 위상을 강화한 공로다. 윤윤진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는 ‘국제협력대상’을 받는다. UN·세계경제포럼 등에서 지정한 해양 탄소중립분야의 글로벌 어젠다 대응 연구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국제 융합연구 기반을 확대하는 동시에 KAIST의 글로벌 기술 역량을 증진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이광형 총장은 “도전과 혁신을 바탕으로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학술 및 연구 실적을 보여주고 있는 구성원들의 노력이 KAIST가 세계 10위권 대학의 꿈을 향해 쉬지 않고 정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말하며, “오늘 수상자를 포함해 함께 성과를 만들어 준 모든 구성원이 다 같이 기뻐하고 축하하며 서로를 격려하는 날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image001

심현철 교수 공동 연구팀 제3회 국제로보틱스 대회 MBZIRC(Mobamed Bin Zayed International Robotics Challenge) 준우승 수상

 

image001

<심현철 교수 공동 연구팀 단체 사진>
 
 
2024년 1-2월 중 UAE 아부다비에서 개최된 제 3회 MBZIRC(Mohamed Bin Zayed International Robotics Challenge)에서 우리 학부 심현철 교수와 기계공학과 김진환 교수 연합팀이준우승을 거둬 총 65만불의 상금 및 지원금을 받게 되었다
 
본 대회는 무인선과 무인기가 협업하여 실제 해상에서 불법 선박을 발견하고 해당 선박의 갑판에서 물체들을 수거해 오는 임무를 GPS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하는 것으로 난이도가 매우 높은 대회였다
 
이 대회에서 김진환 교수(팀장연구진은 레이다 기반 자율순항 선박을심현철 교수 연구진은 영상기반 항법과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물체 수집 장치를 이용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였다
 
주최측에서 제공한 선박의 결함 및 실제 해상환경에서 운용시 발생하는 많은 난관이 있었으나 20여명의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참가진은 준우승을 거두는 쾌거를 이루었다
 
심현철 교수는 실제 대회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 뿐만 아니라 운용상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소규모 대회가 아닌 제대로 규모를 갖춘 국제대회에서 당당히 겨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어 매우 기쁘며 김진환 교수 및 참여 연구진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정명수 교수 연구팀, CXL 탑재 AI 가속기로 美CES 2024서 혁신상 수상

 

Inline image 2024 01 17 10.54.55.413

<(좌측부터) CXL 탑재 AI 가속기 대표 이미지 및 시스템>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님 연구팀이 세계 최대 규모의 IT 박람회 ‘CES 2024’에서 혁신상 수상작 ‘CXL 탑재 AI 가속기(CXL-Enabled AI Accelerator)’를 선보였습니다.

연구팀의 ‘CXL 탑재 AI 가속기’는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omputer Express Link, CXL) 기술을 통해 시스템에 무한대에 가까운 용량의 빠른 메모리 자원을 제공하여, 대규모 AI 기반 서비스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AI 기반 서비스인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평가에서, 정명수 교수 연구팀은 CXL 기술이 적용된 가속 시스템이 기존의 SSD 기반 가속시스템 대비 101배 빠른 성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수상작의 핵심인 CXL은 데이터처리 가속기, 메모리 확장장치, 프로세서, 스위치 등 다양한 시스템 장치를 고속으로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여러 가속기 및 메모리 확장장치의 내부 메모리를 시스템에 연결하여 AI 서비스에 확장가능한 메모리 자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AI 서비스는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릍 통해 정확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AI 가속기가 제한된 메모리 용량으로 인해, 대용량의 데이터 관리에 느린 저장장치를 사용해야하던 것과 대비됩니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AI 가속기 내부를 이미지 검색에 특화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높였습니다. AI 기반 서비스의 정확도 및 품질은 경쟁적인 AI 업계에서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만큼, 연구팀의 기술은 산업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명수 교수님 연구팀은 이번 연구개발의 결과물을 지난주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 전시하였습니다. 가속기는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CES 주관기관으로부터 CES 혁신상을 수상하였으며, IEEE Spectrum, Storage Newsletter, Blocks and Files, Design and Reuse, TechRadar, 등의 해외 언론, 조선일보, 조선비즈, 한국경제, 서울경제, 파이낸셜뉴스, ZDnet 등의 국내 유수 언론을 포함한 20개 이상의 언론사가 부스에 방문하고, 출품 소식을 전하였습니다.
 
특히 한국경제에서는 연구팀의 기술을 ‘AI 도입 비용 문제의 해결책’으로써 대중들에게 소개하였습니다.
연구팀의 권미령 박사는 EETimes와의 단독 인터뷰에 초청받아 국제 CXL 기술의 현황을 소개하였으며 EETimes는“최신 CXL 표준을 지원하는 연구팀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데이터센터 수준의 고효율 메모리 확장을 실현할 수 있다”며 연구팀의 기술을 소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연구팀의 기술은 이번 CES 기간 동안 산업계로부터 집중적인 관심을 받았습니다. 세계 최대 IP 기업 ARM으로부터 초청받아 프라이빗 미팅을 진행하였으며, 글로벌 클라우드/데이터센터 기업 휴렛페커드(HPE),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본사로부터 단독 대규모 미팅 제의를 받아 CXL 후속 협업등의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지 부스를 통해서 연구팀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인텔, 케이던스 등 다양한 글로벌 대기업의 고위 임원들과 국내 귀빈등에게 CXL 선도기술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성과는 우리 학부 정명수 교수님 연구실 학생들과 파네시아가 힘을 합친 결과입니다. 파네시아는 카이스트 교원창업기업이자 CXL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입니다. 
카이스트 스타트업인 파네시아는 오는 19일 대전에서 개최되는 CXL 테크데이 행사를 통해서 CES에 소개된 CXL이외에도 다양한 최신 CXL 기술을 여러 학부생들과 공유할 예정입니다.
테크데이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관련소개 뉴스 링크: https://news.nate.com/view/20231229n21475?mid=n0105).

 

Inline image 2024 01 17 10.55.36.861

<카이스트 전시관 연구팀 전시부스 방문객>
 
 

공지사항

MORE

세미나 및 행사

전임교원 채용

Full-Time Faculty Recru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