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수 교수 연구팀, CXL 탑재 AI 가속기로 美CES 2024서 혁신상 수상

정명수 교수 연구팀, CXL 탑재 AI 가속기로 美CES 2024서 혁신상 수상

 

Inline image 2024 01 17 10.54.55.413

<(좌측부터) CXL 탑재 AI 가속기 대표 이미지 및 시스템>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님 연구팀이 세계 최대 규모의 IT 박람회 ‘CES 2024’에서 혁신상 수상작 ‘CXL 탑재 AI 가속기(CXL-Enabled AI Accelerator)’를 선보였습니다.

연구팀의 ‘CXL 탑재 AI 가속기’는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omputer Express Link, CXL) 기술을 통해 시스템에 무한대에 가까운 용량의 빠른 메모리 자원을 제공하여, 대규모 AI 기반 서비스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AI 기반 서비스인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평가에서, 정명수 교수 연구팀은 CXL 기술이 적용된 가속 시스템이 기존의 SSD 기반 가속시스템 대비 101배 빠른 성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수상작의 핵심인 CXL은 데이터처리 가속기, 메모리 확장장치, 프로세서, 스위치 등 다양한 시스템 장치를 고속으로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여러 가속기 및 메모리 확장장치의 내부 메모리를 시스템에 연결하여 AI 서비스에 확장가능한 메모리 자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AI 서비스는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릍 통해 정확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AI 가속기가 제한된 메모리 용량으로 인해, 대용량의 데이터 관리에 느린 저장장치를 사용해야하던 것과 대비됩니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AI 가속기 내부를 이미지 검색에 특화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높였습니다. AI 기반 서비스의 정확도 및 품질은 경쟁적인 AI 업계에서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만큼, 연구팀의 기술은 산업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명수 교수님 연구팀은 이번 연구개발의 결과물을 지난주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 전시하였습니다. 가속기는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CES 주관기관으로부터 CES 혁신상을 수상하였으며, IEEE Spectrum, Storage Newsletter, Blocks and Files, Design and Reuse, TechRadar, 등의 해외 언론, 조선일보, 조선비즈, 한국경제, 서울경제, 파이낸셜뉴스, ZDnet 등의 국내 유수 언론을 포함한 20개 이상의 언론사가 부스에 방문하고, 출품 소식을 전하였습니다.
 
특히 한국경제에서는 연구팀의 기술을 ‘AI 도입 비용 문제의 해결책’으로써 대중들에게 소개하였습니다.
연구팀의 권미령 박사는 EETimes와의 단독 인터뷰에 초청받아 국제 CXL 기술의 현황을 소개하였으며 EETimes는“최신 CXL 표준을 지원하는 연구팀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데이터센터 수준의 고효율 메모리 확장을 실현할 수 있다”며 연구팀의 기술을 소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연구팀의 기술은 이번 CES 기간 동안 산업계로부터 집중적인 관심을 받았습니다. 세계 최대 IP 기업 ARM으로부터 초청받아 프라이빗 미팅을 진행하였으며, 글로벌 클라우드/데이터센터 기업 휴렛페커드(HPE),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본사로부터 단독 대규모 미팅 제의를 받아 CXL 후속 협업등의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지 부스를 통해서 연구팀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인텔, 케이던스 등 다양한 글로벌 대기업의 고위 임원들과 국내 귀빈등에게 CXL 선도기술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성과는 우리 학부 정명수 교수님 연구실 학생들과 파네시아가 힘을 합친 결과입니다. 파네시아는 카이스트 교원창업기업이자 CXL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입니다. 
카이스트 스타트업인 파네시아는 오는 19일 대전에서 개최되는 CXL 테크데이 행사를 통해서 CES에 소개된 CXL이외에도 다양한 최신 CXL 기술을 여러 학부생들과 공유할 예정입니다.
테크데이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관련소개 뉴스 링크: https://news.nate.com/view/20231229n21475?mid=n0105).

 

Inline image 2024 01 17 10.55.36.861

<카이스트 전시관 연구팀 전시부스 방문객>
 
 

이성주 교수 연구팀, 사용자 음성 및 테스트 기반 정신 건강 진단 스마트폰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이성주 교수 연구팀, 사용자 음성 및 테스트 기반 정신 건강 진단 스마트폰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6583fcfb97c76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사용자의 언어 사용 패턴을 개인정보 유출 없이 스마트폰에서 자동으로 분석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일상적으로 사용하기만 해도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 및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임상적으로 이뤄지는 정신질환 진단이 환자와의 상담을 통한 언어 사용 분석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기술에서는 (1)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문자 메시지 등의 키보드 입력 내용과, (2) 스마트폰 위 마이크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신건강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언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어 기존에는 활용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번 기술에는 연합학습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됐는데, 이는 사용자 기기 외부로의 데이터 유출 없이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해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인공지능 모델은 일상 대화 내용과 화자의 정신건강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학습되었다. 모델은 스마트폰에서 입력으로 주어지는 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학습된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정신건강 척도를 예측한다. 
 
더 나아가, 연구팀은 스마트폰 위 대량으로 주어지는 사용자 언어 데이터로부터 효과적인 정신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사용자들이 언어를 사용하는 패턴이 실생활 속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에 착안해, 스마트폰 위에서 주어지는 현재 상황에 대한 단서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모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언어 데이터에 집중하도록 설계했다. 
 
예를 들어, 업무 시간보다는 저녁 시간에 가족 또는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에 정신건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단서가 많다고 인공지능 모델이 판단해 중점을 두고 분석하는 식이다. 
 
이번 논문은 KAIST 신재민 박사과정(전산학부), 윤형준 박사과정, 이승주 석사과정, 이성주 교수(이상 전기및전자공학부)와 박성준 SoftlyAI 대표(KAIST 졸업생), 중국 칭화대학교 윤신 리우(Yunxin Liu) 교수, 그리고 미국 에모리(Emory) 대학교 최진호 교수의 공동연구로 이뤄졌다. 
 
이번 논문은 올해 12월 6일부터 10일까지 싱가폴에서 열린 자연어 처리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EMNLP(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서 발표됐다. 
※ 논문명(FedTherapist: Mental Health Monitoring with User-Generated Linguistic Expressions on Smartphones via Federated Learning)
 
이성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모바일 센싱,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심리학 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져서 의미가 깊으며, 정신질환으로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생활 침범의 걱정 없이 스마트폰 사용만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조기진단 할 수 있게 되었다ˮ라며, “이번 연구가 서비스화되어 사회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ˮ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No. 2022-0-00495, 휴대폰 단말에서의 보이스피싱 탐지 예방 기술 개발, No. 2022-0-00064, 감정노동자의 정신건강 위험 예측 및 관리를 위한 휴먼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Inline image 2023 12 19 16.28.15.531
 
<그림 1. 스마트폰 위 사용자 음성 및 키보드 입력 기반, 연합학습을 활용한 정신 건강 진단 기술>
 
 
Inline image 2023 12 19 16.28.42.148
 
<그림 2. 본 연구의 스마트폰 위 사용자 음성 및 키보드 입력 기반, 연합학습을 활용한 정신건강 진단 기술의 모식도>
 
 
 
 

 

 

이현주 & 최준일 교수, 2024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신입회원 선정

이현주 & 최준일 교수, 2024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신입회원 선정

 

 최신

<(왼쪽부터) 이현주 교수, 최준일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이현주 교수와 최준일 교수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하 ‘한림원’) ‘2024 Y-KAST’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Y-KAST 회원은 만 43세 이하 젊은 과학자 중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이며, 한림원은 박사학위 후 국내에서 독립적 연구자로서 이룬 성과를 중점 평가해,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과학기술리더를 최종 선출하였다. 
 
한림원은  2023년 12월 13일 오후 4시, ‘2023 Y-KAST Members Day’를 개최하고, 신임 Y-KAST 회원에 대한 회원패 수여와 연구업적 소개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림원장은 “한림원은 우리나라 젊은 과학자들이 국내 과학기술 정책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의견을 제시하고, 세계 과학기술계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며 “특히 전 세계 영아카데미와의 국제협력사업을 확대하여 각국 우수한 젊은 과학자들과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협업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주교수 연구활동 : 뇌-기계 인터페이스 (BMI)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인체 및 신경 인터페이스 연구를 수행하고 초음파 뇌자극이 수면 및 단기 기억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냄
 
최준일교수 연구활동 : 차세대 무선통신에 필수적인 거대다중안테나 시스템 및 기계학습과 메타물질을 활용한 통신시스템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
 
 
[관련링크] :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3/12/11/ILKDRSXQMJE3NNICKF3VVMRHOI/
 
 
 
                                     

최진석 교수, IEEE ComSoc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 상 수상

최진석 교수, IEEE ComSoc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 상 수상

 

<최진석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진석 교수는 무선통신 분야에서 저전력 통신 시스템 개발에 대한 도전적인 연구들을 진행해오며 이 분야의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온 것을 인정받아 IEEE ComSoc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를 수상하였다.
이는 매년 Asia-Pacific 지역에서 통신분야의 젊은 우수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2023년도에 한국에서는 최진석 교수가 수상하게 되었다. 
 
최진석 교수는 무선 통신 분야에서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그의 주력 분야는 저전력 통신 시스템 개발로, 새로운 기술 및 솔루션의 탐구를 통해 이 분야의 발전을 선도해왔다.
그가 개발한 시스템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는 혁신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Inline image 2023 12 13 09.26.51.912
<(왼쪽부터) IEEE ComSoc AP 시상식 및 상패>

 

명현 교수 연구실 장서연 석사과정생, RiTA 2023 국제학술대회 Best Paper Award 수상

명현 교수 연구실 장서연 석사과정생, RiTA 2023 국제학술대회 Best Paper Award 수상

 

RiTA2023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실의 장서연 석사과정생 및 오민호유병호이승재, I Made Aswin Nahrendra 박사과정생임형태 박사가

지난 12 6일부터 8일까지 중국 타이창에서 개최된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RiTA 2023) 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회명: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RiTA 2023)

-개최기간: 2023 12 6 ~ 8

-개최장소시안 교통리버풀 대학 (중국 타이창)

-수상명: Best Paper Award

-저자장서연오민호유병호, I Made Aswin Nahrendra, 이승재임형태명현(지도교수)

-논문명: TOSS: Real-time Tracking and Moving Object Segmentation for Static Scene Mapping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 선정​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 선정​

 

images 000071 231212 ma2 2

<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 >

 

공과대학이 ‘올해의 자랑스러운 공과대학 동문’으로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을 선정했다. 

 

11일 오후 학술문화관(E9) 양승택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시상식에는 문재균 공과대학장, 이재우 공과대학 부학장, 강준혁 전기및전자공학부 학부장 등이 참석했다.

 

제7회 KAIST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로 선정된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수원 부사장은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 학사(1991년), 석사(1995년), 박사(2000년) 학위를 받았다. 

차 부사장은 10나노급 D램(DRAM) ‘테크 플랫폼(Tech.Platform)’을 도입해 SK하이닉스의 D램 발전을 이끈 주역이자 초고속 고대역폭 메모리(HBM2E) 및 고성능 서버에 활용되는 제품(DDR5)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주인공이다. 

 

특히, 반도체 패권 전쟁 및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글로벌 대외환경의 악화 속에서도 고대역폭메모리(HBM), 더블데이터레이트(Double Data Rate, DDR), 로우파워 더블 데이터 레이트(Low Power Double Data Rate, LPDDR) 등의 제품개발을 주도해 한국 메모리 경쟁력 강화 및 위상 제고에 크게 기여했다.

 

2019년 당시 최고속도인 3세대 고대역폭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2Extended, HBM2E)를 개발해 초고속 메모리의 발전을 주도했을 뿐만 아니라, 2020년 세계 최초로 16GB DDR5(Double Data Rate 5) D램을 출시해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이 빅데이터와 서버 시장 우위를 점하는 데 일조했다. 

 

images 000071 231212 ma1 1

< (왼쪽부터)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과 문재균 공과대학장 >

 

또한, 차 부사장은 기업의 경제적 이익 추구를 넘어서 국내 반도체 산업 생태계에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에도 앞장섰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기업, 학계 등과 SK하이닉스의 경계 없는 파트너십을 구축을 위해 미래 반도체 연구 분야와 그간의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리서치 웹사이트를 외부에 공개하고 동종업계를 포함한 학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열린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아울러, SK하이닉스의 분석 인프라를 국내 소재·부품·장비 업체와 공유해 반도체 산업 전반의 기술 경쟁력과 역량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향후, 선제적 기술 협력 강화, 지속 가능 경영을 위한 협력 추진 등을 통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 발전을 지속해서 선도할 계획이다. 

 

문재균 공과대학장은 “차선용 부사장이 테크 플랫폼을 도입 및 확장한 공로를 통해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속 D램을 출시하는 등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이끌어 학교 명예를 높였기에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라고 밝혔다. 

 

images 000071 231212 ma3 1

< (왼쪽 다섯 번째)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부사장과 공과대학 관계자들 >

 

 

차 부사장은 시상식을 마친 후 ‘AI 컴퓨팅 시대를 선도하는 메모리 혁신의 원동력’이란 주제로 수상기념 강연을 진행했다.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은 산업기술 발전에 공헌하거나 뛰어난 학문 성취를 통해 학교의 명예를 높인 동문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으로 2014년 제정됐다. 2014년 제1회 동문상은 유태경 ㈜루멘스 대표가, 2015년 제2회 수상자로는 넥슨 창업자인 김정주 ㈜NXC 대표, 2017년 제3회에는 이우종 전 LG전자 VC사업본부 사장, 2019년 제4회 수상자로는 임병연 롯데케미칼(주) 대표이사, 2021년 제5회 김형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부사장, 2022년에는 김한곤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장이 각각 선정된 바 있다.

 

조성환 교수,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 수상

조성환 교수,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 수상

 

Inline image 2023 12 07 16.25.34.306

<조성환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조성환 교수는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조성환 교수는 아날로그 집적회로에서 도전적인 연구들을 진행해오며 이 분야의 국내외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습니다.
 
전통적인 아날로그 회로에서도 다수의 우수한 논문을 냈지만, 조성환 교수는 특히 주류가 아닌 독특한 연구 -낮은 전위를 극복하기 위한 시간 기반 회로와 CMOS 공정을 계산소자가 아닌 센싱소자로 사용하는 기법 등에 일찍이 도전하며, 새로운 돌파구로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조성환 교수의 아날로그 회로에 관련된 논문들의 인용수는 3,000회를 상회하며 주요 수상으로는 IEEE Circuits & Systems Society Best Paper Award와 ISSCC Outstanding Far-East Paper Award가 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 업적들을 인정받아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및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 Systems-I의 부편집장, SSCS Distinguished Lecturer 및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의 TPC Chair를 맡은 바 있습니다.
 
아울러 조성환 교수는 국내 반도체 교육의 발전을 위해 IDEC에서 20년째 봉사해오고 있으며 특히 sub-MPW 제도를 처음 도입하여 국내 대학의 MPW 접근성을 좀 더 용이하게 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붙임: 2023년 제3회 반도체공학회 카달로그

명현 교수, 한국로봇학회 학술상 및 제어로봇시스템학회 IEEE 학술활동상 수상

명현 교수, 한국로봇학회 학술상 및 제어로봇시스템학회 IEEE 학술활동상 수상

 

<명현 교수 사진>

 

우리 학부 명현 교수가 국내 로봇 관련 양대 학회인 한국로봇학회와 제어로봇시스템학회에서 각각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명현 교수는 지난 12월 1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SC컨벤션에서 열린 한국로봇학회 정기총회에서 학술상을 수상했다. 

한국로봇학회 학술상은 매년 연말에 시상하는 한국로봇학회의 학회상으로서, 독창적인 연구성과와 저술활동을 통해 국내외 로봇 기술 및 관련 학문의 발전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연구자에게 포상하는 한국로봇학회 최고 권위의 상이다. 

 

명현 교수 연구팀은 로봇 자율 주행 분야에서 100여편의 SCI급 논문과 300여편의 국제학술대회 논문을 발표하는 등 관련 분야에서의 학문적인 성과와 더불어, 로봇 관련 최대 국제 학술대회인 2023 IEEE ICRA (Int’l Conf. Robotics and Automation, 영국 런던 개최) 자율보행 로봇 경진대회 우승 및 HILTI SLAM Challenge 2관왕 등의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을 하게 되었다. 

 

또한, 명현 교수는 지난 10월 19일 여수 베네치아호텔에서 개최된 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정기총회에서 IEEE 학술활동상을 수상하였다.

IEEE 학술활동상은 ICROS에서 매년 포상하는 6개의 학술상 중의 하나로서, IEEE 관련 학술 활동이 탁월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학술상이다. 

명현 교수는 금년 IEEE ICRA 자율보행 로봇 경진대회 우승 및 SLAM 대회 2관왕의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을 하게 되었다.

 

Inline image 2023 12 06 16.10.37.473

 <(왼쪽부터) 한국로봇학회 2023 학술상, ICROS 2023 IEEE 학술활동상>

 

Inline image 2023 12 06 16.12.19.303

<한국로봇학회 정기총회 시상식 장면 (좌)명현 교수, (우)한국로봇학회 회장 정낙영 교수>

 

/참고 링크/ 로봇신문 (2023.12.5): “한국로봇학회 2023 정기총회 성료”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16 

 

이시현 교수, IEEE Information Theory Society (정보이론학회) Distinguished Lecturer 선정

이시현 교수, IEEE Information Theory Society (정보이론학회) Distinguished Lecturer 선정

 

<이시현 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시현 교수가 국제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정보이론학회 (Information Theory Society, ITSoc)의 ‘저명 강연자(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되어 2024년부터 2년동안 활동하게 되었다.
 
IEEE ITSoc는 매해 정보이론 분야에서 연구를 선도하는 세계 석학 수명을 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하여, 전세계 지부(chapter)에서의 초청 강연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학회 회원 및 대중들에게 최신의 연구 동향 및 우수 성과들에 관한 지식을 얻고 Distinguished Lecturer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시현 교수는 네트워크 정보이론 및 통계적 추론 분야에 대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Distinguished Lecturer로 선정되었으며, 최근에는 정보이론 분야 가장 권위있는 학회 중 하나인 IEEE Information Theory Workshop 2024의 TPC Co-Chair로 선임된 바 있다. 
 
현재 및 과거 IEEE ITSoc Distinguished Lecturer 명단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Link: https://www.itsoc.org/resources/dlp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 연구실 김민제 박사과정 제15회 ICT 논문 공모대재전 우수상 수상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 연구실 김민제 박사과정 제15회 ICT 논문 공모대재전 우수상 수상

 

<(왼쪽부터) 최준일 교수, 김민제 박사과정 사진>

 

우리 학부 최준일 교수님 연구실 박사과정 김민제 학생이 전자신문사, 웹케시그룹, 소프트웨어공제조합이 공동 주최한 ‘제15회 ICT 논문 공모 대제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특히, 최준일 교수님 연구팀은 이번 우수상을 포함하여 지난 5년간 ICT 논문 공모 대제전에서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김민제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논문명 : Meta-Heuristic Fronthaul Bit Allocation for Cell-free Massive MIMO Systems)는 Cell-free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프론트홀 링크 용량의 분배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 연구로, 단말과 AP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의 계산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습니다.

 

관련언론기사 : https://www.etnews.com/2023111700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