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대 교수 제 49회 과학의날 기념식 과학기술훈장 진보장 수훈

김성대 교수가 49회 과학의 날 · 제61회 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 진흥 부문의 과학기술 훈장 진보장을 수여받았습니다.

이번 과학기술 훈장은 30여년간 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하고 국제 국내 저명 학술지 130여편을 저술함과 더불어 20여건 특허와 10여건 국내 프로그램 개발로 전자공학 발전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과학기술 진흥 부문 수상자 Link: http://www.etnews.com/20160421000086

 

조병진 교수 연구실 김충선 박사과정 그래핀 심포지엄 우수 구두발표상

조병진 교수 연구실 김충선 박사과정 학생이 제 3회 한국 그래핀 심포지엄에서 우수 구두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번에 수상한 논문의 주제는 ‘Thermoacoustic Loudspeaker Using N-doped Reduced Graphene Oxide Aerogel’ 입니다.

 

학회/대회: 3회 한국 그래핀 심포지엄

일시: 2016. 4. 14 ~ 4. 15

장소: 부여 롯데리조트

수상자: 김충선 (지도교수: 조병진, 박사과정 년차

논문 제목: Thermoacoustic Loudspeaker Using N-doped Reduced Graphene Oxide Aerogel

수상내역: 우수 구두 발표상



20160502181917269


이융, 정송 교수 연구팀 통신네트워크분야 최고 논문상 IEEE William R. Bennett Prize 수상

우리 학부 이융, 정송 교수팀이 통신네트워크 분야 최고 논문상인 IEEE William R. Bennett Prize 2016년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 졸업생인 이경한 교수 ( UNIST 조교수), 이주현 박사 ( OSU 박사후연구원) 및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이인종 개발실장 (무선사업부 부사장)과의 공동 연구로 진행되었다.



20160421132208837


IEEE William R. Bennett Prize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에서 지난 3년간 발표된 통신네트워크 분야 논문들을 대상으로 독창성, 인용 횟수, 파급력 및 석학들의 평가 등을 종합해 1년에 단 한편 시상하는 명실상부 통신네트워크 분야의 최고 논문상으로 1994년 제정 이후 MIT – Robert Gallarger, Dina Kattabi, Stanford Sachin Katti, UC Berkeley – Ion Stoica 교수 등 소수의 국제적인 석학들만이 수상의 영광을 누려왔다.

특별히, 정송 교수, 이경한 교수, 이인종 부사장 세 사람은 2013년에도 이 상을 공동 수상하여, 이번 선정으로 불과3년만에 두번째 수상의 쾌거를 달성하게 되었다. 이는 William R. Bennett Prize 가 수여되기 시작한 1994년 이래 단 두번째의 2회 수상으로, 한국 통신네트워크연구자들의 위상이 크게 높아지게 되었다.

이번 수상은 연구팀이 2013년 발표한모바일 데이터오프로딩(Mobile data offloading: How much can WiFi deliver?)’ 논문에 대한 것으로, 해당 연구는 인간의 이동성을 활용하여 스마트단말의 데이터소비를 최대 얼마까지 이동통신망에서 WiFi 네트워크로 분산시킬 수 있는지를 실제 사용자 실험과 다양한 이론을 통해 독창적인 방법으로 밝혀낸 최초의 연구로, 처음 연구가 발표된 이래 각종 학술지 논문 및 학술대회 논문들로부터 총 500회 이상 인용되었다.

연구팀은 이번 수상에 대해, “인간 행동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모바일네트워크 시스템이라는 공학적 모델에 접목한 융합 연구의 가치가 국제적으로 인정 받은 것이라며, 과학과 공학을 결합한 융합기술들이 당분간 새로운 가치들을 활발히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IEEE William R. Bennett Prize 의 시상은 말레이지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IEEE 국제통신학회(ICC) 에서 이루어진다.

기사 Link: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4/20/0200000000AKR20160420117600057.HTML?input=1195m

2015 가을학기 우수강의상 및 우수조교상

2015학년도 가을학기 우수강의상

과정

담당교수

과목코드

과목명

학부

최정우

EE202B

신호및시스템

대학원

윤준보

EE566

MEMS 전자공학

20160418203719678

2015학년도 가을학기 우수조교상

교과목

수상자

과정(학번)

지도교수

EE212 전자설계실습

이승제

박사과정(20145229)

김종환

EE305 전자설계및실험

김민주

박사과정(20145035)

김성대

20160418203902815

2015 연구실적평가 최우수상, 우수상, 2016 석사 우수 신입생

2015 연차 최우수상 수상자

년차

학생명(학번)

지도교수

1

전승배(20155297)

최양규

2

Jung Daniel Hyunsuk (20135565)

김정호

3

오태현 (20125466)

권인소

4

김대회 (20125042)

노용만

2016041820305847

2015 연차 우수상 수상자

연차

학생명 (학번)

지도교수

1

허재 (20155378)

최양규

 

전해곤 (20155301)

권인소

2

오현택 (20145182)

최준균

 

송치억 (20145155)

김정호

3

김홍석 (20135093)

김정호

 

홍인준 (20135350)

유회준

4

위주형 (20125198)

조병진

 

이재범 (20125237)

문건우

20160418203206883

2016 석사신입생 우수학생

학생명

학번

지도교수

이동재

20163435

김준모

박수진

20163251

조성환

20160418203330887

김용대 교수 GPS 보안 관련 KBS 9시 뉴스 등 언론 보도

우리 학부 김용대 교수가 북한 GPS 공격에 따른 방지책 등에 관련하여 뉴스 인터뷰 및 칼럼으로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뉴스 방송분의 동영상 및 칼럼은 아래 Link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60412103653879

4월 5일자 KBS 9시뉴스 방송분 (4:50 경)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59731&ref=A

4월 1일자 SBS 뉴스 방송분 (1:20 경)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502062&plink=ORI&cooper=NAVER

보안뉴스 칼럼 (4월 4일자)

http://www.cisokorea.org/news/view.asp?idx=14700&gubun=News&kind=01


박현욱 교수 연구실 서현석 박사과정 ICMRI 학회 우수논문상

박현욱 교수 연구실의 서현석 박사과정 학생이 ICMRI 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한 논문은 ‘Measurement of the Blood Pressure Using Phase difference in MRI‘입니다.

 

학회International Congres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CMRI) &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KSMRM (19 개국 725명 참여)

일시: 3 24() ~ 3 26()

장소: Grand Hilton Hotel, Seoul, Korea

수상자: 서현석 (박사과정 4년차) 

논문 제목: Measurement of the Blood Pressure Using Phase difference in MRI

논문 저자: 서현석, 민경탁, 박현욱 교수님

수상 내역: Best Poster Award



20160331101707530



최양규 교수 연구실 졸업생 한진우 박사 백악관 PECASE 수상

우리 학부 최양규 교수 연구실 졸업생 한진우 박사가 현지 기준 218일자로 백악관 OSTP 로부터 PECASE (Presidential Early Career Award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수상을 확정 받아 공식 보도되었습니다.

PECASE는 미국 대통령이 젊은 과학자에게 주는 최고 영예의 상으로 한진우 박사는 현재 NASA 소속으로서 수상하였으며 시상식은 올 봄 워싱턴 DC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보도 자료 Link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도 Link: https://www.whitehouse.gov/the-press-office/2016/02/18/president-obama-honors-extraordinary-early-career-scientists

20160302131240326

박인철 교수 연구실 공병용, 정재환 박사과정 Altera Design Contest 1st place

박인철 교수 연구실 공병용, 정재환 박사과정 학생이 2015 Altera Design Contest에서 1등상을 수상하였습니다.

1등팀에게만 주어지는 지도교수상을 함께 수상하였고 각각 트로피와 상장, 3위권에 한해 상금이 포함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회: 2015 Altera Design Contest

수상: 1등상 및 1등팀 지도교수 상

수상자: 박사과정 공병용, 정재환 (지도교수: 박인철)

프로젝트명: 5세대 이동통신용 Massive MIMO 시스템을 위한 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IDD) 수신기 설계 (An IDD Receiver for 5G Massive MIMO Systems)

일시: 2015. 12. 22

 

관련 기사 Link: http://elec4.co.kr/article/articleView.asp?idx=12633

 

 

20160212175419671

 

삼성전자 휴먼테크 논문대상 22회 대상 외 14편 수상

박현욱 교수 연구실 서현석 박사과정이 학부 최초로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개별 논문 총 15편 수상 (대상, 금상 1, 은상 5, 동상 4, 장려상 4)과 최다 제출 및 수상 학과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22회 삼성전자 휴먼테크 논문대상 수상자

구분

성명

지도교수

제목

대상

서현석

박현욱

Self-Gated Cardiac Cine MRI Using Phase Information

금상

방준석

조규형

A Fast Settling Load-Aware Pre-Emphasis Column Driver for 240Hz UHD Flat-Panel Displays

은상

김명종

김회린

Regularized Speaker Adaptation of KL-HMM for Dysarthric Speech Recognition

은상

김완

류승탁

A 0.6V 12b 10MS/s Low-noise Asynchronous SAR-Assisted Time-Interleaved SAR (SATI-SAR) ADC

은상

김영진

정송

Dual-side Optimization for Cost-Delay Tradeoff in Mobile Cloud Computing Systems

은상

전해곤

권인소

Stereo Matching with Color and Monochrome Cameras in Low-light Conditions

은상

최병권

한동수/박경수

DFC: Accelerating String Pattern Matching for Network Applications

동상

김선아

이상국

0.5 and 1.5 THz Monolithic Imagers in a 65 nm CMOS Adopting a VCO-Based Signal Processing

동상

배학열

최양규

섬유 기판위에 제작된 격자형태의 대면적 의류형 메모리

동상

신세운

조규형

A SIMO System with 10-Output Dual-Bus DC-DC Converter using Group Allocator

동상

이원주

강준혁

Multivariate Fronthaul Quantization for Downlink C-RAN: Algorithm Design

장려상

김승윤

조병진

Valley engineered silicon nano-mambrane for high performance junctionless transistors

장려상

김유창

유회준

A 0.55V 1.1mW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or for Autonomous Micro Robots

장려상

조동현

권인소

Natural Image Matting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장려상

채승호

최완

Optimal Access in Multi-RAT Cellular Networks: Can a Single RAT Access Be Better?

 

 

20160212175258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