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일 교수, 한국통신학회 해동 젊은공학인상 및 The IEEE Communications Society Stephen O. Rice Prize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가 2 건의 수상 소식으로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의 위상을 드높였다. 한국통신학회는 제15회 해동학술대상에서 제 9회 해동젊은공학인상(학술상)에 최준일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  최준일 교수는 신호처리와 통신이론을 바탕으로 5G 무선통신 시스템에 필수적인 거대 다중 안테나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2015년 IEEE136 Signal Processing Society Best Paper Award(최고 논문상)를 수상하였다.  현재 최준일 교수는 차량간 통신 및 통신·레이다 융합 시스템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34편의 국제학술지 논문을 발표하고 26건의 미국 등록 특허를 보유하는 등 신진 연구자 중 우수한 평가를 받아 해당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한편,  최준일 교수는 12월 10일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주관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에서 통신분야 최고 논문상인 ‘스테판 오 라이스 상(Stephen O. Rice Prize)’을 수상하였다. ‘스테판 오 라이스 상’은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에서 지난 3년간 발표된 모든 논문들을 대상으로 독창성, 인용 횟수, 파급력 및 석학들의 평가 등을 종합해 IEEE Communications Society에서 1년에 단 한편 시상하는 최고 권위의 논문상이다. 최준일 교수는 2016년에 발표한 one-bit ADC를 사용한 거대 다중 안테나 시스템 관련 논문으로 이 상을 수상하였다. 이 논문에서 최 교수는 5G 및 그 이후 무선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거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은 처음 발표된 이래 각종 학술지논문 및 학술대회 논문들로부터 총 230여회 인용 횟수를 기록하며 활발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정규 박사과정생(문건우 교수 연구실),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2019년 12월호) “Highlighted Paper” 선정

전기및전자공학부 문건우 교수의 지도를 받고 있는 한정규 박사과정생이 주저자로 작성한 논문이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저널에서 “Highlighted Paper“로 선정되었다.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는 JCR 상위 5%의 높은 수준을 자랑하는 저널로서, 매월 발간되는 issue마다 하나의 Highlighted Paper를 선정하고 있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High Efficiency Asymmetrical Half-Bridge Converter With a New Coupled Inductor Rectifier“이며, 2019년 12월에 발간되었다.

또한 본 논문은 BK21+지원을 받아 수행 된 장기 해외연수 중에, Virginia Tech의 Jih-sheng Lai 교수와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논문이라는 데에 더욱 의의가 있다.

 

TPEL paper (1)

 

 

명현 교수 연구실, KSCE Convention 사회기반시설물 드론촬영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실에서 KSCE 2019 CONVENTION 사회기반시설물 드론촬영 경진대회에 출전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정성욱 박사과정생, 송승원 박사과정생 등이 참여하여 최우수상 수상이라는 좋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이번 대회는 대한토목학회 주최로 진행되었으며,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회기반시설물의 이미지 동영상과 기타 영상형태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심사가 이루어졌다. 

이번 대회에서 출품된 영상은 GPS 도움 없이, 비전과 라이다( LiDAR) 센서로 드론의 자율 비행 및 맵 작성이 가능한 기술이 적용되었다. 

아래의 유튜브 링크를 통해서 대회에 출품한 관련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Link>

김다훈 박사과정(권인소 교수 연구실)&한인수 박사과정(신진우 교수 연구실), 2019 Microsoft Research Asia Fellowship Award Winner 선정

전기및전자공학부 김다훈 박사과정생(지도교수: 권인소)과 한인수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신진우)이 2019 Microsoft Research Asia Fellowship Award에서 최종 선정되었다.

아시아 전역 31개의 유수 연구 중심 대학의 101명의 박사과정생들이 경쟁을 하였는데, 그 중 최종 장학생 12명으로 선정이 된 것이다. (한국 2명, 홍콩 1명, 일본 1명, 싱가포르 2명, 중국6명)

이번 수상이 더욱 의미가 있는 점은 한국에서 선발된 2명의 박사과정생이 모두 전기및전자공학부 출신이라는 점이다.

 

해당 Fellowship은 해당 박사과정생 및 지도교수에게 3개월간 진행되는 “Microsoft Research Asia Internship”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소정의 금액 역시 연구를 위한 장학금의 형태로 지급된다.

11월 8일 북경에서 진행된 “Microsoft Research Asia Academic Day 2019”에서 김다훈 박사과정생과 한인수 박사과정생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한편으로 Microsoft Research Asia Fellowship 프로그램은 1999년 설립된 이래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70개 이상의 대학의 약 1300명이 지원하였으며, 429명의 뛰어난 학생들이 Microsoft Research Asia Fellowship에 선정되었다. 

 

%EA%B9%80%EB%8B%A4%ED%9B%88

권인소 교수 연구실 김다훈 박사과정생

 

%ED%95%9C%EC%9D%B8%EC%88%98

신진우 교수 연구실 한인수 박사과정생

박준형 박사과정생(박성욱 교수 연구실), 2019 ISAP 학회 Best Student Paper Award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성욱 교수의 지도를 받고 있는 박준형 박사과정생이 2019년 10월 27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된 2019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ISAP 2019)에서 Best Student Papaer Award를 수상하였다.

ISAP은 1971년을 시작으로 꾸준히 개최되어 왔으며, 안테나, 전파, 전자파 이론 및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진행에 관한 정보를 활발하게 교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리는 국제 학회다.

24회째를 맞은 이번 ISAP 2019는 Xidian University 외 5개 대학/기관에서 공동 주최하였으며, IEEE와 IEICE를 포함한 여러 기관/기업에서 공동 후원하였다.

학회에 제출된 논문명은 “Micro-Drone Detection with FMCW Radar Based on Stationary Point Concentration Technique”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SPC Technique을 적용한 FMCW 레이더로 100 m 높이에 떠 있는 새끼 손가락 크기의 초소형 드론을 탐지해냄으로써 드론 탐지에 있어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제안한 기법인 Stationary Point Concentration (SPC) Technique은 FMCW 레이다에서 고유하게 발생하는 누설 신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기법으로써, 누설 신호의 위상 잡음을 크게 감쇄하여 노이즈 층을 상당히 낮추고, 이에 따라 표적 신호의 SNR을 개선한다. 아무런 기법이 적용되지 않은 FMCW 레이더에서는 노이즈 층에 묻혀 탐지 할 수 없었던 100 m 높이의 초소형 드론 신호를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탐지해내는 결과를 보였다.

 

학회명

2019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ISAP 2019)

일시

2019.10.27~2019.10.30

장소

Xi’an Paradise Resort, Xi’an, China

수상자

박사과정 박준형(Junhyeong Park), (지도교수: 박성욱 교수님)

수상내역

Best Student Paper Award

수상논문

Micro-Drone Detection with FMCW Radar Based on Stationary Point Concentration Technique

저자

Junhyeong Park, Kyung-Bin Bae, Dae-Hwan Jung, and Seong-Ook Park (박준형, 배경빈, 정대환, 박성욱)

 

2019년 미래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선정(센터장: 노용만 교수)및 국방특화연구실 과제 수주(실장: 명현 교수 & 책임: 이융 교수)

KAIST 주관으로 2019 미래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에 선정되었다. 전기및전자공학부 노용만 교수가 센터장으로 부임하며, 총 사업 기간은 7년이다. 특화센터는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우수인력의 국방기술개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위촉된 연구센터이다. 

한편, 전기및전자공학부의 명현 교수와 이융 교수가 군집형 무인 CPS(Cyber Physical System) 국방특화연구실 과제를 수주하였다. 명현 교수는 실장을 맡았고, 이융 교수는 세부 책임을 담당하였다. 해당 과제는 6년간 약 36억원의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다.

 

최석언 박사과정생(김창익 교수 연구실), 2019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 CMU AI교육과정 파견학생 선정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창익 교수의 지도를 받고 있는 최석언 박사과정생이, 2019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 CMU AI교육과정 파견학생으로 선정되었다. 

해당 사업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주관으로, 4차 산업혁명 ICT 유망기술 및 혁신성장 선도기술 분야의 고급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목표로 진행되었다. AI 분야 세계 1위인 미국 카네기멜론대(이하 CMU)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국내 우수 석,박사생 대상으로 AI 집중현지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프로그램 명은 AI 심화교육 과정이며, 교육기간은 2019년 12월부터 2020년 6월까지다. 선발인원은 35명 내외이며, 우리 학부 최석언 박사과정생이 쟁쟁한 경쟁률을 뚫고 최종 선정되었다.

 

양은주 박사과정생(윤찬현 교수 연구실), 2019 글로벌박사양성사업 펠로우십 추가 선정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19년 글로벌박사양성사업에 윤찬현 교수의 지도학생인 양은주 박사과정생이 추가 선정되었다.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링크>

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nts_no=124789&biz_no=202&search_type=&search_keyword=&page=

Mail?act=RECEIPT CHECK&ukey=5db6766a3febd6df8b34b65f&userid=sychun7&mhost=kaist.ac

김성현 석사과정생(윤찬현 교수 연구실), ICTC 2019 "Excellent Paper Award"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찬현 교수의 지도를 받고 있는 김성현 석사과정생이 2019년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2019 (ICTC 2019)에서 “An Accelerated Edge Computing with a Container and Its Orchestration” 논문 (저자: 김성현, 양은주, 윤찬현)을 발표해 Excellent Paper Award를 수상했다. 

ICTC는 다양한 산업 영역에 대한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열리는 한국통신학회 주관 국제학회이며, 이번 ICTC 2019는 IEEE와 IEICE에서 공동후원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하는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하드웨어 가속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으며 해당 프레임워크를 활용함으로써 가속기를 활용하는 컨테이너의 경량화 및 가속기를 고려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한 서비스 스케줄링 시간 단축을 달성하였다.

.

전상훈 교수 연구실, Proceeding of IEEE(Impact Factor: 10.694) 논문 게재

전기및전자공학부 전상훈 교수 연구실의 연구가 국제 저널 Proceeding of IEEE(Impact Factor: 10.694)에 게재되었다. 

Proceeding of IEEE는 세계 최대 전기분야 학회 IEEE가 관장하는 가장 권위있는 저널 중 하나이다. 해당 저널은 IEEE의 254개 논문 중 상위 2% 내 저널에 해당하여, 이번 논문 게재 성과가 더욱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전상훈 교수가 제 1저자 및 교신저자로 참여하였고, 정민현 박사생(지도교수: 전상훈)은 참여제자로 해당 논문 저술에 참여하였다.

게재된 논문의 제목은 ” Flexible Multimodal Sensors for Electronic Skin: Principle, Materials, Device, Array Architecture, and Data Acquisition Method “이다. 해당 연구는 전자피부를 위한 유연 다중 모드 센서, 원리, 소재, 소자, 소자 아키텍처, 데이타 습득 방법를 주제로 Invited Paper를 게재하였다.

해당 논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Link]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8827484?source=authoral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