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1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2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3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4
  • 6
Learn More
학부소개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세계 최고 IT 강국,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가 만들어갑니다.

전기및전자공학부는 KAIST공과대학 소속의 학교
최대학과로서 대한민국, 나아가 전세계 전기및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5
  • 6
Learn More
AI in E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 key thrust in EE research

AI/machine learning  efforts are already   a big part of   ongoing
research in all 6 divisions - Computer, Communication, Signal,
Wave, Circuit and Device - of KAIST EE 

  • 6
  • 6
Learn More
Previous slide
Next slide

Highlights

KakaoTalk 20231027 002147117 06
2023년 10월 전기및전자공학부 제1회 대학원 풋살대회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코로나 팬대믹이 끝난 후 대학원생들간의 네트워킹시간을 가지고자  대학원 학생행사기획단에서 직접 기획한 행사로,
총 16팀이 참여한 이번 대회에서는 치열한 접전 끝에  “황의종, 한동수, 김상현 교수님 연구실 (주장: 오지오)”팀이 우승을 차지하였습니다.
대회에 많은 관심 가져주신 대학원생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있을 전기및전자공학부 대학원생 행사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656ece3fdbd05 KakaoTalk 20231027 002147117 06 KakaoTalk 20231027 002115981 09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 연구실 김민제 박사과정 제15회 ICT 논문 공모대재전 우수상 수상

 

<(왼쪽부터) 최준일 교수, 김민제 박사과정 사진>

 

우리 학부 최준일 교수님 연구실 박사과정 김민제 학생이 전자신문사, 웹케시그룹, 소프트웨어공제조합이 공동 주최한 ‘제15회 ICT 논문 공모 대제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특히, 최준일 교수님 연구팀은 이번 우수상을 포함하여 지난 5년간 ICT 논문 공모 대제전에서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김민제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논문명 : Meta-Heuristic Fronthaul Bit Allocation for Cell-free Massive MIMO Systems)는 Cell-free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프론트홀 링크 용량의 분배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 연구로, 단말과 AP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의 계산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습니다.

 

관련언론기사 : https://www.etnews.com/20231117000193

 

Inline image 2023 12 01 17.35.13.048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유창동교수 연구실 윤선재(박사과정) 최우수 논문상 수상

 

Inline image 2023 12 01 17.35.13.048

<(왼쪽부터) 유창동 교수, 윤선재 박사과정 사진>
 
 
우리 학부 유창동 교수님 연구실의 윤선재 박사과정생이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인공지능학회 매년 봄, 가을 개최하는 학회이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1월 23일부터 25일까지 네이버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윤선재 박사과정생은 “Pivotal Prompt Tuning for Video Dynamic Editing”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 학회명: 2023 한국인공지능학회 추계학술대회
0 개최기간: 2023년 11월 23일 ~ 25일
0 수상명: 최우수 논문상
0 저자: 윤선재, 구관형, 홍지우, 윤희석, 유창동 (지도교수)
0 논문명: Pivotal Prompt Tuning for Video Dynamic Editing
 
 
 
Inline image 2023 12 01 17.36.34.177

 

Inline image 2023 11 29 15.32.37.819

Inline image 2023 11 29 15.32.37.819

<(왼쪽부터) 김용대 교수, 조성환 교수 사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는 1995년 김충기 명예교수가 석학회원으로 선임된 이후 22명의 교수가 석학회원으로 선임됐다.
2024년처럼 2명 이상의 석학회원이 동시 선임된 것은 2008년 이주장 교수와 유회준 교수, 2009년 경종민 교수, 김종환 교수, 송익호 교수, 2016년 조규형 교수와 김정호 교수, 2023년 서창호 교수와 최경철 교수가 있으며,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2명의 석학회원이 선임되었다.
 
김용대 교수는 보안 전문가로 이동통신, 분산 시스템, 사이버 물리 시스템 등 새롭게 만들어지는 응용 시스템의 다양한 취약점을 미리 찾고 이를 개선하는데 세계적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이동통신 분야에서는 LTE, 5G 표준의 설계 취약점들을 찾아 개선하는 연구를 하면서 휴대폰, 기지국, 코어망 등의 여러 취약점을 제조사에 제보하여 안전하게 고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 수사, 탐지 등의 기술 또한 개발하고 있다.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분야에서는 소리를 이용해 드론의 IMU 센서에 공진을 일으키거나, 전자파를 이용하여 드론을 떨어뜨리는 등 안티 드론 기술을 연구하고 있고, 자율 주행에 사용되는 다양한 센서들의 취약점을 발굴하는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보안 4대 학회에서 프로그램위원, 조정위원, 운영위원장 등을 맡으며 보안 학회에서 국내 연구의 위상을 올리는 데 오랫동안 노력해 왔다. 
김용대 교수는 향후 5G 이동통신 표준의 설계 취약점들에 대해 분석을 하고 이를 개선하는 해결책을 개발하여 6G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되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에 대한 안전성 테스팅 방법, 새로운 안티 드른 기술 연구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조성환 교수는 반도체 집적회로설계 전문가로 아날로그 집적회로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로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특히 낮은 전위를 극복하기 위한 시간 기반 회로와 CMOS 공정을 계산소자가 아닌 센싱소자로 사용하는 기법에 일찍이 도전하면서 새로운 돌파구로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IEEE Circuits & Systems Society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고 ISSCC Outstanding Far-East Paper Award도 수상했으며,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와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 Systems-I의 Associate Editor, Distinguished Lecturer 등을 맡은 바 있다. 이번에 Solid-State Circuit Society에서 Fellow로 선임 되었다.
조성환 교수는 아날로그 회로 기술을 활용하여 메모리 반도체와 인공지능 반도체의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하여 기술 사업화를 할 예정이다.
 

 

CAMEL2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 컴퓨터 없이 독립 서버로 운영 가능한 ‘도커SSD’ 개발

 

Inline image 2023 11 29 10.14.46.051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권미령 박사, 정명수 교수, 국동현, 배한여름 박사과정>

 

우리 학부 정명수 교수님 연구팀이 컴퓨터 없이도 독립 서버로 운영되며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저장장치, ‘도커SSD’를 개발하였습니다.

개발한 도커SSD는 저장장치 내에 가상화 운영체제 환경인 도커(Docker)를 적용하여 응용 실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실행 환경을 모두 갖추었습니다. 덕분에 도커SSD는 사용자가 고성능 저전력 스마트 SSD 기술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연구팀은 도커SSD가 기존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스토리지 기반 모델보다 처리속도가 2배 빠르고, 전력소모도 2배 낮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 SSD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의 이동을 최소화해 처리 속도를 높여주는 기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메모리/스토리지 제조사들이 이 기술을 적용하고자 많은 방식을 제안했지만, 이들은 낮은 사용자 편의성 때문에 보급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제조사들이 내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을 공개하지 않기 위해, 내부 환경을 각자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이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응용을 수정하도록 강제했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스마트 SSD 기술의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가상화 운영체제 환경 ‘도커’를 저장장치 내에서 실행하는 방법인 도커SSD를 개발했습니다. 도커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같이 운영체제 상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에 필요한 모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커 SSD는 기존 호스트에서 사용되던 환경을 SSD내에서 그대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스토리지 내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도커SSD는 고성능 저전력 스마트 SSD 기술에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더하여 국내·외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기관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Inline image 2023 11 29 10.19.14.910
(그림 1 도커SSD의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Inline image 2023 11 29 10.20.30.720

(그림 2  연구팀이 제시한 도커SSD의 로고)

 
국동현, 권미령, 그리고 배한여름 박사과정생들이 참여한 이번 논문(논문명: DockerSSD: Containerized In-Storage Processing and Hardware Acceleration for Computational SSDs)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오는 3월에 열릴 컴퓨터 구조 최우수 학술대회인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Performance Computer Architecture, HPCA, 2024’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해당 연구는 KAIST 교원창업 기업인 파네시아(http://panmnesia.com)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구실 웹사이트(http://camelab.org)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도록 관련 링크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Link]
 

 

윤영규 교수 연구실 한승재 박사과정 Neuroscience 2023 학술대회 Trainee Professional Development Award 와 AKN Outstanding Research Award 수상

 

1 1 

<한승재 박사과정 학생>   

 

2 1                                                     

<IBS/AKN Outstanding Research Award 시상식>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한승재 학생(지도교수 윤영규)이 Neuroscience 2023 학술대회에서 ‘Trainee Professional Development Award’와 ‘IBS/AKN Pre-doctoral Award’를 수상하였다.

Neuroscience 2023는 Society for Neuroscience에서 주관하는 학술대회로, 약 3만명의 공식 참가 인원의 규모로 11월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되었다.

 

Trainee Professional Development Award는 뇌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보인 학생들에게 주어지며, 수상자들은 별도의 포스터 세션을 통해 연구 내용을 발표하고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또한, 2,500달러의 장학금, 학회 등록비 면제, 그리고 기관에서 제공하는 워크샵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진다.

 

2023년 AKN Outstanding Research Award는 재미 한국인 신경과학회(Association of Korean Neuroscientists)에서 종합적인 뇌과학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수여하는 상으로, 그 중 pre-doctoral award는 총 5명의 박사과정 학생에게 수여되었다.

수상자들에게는 400달러의 상금과 상장이 수여되며, 한승재 학생은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의 후원을 받아 본 상을 수상하였다.

 

한승재 학생은 본 학회에서 2023년 10월 Nature Methods 저널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된 연구를 발표하였다 (논문명: Statistically unbiased prediction enables accurate denoising of voltage imaging data). 

이 연구는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형광현미경 영상에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실험 환경에서 이 방법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DSC2960 3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는 학부생들의 진솔한 진로/진학 고민 상담을 위해 2023학년도 봄학기부터 무엇EE든 물어보살 행사를 기획하였습니다.

11월 20일에 개최된 2023-6회 무엇EE든 물어보살 행사는 약 20여명의 학생들과 학부장님, 부학부장님 및 관련 교수님들을 모시고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특히 군 휴학 후 복학한 복학생들의 학업 관련 고민을 진솔하게 나눌 수 있는 기회여서 학생들에게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군 휴학 후 복학하여 어려운 고충과, 학부에 건의하고 싶은 사항에 대해서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무엇EE든 물어보살 행사는 내년에 더 알찬 구성으로 돌아오겠습니다.

DSC2914 DSC2920 DSC2938 1DSC2937 DSC2940 DSC2941 DSC2943 DSC2946 1DSC2947 DSC2948 DSC2950 DSC2952 DSC2955 DSC2958 DSC2959 DSC2961 DSC2962 DSC2963

 

1

전기및전자공학부 류승탁 교수 연구실 Kent Edrian Lozada 석박통합과정생, 2023 IEEE A-SSCC 학회 Distinguished Design Award 수상

 

Inline image 2023 11 16 10.56.00.123

 

전기및전자공학부 류승탁 교수 연구실의 Kent Edrian Lozada 박사과정생이 2023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A-SSCC) Student Design Contest에서 Distinguished Design Award를 수상하였다.
A-SSCC 는 IEEE에서 매년 개최하는 국제 학회이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1월 5일부터 8일까지 중국 하이난에서 개최되었다.
 
Kent Edrian Lozada, 이동훈 학생이 “A 25kHz-BW 97.4dB-SNDR 100.2dB-DR 3rd-order SAR-Assisted CT DSM with 1-0 MASH and DNC” 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학회명 : 2023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A-SSCC)
-개최기간 : 2023년 11월 5일 ~ 8일
-수상명 : Distinguished Design Award
-저자 : Kent Edrian Lozada*, 이동훈* (*공동 1저자), 김예담, 김호진, 조영재, 마이클 최, 류승탁 (지도교수)
-논문명 : A 25kHz-BW 97.4dB-SNDR 100.2dB-DR 3rd-order SAR-Assisted CT DSM with 1-0 MASH and DNC

공지사항

MORE

학부일정

세미나

[전기및전자공학부
전임교원 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