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및전자공학부 유민수 교수, 2024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전산공학회(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 Architecture 학술대회의 명예의 전당 헌액
<유민수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유민수 교수, 2024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전산공학회(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 Architecture 학술대회의 명예의 전당 헌액
<유민수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이섭 교수 연구실 박준영 석사졸업생 국제 반도체 설계 자동화 학회(Design Automation Coference) 최우수 논문상 수상
<(좌측부터) 김이섭 교수, 박준영 석사졸업생, 강명구 박사졸업생, 김양곤 석사졸업생, 신재강 박사졸업생, 한윤기 박사과정 학생 사진>
수상한 연구는 박준영 씨의 석사 졸업 논문에 기반한 것으로서, Large Language Model 모델 추론의 문제점이 되는 KV 캐싱의 메모리 전송을 줄이는 알고리즘 근사 기법과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제안하였으며, 학회 best paper award 선정 위원회로부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발표논문 337편 중 (제출논문 1,545편) 선정된 4편의 후보 논문중에서 최종 best paper award 수상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학 회 명 : 2024 61st IEEE/ACM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DAC)
– 개최기간 : 2024년 6월 23일 ~ 27일
– 수 상 명 : Best Paper Award
– 저자 : 박준영, 강명구, 한윤기, 김양곤, 신재강, 김이섭(지도교수)
– 논 문 명 : Token-Picker : Accelerating Attention in Text Generation with Minimized Memory Transfer via Probability Estimation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신현 교수 연구팀, 차세대 뉴로모픽 컴퓨팅 신뢰성 문제를 풀다
<(좌측부터) 최신현 교수, 배종민 석사과정, 한양대 권초아 박사후연구원, 김상태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신현 교수 연구팀이 한양대학교 연구진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신뢰성과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종원자가 이온* 도핑 방법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 이종원자가 이온(Aliovalent ion): 원래 존재하던 원자와 다른 원자가(공유 결합의 척도, valance)를 갖는 이온을 말함
공동연구팀은 기존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가장 큰 문제인 불규칙한 소자 특성 변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이종원자가 이온을 도핑하는 방식으로 소자의 균일성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과 원자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원리를 규명했다.
< 그림 1.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종원자가 이온 도핑 결과, 그리고 개선 효과와 이에 기반하는 물질적인 원리 개념도 >
공동 연구팀은 이러한 불규칙한 소자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종원자가 할라이드(halide) 이온을 산화물 층 내에 적절히 주입하는 방법이 소자의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할 수 있음을 보고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방법으로 소자 동작의 균일성, 동작 속도, 그리고 성능이 증대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한, 원자 단위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결정질과 비결정질 환경에서 모두 실험적으로 확인한 결과와 일치하는 소자 성능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보고했다. 그 과정에서 도핑된 이종원자가 이온이 근처 산소 빈자리(oxygen vacancy)를 끌어당겨 안정적인 소자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이온 근처 공간을 넓혀 빠른 소자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를 밝혀냈다.
최신현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이종원자가 이온 도핑 방법은 뉴로모픽 소자의 신뢰성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방법으로서, 차세대 멤리스터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고, 밝혀낸 성능 향상 원리를 다양한 반도체 소자들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ˮ 고 밝혔다.
전기및전자공학부 배종민 석사과정, 한양대학교 권초아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6월호에 출판됐다. (논문명 : Tunable ion energy barrier modulation through aliovalent halide doping for reliable and dynamic memristive neuromorphic systems)
전기및전자공학부 노용만 교수 연구팀, GPT-4V 뛰어넘는 멀티모달 대형언어모델 개발
[1] CoLLaVO 데모 GIF 영상 https://github.com/ByungKwanLee/CoLLaVO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성민 교수 연구팀, 국제 최우수 모바일 컴퓨팅 학술대회 ACM MobiSys 2024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성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모바일 컴퓨팅 분야 최고 권위 국제 학술대회인 ACM MobiSys 2024에서 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을 수상하였다.
이는 지난 ACM MobiSys 2022 최우수 논문상 수상에 연이은 쾌거로, 동일 1저자가 모바일/무선네트워크 분야 3대 학회 (MobiSys, MobiCom, SenSys)에서 복수의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세계 첫 사례로 더욱 의미가 깊다.
전기및전자공학부 배강민 박사과정과 문한결 박사과정이 공동 1저자로 참여한 김성민 교수 연구팀은 밀리미터파 백스캐터를 이용, 장애물에 가려진 목표물을 cm 이하 정확도로 위치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실내 위치추적 기술의 안정성 및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스마트팩토리 및 증강현실(AR) 등 광범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보급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논문: https://doi.org/10.1145/3643832.3661857
공동연구팀은 유연성이 매우 뛰어난 초박막 OLED를 개발하여 이의 일부 발광 면적을 인접한 두 고립 영역 사이로 숨겨 넣는 방법으로, 신축성과 높은 발광 밀도를 동시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숨겨진 발광 영역은 신축 시 그 모습을 점차 드러내며 발광 면적비의 감소를 보상하는 메커니즘을 가능케 했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실, “디지털 뷔페에서 건강한 다이어트하기” 식이장애 환자들을 위한 먹방, 쿡방 등의 무분별한 음식 콘텐츠 악영향 방지위한 시스템 개발로 ACM CHI Best Paper Honorable Mention Award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유승협 교수 연구실 이선정, 최동호 박사과정, 2024 한국센서학회 춘계학술대회 최우수 발표 논문상과 우수 발표 논문상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연구실 권도아 학사과정, 2024 한국센서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 발표 논문상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교수 연구실 학사과정 권도아 학생이 2024 한국센서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발표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한국센서학회 춘계학술대회는 매년 봄, 가을 개최하는 학회이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 (DCC)에서 개최되었다.
권도아 학사과정생은 “Body-temperature softening electronic ink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transformative bioelectronics via direct writing” 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0 학회명: 2024 한국센서학회 춘계학술대회
0 개최기간: 2024년 4월 29일 ~ 30일
0 수상명: 우수 발표 논문상
0 저자: 권도아, 이시목, 정재웅 (지도교수)
0 논문명: Body-temperature softening electronic ink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transformative bioelectronics via direct writing
<(왼쪽부터) 정재웅 교수, 권도아 학사과정 학생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정호 교수, AI 반도체 신 생태계 조성 공동 협력을 위한 NAVER-Intel-KAIST AI 공동연구센터(NIK AI Research Center)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