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웅 교수 연구팀, 무선 충전 가능한 부드러운 뇌 이식장치 개발

우리 학부 정재웅 교수님 연구팀이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해당 장치는 이식 후 생체 내에서 장기간에 걸쳐 배터리 교체 없이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빛으로 뇌의 신경회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연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정훈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기술을 주목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장기간에 걸친 동물 실험이 필요했던 뇌 기능 연구뿐 아니라 정신질환 및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 진료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우리 학부 김충연 박사과정 및 연세대 의과대학 구민정 박사과정 연구원이 공동 제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1월 22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논문명: Soft subdermal implant capable of wireless battery charging and programmable controls for applications in optogenetics)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궁극적으로 인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기를 더욱 소형화하고 MRI 친화적인 디자인으로 발전시키는 확장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실 지원사업과 신진연구자지원사업, KAIST 글로벌 특이점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이룩한 정재웅 교수님 및 김충연 박사과정생께 축하의 인사를 드립니다.

⁠⁠해당 소식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Link]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12110 (KAIST 뉴스)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key=202101261653326522 (YTN뉴스)

뇌 이식용 무선 디바이스 정재웅 교수 연구팀

유회준 교수 연구실 김소연 석사과정, 2020 IEEE A-SSCC "Best Design Award " 수상

우리 학부 유회준 교수님 연구실의 김소연 석사과정생이 2020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A-SSCC) Student Design Contest에서 Best Design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1월 9일부터 11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A-SSCC 학회는 IEEE에서 매년 개최하는 국제 학회이며, “An Energy-Efficient GAN Accelerator with On-Chip Training for Domain Specific Optimization”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회명 : 2020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A-SSCC)

개최기간 : 2020년 11월 9일 ~ 11일 (Virtual Event)

수상명 : Student Best Design Award

저자 : 김소연, 강상훈, 한동현, 김상엽, 김상진, 유회준(지도교수)

논문명 : An Energy-Efficient GAN Accelerator with On-Chip Training for Domain Specific Optimization

⁠⁠수상하신 김소연 석사과정생과 지도교수님이신 유회준 교수님께 다시 한 번 축하의 인사를 드립니다.

김정호 교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 비전을 다룬 '공학의 미래' 저술

우리 학부 김정호 교수님께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 비전을 저술한 ‘공학의 미래’가 출간되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First Mover’로 나아갈 수 있는 최적기라는 비전을 담은 신간도서입니다.

교수님께서는 진정한 디지털 기술 독립을 이루기 위해 한국 공학의 역할은 무엇인가에 대한 담론을 기술하셨습니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환경에 맞서, ‘디지털 공학’을 중심으로 코로나 19가 유발한 위기를 극복하는데 앞장서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셨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속에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빅데이터·컴퓨터·반도체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향후의 혁신적 발전 방향과 절호의 기회를 제시하고 디지털 공학의 기초인 되는 수학의 원리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앞으로 전개될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제시하고 이를 선도해나갈 미래의 인재상과 함께 대한민국의 발전 전략까지 이 책에 담으셨습니다.

대한민국 공학계에 새로운 화두를 던진 김정호 교수님의 신작 출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기사 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Link]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12071 (KAIST 뉴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EA%B3%B5%ED%95%99%EC%9D%98+%EB%AF%B8%EB%9E%98 (서울경제)

미래

전기및전자공학부 "Qualcomm Innovation Fellowship Korea(QIFK) 2020" 선정자 배출

우리 학부에서 10명의 “Qualcomm Innovation Fellowship Korea(QIFK) 2020” 선정자를 배출하였습니다. 특히 총 23명의 최종 선발자 중, KAIST에서 선정된 10명이 모두 우리 학부 소속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 합니다.

논문 투고는 인공지능, 기계학습, 자율주행 3가지 분야에 거쳐서 접수를 받았습니다. Fellowship 선정을 다시 한 번 축하드립니다. 

학생들을 지도하신 김준모, 권인소, 신진우 그리고 황의종 교수님께도 축하의 인사를 드립니다.

이름

소속

지도교수

탁지훈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진우

모상우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진우

정종헌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진우

노유지

전기및전자공학부

황의종

박진선

전기및전자공학부

권인소

Philipp Benz

전기및전자공학부

권인소

Chaoning Zhang

전기및전자공학부

권인소

Pan Fei

전기및전자공학부

권인소

이석주

전기및전자공학부

권인소

이장현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준모

[Link]

https://www.qualcomm.com/invention/research/university-relations/innovation-fellowship/2020-south-korea

 

신영수 교수 외 6인, 2020년 공과대학 기술혁신상 우수상 수상

우리 학부 신영수 교수님을 비롯하여 유종원, 유창동, 이정용, 정명수, 김성민 그리고 최준일 교수님께서 2020년 공과대학 기술혁신상 우수상을 수상하셨습니다.

각 단과대학별로 우수교원 표창을 시행하는데 있어, 공과대학에서는 우수한 기술혁신 성과 및 학술연구성과를 통해 과학기술발전과 KAIST 공과대학 발전에 기여한 교원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기술혁신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세계적 신기술을 개발, 탁월한 연구성과 배출, 그리고 기술혁신 성과로 산학협동에 기여한 교원에 대하여 포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금번 수상인원은 기술혁신상 대상 수상자 1명 및 우수상 수상자 27명으로 총 28명이며, 우리 학부에서는 7명의 교수님들이 우수상을 수상하셨습니다.

기술혁신상 우수상 수상자에게는 310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세계적인 신기술 개발 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도전을 통해 KAIST 위상을 드높인 7명의 교수님들께 축하의 인사를 보내드립니다.

명현 교수 연구실 이응창 석사사과정생, 2020 RiTA Best Paper Award 수상

우리 학부 명현 교수님의 지도를 받고 있는 이응창 석사과정생이 지난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영국 Cardiff에서 개최된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iTA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국제학술대회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올해 8회인 RiTA 학회는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으며, 10여개국에서 200여명이 참여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학회명International Conference on RiTA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Cardiff, United Kingdom

개최기간: 12월 11일 ~ 13일 (Virtual Event)

수상명: Best Paper Award

저자: 이응창 (석사과정), 최덕규 (석사과정), 명현 (지도교수)

논문명: Peacock Exploration: A Lightweight Exploration for UAV using Control-Efficient Trajectory

김정호 교수 연구실 손경준 박사과정생, 2020 IEEE EDAPS Best Student Paper Award 수상

우리 학부 김정호 교수님 연구실 소속 손경준 박사과정생이 202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Design of Advanced Packaging and System (EDAPS)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2월 14일부터 16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EDAPS 학회는 IEEE에서 매년 개최하는 국제학회이며, “Deep Reinforcement Learning-based Interconnection Design for 3D X-Point Array Structure Considering Signal Integrity”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회명: 202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Design of Advanced Packaging and System (EDAPS)

개최기간: 12월 14일 ~ 16일 (Virtual Event)

수상명: Student Best Paper Award

저자: 손경준, 김민수, 박현욱, 박신영, 박갑열, 노대환, 김성국, 신태인, 손기영, 김근우, 김정호 (지도교수)

논문명: Deep Reinforcement Learning-based Interconnection Design for 3D X-Point Array Structure Considering Signal Integrity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한국인공지능학회 2020 우수논문 및 기술-학술 혁신상 시상식 개최, 장동의 교수 학술혁신상 수상 외

우리 학부 장동의 교수님께서 2020 한국인공지능학회 학술혁신상을 수상하셨습니다. 

한국인공지능학회(학회장: 유창동)는 2020년 한해동안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성과를 돌아보는 시상식을 성남-KAIST 차세대 ICT혁신센터에서 가졌습니다.

금년도 학술혁신상 수상자로, 딥 러닝의 수리적 이해 및 드론 자율비행 연구로 훌륭한 성과를 낸 우리 학부 장동의 교수님이 선정되셨습니다. 또한 추계학술대회 포스터 우수논문으로 장동의 교수님 지도하는 Xiaowei Xing 박사과정생의 프로그래밍툴박스 연구가 선정되었습니다.

한편 하계학술대회 10편 우수논문으로는 유창동 교수님 연구실 김준영 박사과정생, 신진우 교수님 연구실 남주현 박사과정생 그리고 윤찬현 교수님 연구실 졸업생 Duc Canh Le 석사의 논문이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시상식은 한국인공지능학회에서 이룬 성과들을 보여주고 한국의 인공지능 발전을 위해서 학회 회원 및 연구자들의 사기를 높이고 그 발전을 독려하는 뜻깊은 행사로 되었습니다. 

장동의 교수님 외 수상하신 모든 분들께 축하의 인사를 드립니다. 

우상현 박사과정(권인소 교수 연구실)& 강상훈 박사과정(유회준 교수 연구실), 2020 Microsoft Research Asia Fellowship Award Winner 선정

2020 Microsoft Research Asia Fellowship Award에서 우리 학부 우상현 박사과정생(지도교수: 권인소) 그리고 강상훈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유회준)이 선정되었습니다.

아시아 전역 36개의 유수 연구 중심 대학에서 106명이 경쟁을 하였는데, 그 중 최종 장학생 12명으로 선정이 된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총 3명의 학생(KAIST 2인, 서울대 1인)이 최종선정되었으며, 그 중 2명이 바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 수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습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의 위상을 아시아 전역에 알린 두 명의 박사과정생에게 축하의 박수를 보냅니다.

해당 Fellowship은 해당 박사과정생 및 지도교수에게 “Microsoft Research Asia Internship”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소정의 금액 역시 연구를 위한 장학금의 형태로 지급됩니다.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고자 오프라인 시상식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특히, 작년에 이어 권인소 교수님 연구실에서 2년 연속 장학생을 배출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다시 한 번 최종 Fellowship Winner로 선정되신 것을 축하드리며, 내년에도 우리 학부의 우수한 인재들이 주목받기를 기대해봅니다.

[Link]

https://www.microsoft.com/en-us/research/lab/microsoft-research-asia/articles/three-korean-phd-students-are-awarded-the-2020-microsoft-research-asia-fellowship-award/

권인소
권인소

배준우 교수,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 선출

우리 학부 배준우 교수님께서 내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회원으로 선출되셨습니다. KAIST에서는 총 9명이 차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우리 학부 배준우 교수님께서 당당히 이름을 올리셨습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기술 연구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두각을 나타내는 연구자 34인을 내년 Y-KAST 회원으로 선출했다고 이달 9일 밝혔습니다. Y-KAST는 만 45세 이하 젊은 과학자들이 정책 활동과 해외학술 교류사업을 펼치는 학술단체로 2017년 출범하였습니다. 

Y-KAST 회원은 43세 이하 국내 거주 중인 과학자 중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를 선발하고 있습니다. 박사학위 후 국내에서 독립 연구자로 이룬 성과를 평가해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큰 차세대 과학기술리더를 선출합니다. 정원은 150명으로 정책 분야 8명, 이학 45명, 공학 45명, 농수산 22명, 의약학부 30명으로 구성됩니다.

⁠선출된 차세대회원의 임기는 내년 1월부터 3년이며, 차세대회원은 심사를 통해 45세까지 연임 가능합니다.

⁠다시 한 번 배준우 교수님의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회원 선출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Link]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09/2020120902299.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