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석 교수, IEEE ComSoc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 상 수상

최진석 교수, IEEE ComSoc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 상 수상

 

<최진석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진석 교수는 무선통신 분야에서 저전력 통신 시스템 개발에 대한 도전적인 연구들을 진행해오며 이 분야의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온 것을 인정받아 IEEE ComSoc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를 수상하였다.
이는 매년 Asia-Pacific 지역에서 통신분야의 젊은 우수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2023년도에 한국에서는 최진석 교수가 수상하게 되었다. 
 
최진석 교수는 무선 통신 분야에서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그의 주력 분야는 저전력 통신 시스템 개발로, 새로운 기술 및 솔루션의 탐구를 통해 이 분야의 발전을 선도해왔다.
그가 개발한 시스템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는 혁신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Inline image 2023 12 13 09.26.51.912
<(왼쪽부터) IEEE ComSoc AP 시상식 및 상패>

 

명현 교수 연구실 장서연 석사과정생, RiTA 2023 국제학술대회 Best Paper Award 수상

명현 교수 연구실 장서연 석사과정생, RiTA 2023 국제학술대회 Best Paper Award 수상

 

RiTA2023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실의 장서연 석사과정생 및 오민호유병호이승재, I Made Aswin Nahrendra 박사과정생임형태 박사가

지난 12 6일부터 8일까지 중국 타이창에서 개최된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RiTA 2023) 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회명: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RiTA 2023)

-개최기간: 2023 12 6 ~ 8

-개최장소시안 교통리버풀 대학 (중국 타이창)

-수상명: Best Paper Award

-저자장서연오민호유병호, I Made Aswin Nahrendra, 이승재임형태명현(지도교수)

-논문명: TOSS: Real-time Tracking and Moving Object Segmentation for Static Scene Mapping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 선정​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 선정​

 

images 000071 231212 ma2 2

<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 >

 

공과대학이 ‘올해의 자랑스러운 공과대학 동문’으로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을 선정했다. 

 

11일 오후 학술문화관(E9) 양승택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시상식에는 문재균 공과대학장, 이재우 공과대학 부학장, 강준혁 전기및전자공학부 학부장 등이 참석했다.

 

제7회 KAIST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로 선정된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수원 부사장은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 학사(1991년), 석사(1995년), 박사(2000년) 학위를 받았다. 

차 부사장은 10나노급 D램(DRAM) ‘테크 플랫폼(Tech.Platform)’을 도입해 SK하이닉스의 D램 발전을 이끈 주역이자 초고속 고대역폭 메모리(HBM2E) 및 고성능 서버에 활용되는 제품(DDR5)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주인공이다. 

 

특히, 반도체 패권 전쟁 및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글로벌 대외환경의 악화 속에서도 고대역폭메모리(HBM), 더블데이터레이트(Double Data Rate, DDR), 로우파워 더블 데이터 레이트(Low Power Double Data Rate, LPDDR) 등의 제품개발을 주도해 한국 메모리 경쟁력 강화 및 위상 제고에 크게 기여했다.

 

2019년 당시 최고속도인 3세대 고대역폭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2Extended, HBM2E)를 개발해 초고속 메모리의 발전을 주도했을 뿐만 아니라, 2020년 세계 최초로 16GB DDR5(Double Data Rate 5) D램을 출시해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이 빅데이터와 서버 시장 우위를 점하는 데 일조했다. 

 

images 000071 231212 ma1 1

< (왼쪽부터)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과 문재균 공과대학장 >

 

또한, 차 부사장은 기업의 경제적 이익 추구를 넘어서 국내 반도체 산업 생태계에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에도 앞장섰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기업, 학계 등과 SK하이닉스의 경계 없는 파트너십을 구축을 위해 미래 반도체 연구 분야와 그간의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리서치 웹사이트를 외부에 공개하고 동종업계를 포함한 학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열린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아울러, SK하이닉스의 분석 인프라를 국내 소재·부품·장비 업체와 공유해 반도체 산업 전반의 기술 경쟁력과 역량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향후, 선제적 기술 협력 강화, 지속 가능 경영을 위한 협력 추진 등을 통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 발전을 지속해서 선도할 계획이다. 

 

문재균 공과대학장은 “차선용 부사장이 테크 플랫폼을 도입 및 확장한 공로를 통해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속 D램을 출시하는 등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이끌어 학교 명예를 높였기에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라고 밝혔다. 

 

images 000071 231212 ma3 1

< (왼쪽 다섯 번째)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과 공과대학 관계자들 >

 

 

차 부사장은 시상식을 마친 후 ‘AI 컴퓨팅 시대를 선도하는 메모리 혁신의 원동력’이란 주제로 수상기념 강연을 진행했다.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은 산업기술 발전에 공헌하거나 뛰어난 학문 성취를 통해 학교의 명예를 높인 동문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으로 2014년 제정됐다. 2014년 제1회 동문상은 유태경 ㈜루멘스 대표가, 2015년 제2회 수상자로는 넥슨 창업자인 김정주 ㈜NXC 대표, 2017년 제3회에는 이우종 전 LG전자 VC사업본부 사장, 2019년 제4회 수상자로는 임병연 롯데케미칼(주) 대표이사, 2021년 제5회 김형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부사장, 2022년에는 김한곤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장이 각각 선정된 바 있다.

 

조성환 교수,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 수상

조성환 교수,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 수상

 

Inline image 2023 12 07 16.25.34.306

<조성환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조성환 교수는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조성환 교수는 아날로그 집적회로에서 도전적인 연구들을 진행해오며 이 분야의 국내외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습니다.
 
전통적인 아날로그 회로에서도 다수의 우수한 논문을 냈지만, 조성환 교수는 특히 주류가 아닌 독특한 연구 -낮은 전위를 극복하기 위한 시간 기반 회로와 CMOS 공정을 계산소자가 아닌 센싱소자로 사용하는 기법 등에 일찍이 도전하며, 새로운 돌파구로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조성환 교수의 아날로그 회로에 관련된 논문들의 인용수는 3,000회를 상회하며 주요 수상으로는 IEEE Circuits & Systems Society Best Paper Award와 ISSCC Outstanding Far-East Paper Award가 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 업적들을 인정받아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및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 Systems-I의 부편집장, SSCS Distinguished Lecturer 및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의 TPC Chair를 맡은 바 있습니다.
 
아울러 조성환 교수는 국내 반도체 교육의 발전을 위해 IDEC에서 20년째 봉사해오고 있으며 특히 sub-MPW 제도를 처음 도입하여 국내 대학의 MPW 접근성을 좀 더 용이하게 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붙임: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카달로그

명현 교수, 한국로봇학회 학술상 및 제어로봇시스템학회 IEEE 학술활동상 수상

명현 교수, 한국로봇학회 학술상 및 제어로봇시스템학회 IEEE 학술활동상 수상

 

<명현 교수 사진>

 

우리 학부 명현 교수가 국내 로봇 관련 양대 학회인 한국로봇학회와 제어로봇시스템학회에서 각각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명현 교수는 지난 12월 1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SC컨벤션에서 열린 한국로봇학회 정기총회에서 학술상을 수상했다. 

한국로봇학회 학술상은 매년 연말에 시상하는 한국로봇학회의 학회상으로서, 독창적인 연구성과와 저술활동을 통해 국내외 로봇 기술 및 관련 학문의 발전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연구자에게 포상하는 한국로봇학회 최고 권위의 상이다. 

 

명현 교수 연구팀은 로봇 자율 주행 분야에서 100여편의 SCI급 논문과 300여편의 국제학술대회 논문을 발표하는 등 관련 분야에서의 학문적인 성과와 더불어, 로봇 관련 최대 국제 학술대회인 2023 IEEE ICRA (Int’l Conf. Robotics and Automation, 영국 런던 개최) 자율보행 로봇 경진대회 우승 및 HILTI SLAM Challenge 2관왕 등의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을 하게 되었다. 

 

또한, 명현 교수는 지난 10월 19일 여수 베네치아호텔에서 개최된 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정기총회에서 IEEE 학술활동상을 수상하였다.

IEEE 학술활동상은 ICROS에서 매년 포상하는 6개의 학술상 중의 하나로서, IEEE 관련 학술 활동이 탁월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학술상이다. 

명현 교수는 금년 IEEE ICRA 자율보행 로봇 경진대회 우승 및 SLAM 대회 2관왕의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을 하게 되었다.

 

Inline image 2023 12 06 16.10.37.473

 <(왼쪽부터) 한국로봇학회 2023 학술상, ICROS 2023 IEEE 학술활동상>

 

Inline image 2023 12 06 16.12.19.303

<한국로봇학회 정기총회 시상식 장면 (좌)명현 교수, (우)한국로봇학회 회장 정낙영 교수>

 

/참고 링크/ 로봇신문 (2023.12.5): “한국로봇학회 2023 정기총회 성료”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16 

 

이시현 교수, IEEE Information Theory Society (정보이론학회) Distinguished Lecturer 선정

이시현 교수, IEEE Information Theory Society (정보이론학회) Distinguished Lecturer 선정

 

<이시현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시현 교수가 국제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정보이론학회 (Information Theory Society, ITSoc)의 ‘저명 강연자(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되어 2024년부터 2년동안 활동하게 되었다.
 
IEEE ITSoc는 매해 정보이론 분야에서 연구를 선도하는 세계 석학 수명을 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하여, 전세계 지부(chapter)에서의 초청 강연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학회 회원 및 대중들에게 최신의 연구 동향 및 우수 성과들에 관한 지식을 얻고 Distinguished Lecturer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시현 교수는 네트워크 정보이론 및 통계적 추론 분야에 대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되었으며, 최근에는 정보이론 분야 가장 권위있는 학회 중 하나인 IEEE Information Theory Workshop 2024의 TPC Co-Chair로 선임된 바 있다. 
 
현재 및 과거 IEEE ITSoc Distinguished Lecturer 명단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Link: https://www.itsoc.org/resources/dlp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 연구실 김민제 박사과정 제15회 ICT 논문 공모대재전 우수상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 연구실 김민제 박사과정 제15회 ICT 논문 공모대재전 우수상 수상

 

<(왼쪽부터) 최준일 교수, 김민제 박사과정 사진>

 

우리 학부 최준일 교수님 연구실 박사과정 김민제 학생이 전자신문사, 웹케시그룹, 소프트웨어공제조합이 공동 주최한 ‘제15회 ICT 논문 공모 대제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특히, 최준일 교수님 연구팀은 이번 우수상을 포함하여 지난 5년간 ICT 논문 공모 대제전에서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김민제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논문명 : Meta-Heuristic Fronthaul Bit Allocation for Cell-free Massive MIMO Systems)는 Cell-free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프론트홀 링크 용량의 분배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 연구로, 단말과 AP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의 계산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습니다.

 

관련언론기사 : https://www.etnews.com/20231117000193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유창동교수 연구실 윤선재(박사과정) 최우수 논문상 수상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유창동교수 연구실 윤선재(박사과정) 최우수 논문상 수상

 

Inline image 2023 12 01 17.35.13.048

<(왼쪽부터) 유창동 교수, 윤선재 박사과정 사진>
 
 
우리 학부 유창동 교수님 연구실의 윤선재 박사과정생이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인공지능학회 매년 봄, 가을 개최하는 학회이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1월 23일부터 25일까지 네이버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윤선재 박사과정생은 “Pivotal Prompt Tuning for Video Dynamic Editing”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 학회명: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추계학술대회
0 개최기간: 2023년 11월 23일 ~ 25일
0 수상명: 최우수 논문상
0 저자: 윤선재, 구관형, 홍지우, 윤희석, 유창동 (지도교수)
0 논문명: Pivotal Prompt Tuning for Video Dynamic Editing
 
 
 
Inline image 2023 12 01 17.36.34.177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용대, 조성환 교수 2024 IEEE 석학회원 선임 안내

Inline image 2023 11 29 15.32.37.819

<(왼쪽부터) 김용대 교수, 조성환 교수 사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는 1986년 (故) 은종관 추모교수가 석학회원으로 선임된 이후 23명(총 24명)의 교수가 석학회원으로 선임됐다.

2024년처럼 2명 이상의 석학회원이 동시 선임된 것은 2008년 이주장 교수와 유회준 교수, 2009년 경종민 교수, 김종환 교수, 송익호 교수, 2016년 조규형 교수와 김정호 교수, 2023년 서창호 교수와 최경철 교수가 있으며,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2명의 석학회원이 선임되었다.
 
김용대 교수는 보안 전문가로 이동통신, 분산 시스템, 사이버 물리 시스템 등 새롭게 만들어지는 응용 시스템의 다양한 취약점을 미리 찾고 이를 개선하는데 세계적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이동통신 분야에서는 LTE, 5G 표준의 설계 취약점들을 찾아 개선하는 연구를 하면서 휴대폰, 기지국, 코어망 등의 여러 취약점을 제조사에 제보하여 안전하게 고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 수사, 탐지 등의 기술 또한 개발하고 있다.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분야에서는 소리를 이용해 드론의 IMU 센서에 공진을 일으키거나, 전자파를 이용하여 드론을 떨어뜨리는 등 안티 드론 기술을 연구하고 있고, 자율 주행에 사용되는 다양한 센서들의 취약점을 발굴하는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보안 4대 학회에서 프로그램위원, 조정위원, 운영위원장 등을 맡으며 보안 학회에서 국내 연구의 위상을 올리는 데 오랫동안 노력해 왔다. 
김용대 교수는 향후 5G 이동통신 표준의 설계 취약점들에 대해 분석을 하고 이를 개선하는 해결책을 개발하여 6G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되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에 대한 안전성 테스팅 방법, 새로운 안티 드른 기술 연구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조성환 교수는 반도체 집적회로설계 전문가로 아날로그 집적회로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로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특히 낮은 전위를 극복하기 위한 시간 기반 회로와 CMOS 공정을 계산소자가 아닌 센싱소자로 사용하는 기법에 일찍이 도전하면서 새로운 돌파구로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IEEE Circuits & Systems Society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고 ISSCC Outstanding Far-East Paper Award도 수상했으며,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와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 Systems-I의 Associate Editor, Distinguished Lecturer 등을 맡은 바 있다. 이번에 Solid-State Circuit Society에서 Fellow로 선임 되었다.
조성환 교수는 아날로그 회로 기술을 활용하여 메모리 반도체와 인공지능 반도체의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하여 기술 사업화를 할 예정이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 컴퓨터 없이 독립 서버로 운영 가능한 ‘도커SSD’ 개발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 컴퓨터 없이 독립 서버로 운영 가능한 ‘도커SSD’ 개발

 

Inline image 2023 11 29 10.14.46.051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권미령 박사, 정명수 교수, 국동현, 배한여름 박사과정>

 

우리 학부 정명수 교수님 연구팀이 컴퓨터 없이도 독립 서버로 운영되며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저장장치, ‘도커SSD’를 개발하였습니다.

개발한 도커SSD는 저장장치 내에 가상화 운영체제 환경인 도커(Docker)를 적용하여 응용 실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실행 환경을 모두 갖추었습니다. 덕분에 도커SSD는 사용자가 고성능 저전력 스마트 SSD 기술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연구팀은 도커SSD가 기존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스토리지 기반 모델보다 처리속도가 2배 빠르고, 전력소모도 2배 낮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 SSD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의 이동을 최소화해 처리 속도를 높여주는 기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메모리/스토리지 제조사들이 이 기술을 적용하고자 많은 방식을 제안했지만, 이들은 낮은 사용자 편의성 때문에 보급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제조사들이 내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을 공개하지 않기 위해, 내부 환경을 각자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이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응용을 수정하도록 강제했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스마트 SSD 기술의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가상화 운영체제 환경 ‘도커’를 저장장치 내에서 실행하는 방법인 도커SSD를 개발했습니다. 도커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같이 운영체제 상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에 필요한 모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커 SSD는 기존 호스트에서 사용되던 환경을 SSD내에서 그대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스토리지 내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도커SSD는 고성능 저전력 스마트 SSD 기술에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더하여 국내·외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기관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Inline image 2023 11 29 10.19.14.910
(그림 1 도커SSD의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Inline image 2023 11 29 10.20.30.720

(그림 2  연구팀이 제시한 도커SSD의 로고)

 
국동현, 권미령, 그리고 배한여름 박사과정생들이 참여한 이번 논문(논문명: DockerSSD: Containerized In-Storage Processing and Hardware Acceleration for Computational SSDs)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오는 3월에 열릴 컴퓨터 구조 최우수 학술대회인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Performance Computer Architecture, HPCA, 2024’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해당 연구는 KAIST 교원창업 기업인 파네시아(http://panmnesia.com)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구실 웹사이트(http://camelab.org)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도록 관련 링크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Link]
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50506?sid=105
동아사이언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25070?sid=105
전자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160306?sid=102
인공지능신문: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9501
헤럴드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230110?sid=105
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12851?sid=105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sm=tab_tnw&query=%EB%8F%84%EC%BB%A4ssd&nso=so:r,p:all,a:all&related=1&docid=4210007199396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w=news&DA=SBC&cluster=y&q=%EB%8F%84%EC%BB%A4SSD+KA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