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학부 김현식 교수 연구실 박사과정 임규완, 강경구 학생 대한민국반도체설계대전 국무총리상 수상

캡처
 
 [김현식교수, 임규완 박사과정, 강경구 박사과정,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김현식 교수 연구실(연구실명: 회로설계 연구실, Circuit Lab)에서 ‘제23회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대전’의 국무총리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제23회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반도체 설계 전문 공모전으로, 반도체 설계분야 대학(원)생들의 설계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무총리상 수상자는 김현식 교수 연구실의 임규완 박사과정, 강경구 박사과정 학생으로  고해상도와 고균일도(uniformity)를 초저면적 칩크기로 구현한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드라이버(Display driver IC, 이상 DDI)를 개발해 국무총리상에 선정됐다.
 
DDI 칩은 디스플레이 구동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써, 디지털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digital-to-analog conversion, DAC)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기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해상도를 높이는데 따른 균일도와 칩면적증가의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했다.
 
이번 김현식 교수 연구실 학생들이 개발한 DDI 칩은 채널 내 DAC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전압 MOSFET대신 저전압 MOSFET과 전압 증폭기로 구성하여 채널 내 DAC 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에 더하여 8비트 입력 전압에서 10비트 출력 전압을 생성해 낼 수 있는 독자적인 LSU 기술을 개발하여 채널 면적을 더욱 감소하였다.
 
또한, 전압 증폭기 및 DDI 칩 동작을 CMOS 공정의 변화에 둔감하게 설계하여 높은 균일도를 달성하였다. 
새로이 개발된 DDI 칩은 고해상도와 고균일도를 달성하면서도 칩 면적을 감소시켜 가격 경쟁력과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집적회로분야 최고권위의 국제학회 ISSCC 2022에서도 발표되었다.
 
 
1 제안하는 Display Driver 구조 및 사용 기술
[연구성과도]

EE학부 최유정 (유민수 교수 랩) 등, 2022 구글 PhD 펠로우 선정

캡처2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유정 박사과정, 이하연 박사과정]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최유정 학생(지도교수 유민수)과 전산학부 박사과정 이하연 학생(지도교수 황성주)이 ‘2022 구글 PhD 펠로우’에 선정됐다.

구글 PhD 펠로우십은 컴퓨터과학과 관련된 유망 연구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대학원생을 지원하는 장학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전 세계에서 61명이 선발됐다. 선정된 펠로우에게는 1만 달러의 장학금과 구글 각 분야 전문가 멘토와의 일대일 연구 토의, 피드백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최유정 학생은 시스템 및 네트워크(Systems and Networking) 분야에서 펠로우로 선정됐다. 최유정 학생은 머신러닝을 위한 컴퓨터 구조 및 시스템 설계 분야의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선정됐다. 이하연 학생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분야에서 신경망 구조 탐색(Neural Architecture Search)과 메타학습(Meta-learning) 분야의 탁월한 연구성과들을 인정받아 선정되었다.

 

최유정 학생은 머신러닝의 추론을 위한 컴퓨터 구조 및 시스템 설계에 대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특히 다수의 머신러닝 모델을 동시에 처리하여 연산 효율을 높이는 가속기 설계를 최초로 제안하여 주목을 받았다. 또한, 머신러닝 서버 및 시스템에 최적화된 스케줄링과 자원 관리 방법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머신러닝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들은 HPCA, ASPLOS, DAC 등의 유수 컴퓨터 구조 분야 국제학술대회에 발표되었으며, 그의 연구는 매년 컴퓨터 구조 분야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선정하는 IEEE Micro Top Picks 2020에도 선정된 바가 있다.

 

3

< 그림 1. 최유정 박사과정 연구성과도: 유동적인 배칭을 적용한 머신러닝 추론 서버 >

 

이하연 학생은 메타 학습을 이용한 신경망 탐색 모델을 설계하여, 메타 학습과 신경망 탐색이라는 기계 학습의 주요 두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신경망 탐색이라는 대규모 작업에 메타 학습을 적용하여 메타 학습의 확장성을 보였으며, 메타지식을 이용하여 빠른 신경망 탐색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성과들은 NeurIPS, ICLR 등 기계학습 및 딥러닝 분야의 최고 학회에 다수 선정되었다. 

특히 5편 중 3편이 상위 5% 이내의 성적을 의미하는 스포트라이트 (spotlight), 1편이 상위 2% 이내의 성적을 의미하는 구두 (oral) 발표에 초청되었다. 또한 연구 인턴십을 통해 메타 (Meta) 연구진과 협력하여 효율적이며 고성능인 신경망 모델 탐색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4< 그림 2. 이하연 박사과정 연구성과도: 메타 학습을 이용한 빠른 신경망 탐색 모델 >

 

시상식은 COVID-19 상황으로 인해, 7월 27일부터 7월 28일 양일간 가상으로 열린 구글 PhD 펠로우십 서밋(Google PhD Fellowship Summit)에서 진행됐으며, 수상자 리스트는 구글 홈페이지에 게시돼 있다.(홈페이지 주소 : https://research.google/outreach/phd-fellowship/recipients)
 
 
학교 포털링크 :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3310

KAIST 최준일 교수,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최우수 이동체 전자공학 논문상(Best Vehicular Electronics Paper Award) 수상

캡처

[(왼쪽부터) KAIST 최준일 교수, 퀄컴 프리티 쿠마리(Preeti Kumari) 박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 누리아 프렐식 (Nuria Prelcic) 교수, 같은대학 로버트 히스(Robert Heath) 교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가 2022년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이동체공학 학술회(Vehicular Technology Society)의 최우수 이동체 전자공학 논문상 (Best Vehicular Electronics Paper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이번 IEEE VTS 최우수 논문상 수상으로 최준일 교수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의 39개 모든 학술회 전체에서 IEEE 저널 최우수 논문상을 4회 이상 받은 유일한 한국인이 되었다. 
 
최준일 교수는 2015년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신호처리 학술회(Signal Processing Society)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2019년 국제전기전자공학회 통신 학술회(Communications Society)에서 최우수 논문상인 스테판 오 라이스 상(Stephen O. Rice Prize)을, 그리고 2021년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이동체공학 학술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인 닐 세퍼드 상(Neal Shepherd Memorial Best Propagation Award)을 수상한 바 있다.
 
최준일 교수는 “선도적으로 수행한 차량 간 통신 환경에서의 밀리미터파 통신-레이더 시스템 융합 연구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매우 기쁘고, 한국인 최초로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저널 논문상을 4번이나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시상식은 9월에 열리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이동체공학 학술회 최대 학회인 이동체공학 학술회의(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국제전기전자공학회 VTC2022 가을 학회 홈페이지와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이동체공학 학술회 뉴스레터에 수상 소식이 게시되며, 수상자 리스트는 영구적으로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이동체공학 학술회 홈페이지에 게시된다.
 
(관련 상세 내용은 붙임 홍보자료 참고)
 
image01

[연구 성과 설명도, 밀리미터파를 사용한 자동차 통신-레이더 융합 시스템]

 

EE학부, 박선의 박사과정(최재혁교수랩), 삼성전자 산학협력 우수논문상 중 최우수상 수상

[연구팀사진, 박선의, 신유환, 이정현, 최재혁 교수, 왼쪽부터]
 

최재혁 교수 연구팀 (연구실명: ICSL)에서 회로의 집적도를 높이는 데 용이한 링 오실레이터를 기반으로, 8 GHz 이상의 높은 주파수에서 100 fs 이하의 매우 뛰어난 지터 성능을 갖는 클락 생성기를 개발하였다

본래 링 오실레이터 기반의 클락 생성기는 LC 오실레이터 기반의 클락 생성기에 비해 그 노이즈 성능이 좋지 않아, injection-locked clock multiplier (ILCM)과 같이 매우 뛰어난 노이즈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이 ILCM 구조는 주파수 체배수가 낮아 높은 출력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생성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파워게이팅 인젝션 기법을 이용하여 해결하여, 8 GHz 이상의 출력 주파수와 68 이상의 주파수 체배수를 갖는 ILCM 구조 (PG-ILCM)를 개발함으로써대부분 5 GHz 이하의 출력 주파수와 20 이하의 주파수 체배수를 갖는 기존 ILCM 구조와 비교하여 그 출력 주파수와 주파수 체배수를 크게 증가시켰다.

 

dataURItoBlob

[연구성과도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PG-ILCM 동작 컨셉도]

 

해당 연구는 그 우수성을 입증받아 삼성전자 산학협력 우수논문상중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2022년 2월에는 ISSCC 2022 학회에서 발표된 바 있다. 

 

[수상식 사진, 오른쪽 박선의학생]
 

EE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 항상 일정한 입출력 지연시간을 가지는 키벨류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SSD 프레임워크 세계 최초 개발 성

2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 권미령 박사과정, 이승준 통합과정, 최현규 박사과정>

 

정명수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PLM SSD 기반, 키밸류 (KV) 저장장치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SSD 프레임워크를 삼성과 공동 개발에 성공하고 기존 데이터센터향 저장장치 및 스토리지 스택에 비해 항상 일정한 입출력 지연시간을 보장함으로서 페이스북/야후등의 사용자 워크로드에서 탁월한 성능향상을 보였다.

 

정명수 교수님 연구팀은 일정한 읽기 지연시간을 제공하는 NVMe에서 제시된 새로운 예측 지연 모드(Predictable Latency Mode, PLM) 인터페이스를 실제 데이터센터향 SSD 하드웨어 적용하여 긴 꼬리 지연시간을 제거한 로그 기반의 통합 키밸류 저장장치(Log-Structured Merge Key-Value Stores, LSM KV Store)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Vigil-KV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 데이터센터의 LSM KV Store 대비, 3.19배 빠른 꼬리 지연시간 및 34% 빠른 평균 지연시간을 자랑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인 LSM KV Store는 다양한 응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어, 사용자 읽기 경험을 저하하지 않도록 특정 시간 안에 사용자 요청을 처리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SD 내부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읽기 서비스와 관련된 결정적 (Deterministic) 모드에서 일정한 읽기 지연시간을 보장하는 PLM SSD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Vigil-KV 하드웨어는 여러 개의 PLM SSD를 연결해주는 PLM SSD 배열장치(RAID)로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내부에 결정적 모드 SSD가 항상 존재하도록 하여 SSD 내부 작업을 없앤다. 또한, Vigil-KV 소프트웨어는 LSM KV Store 내부 동작으로 인해 결정적 모드가 해제되지 않도록 통합/완전저장(Compaction/Flush) 연산과 같은 LSM KV Store 동작과 사용자 요청을 스케줄링하였다.

 

연구팀이 제안한 연구성과 중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세계 최초로 실제 SSD에서 PLM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고, LSM KV Store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일정한 읽기 지연시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Linux 4.19.91 및 RocksDB 6.23.0을 사용하여 Vigil-KV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고, 1.92TB 데이터센터향 NVMe SSD에서 Vigil-KV 하드웨어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

 

권미령, 이승준, 최현규 박사과정생들이 참여한 이번 논문은 이번 논문은 미국 칼스배드에서 지난 7월 11일에 열린 시스템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2022 유즈닉스 연례학술대회(USENIX Annual Technical Conference, ATC)에서 논문명(Vigil-KV: Hardware-Software Co-Design to Integrate Strong Latency Determinism into Log-Structured Merge Key-Value Stores)으로 발표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페이스북/야후의 사용자 입출력 실험에서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고 삼성전자 산학협력 우수논문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최재혁 교수님 회로 연구와 공동 수상).

해당 연구는 삼성전자 전략산학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해당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구실 웹사이트(http://camelab.org)에서 확인하실 수 있다.

 

noname01

<삼성전자 우수논문상 최우수상을 수상 중인 권미령 박사과정생>

 

noname02

<수상 발표>

 

noname022

<연구 내용을 발표 중인 권미령 박사과정생>

 

noname03

<LSM KV store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noname04

<평가 결과>

 

EE학부 박사과정 이동균 (유승협교수님랩) 2022 APC 학회 Student paper Prize 수상

캡처

[이동균학생, 유승협교수 사진, 왼쪽부터]

 

올해 7월에 열린 2022 Advanced Photonics Congress 학회에서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이동균 학생이 Congress Student Paper Prize를 수상하였다.

이동균학생이 수상한 당 학회는 전자공학 분야에서 전세계 유수의 교수 및 대학원생들이 모여 optical materials, optical signal processing, optical communications 및 integrated optics 분야에 대한 연구를 공유하고 발표하는 학회이다.

본 연구는 초박막 PI 및 elastomer array를 이용하여, 기계-광학적 측면에서의 엄밀한 분석을 토대로 신축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랫폼에서 지속적으로 bottleneck이 되어오던 면적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고,

The Optical Devices and Materials for Solar Energy and Solid-state Lighting (PVLED) committee chair에 의해 2022 Advanced Photonics Congress Student Paper Prize로 선정되었다. 

 

EE학부 이가영교수 한국그래핀학회 신진학술상 수상

사진

[이가영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이가영교수가 한국그래핀학회에서 개최하는 제9회 한국그래핀·2차원소재 심포지엄에서 신진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신진학술상은 우리나라 그래핀 및 2차원 소재분야 발전에 기여한 40세 이하 연구자를 표창하기 위한 상이다. 
이가영 교수는 신진학술상의 부상인 상패와 상금 100만원을 수여받았다.
 
 
767 12
[수상식 행사사진, 학회장 안종현교수, 이가영교수, 왼쪽부터 ]
 

2022 한국센서학회 추계학술대회 정재웅교수 연구실 이시목(박사과정) 최우수 발표 논문상 수상

dataURItoBlob 2dataURItoBlob

[정재웅교수박사과정 이시목왼쪽부터]
 

정재웅 교수 연구실의 이시목 박사과정생이 2022 한국센서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발표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한국센서학회 추계학술대회는 매년 봄, 가을 개최하는 학회이며,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8월 24일부터 26일까지 여수에서 개최되었다. 

이시목 박사과정생은 “Adaptive Electronic Skin with High Sensitivity and Large Bandwidth based on Gallium Microdroplet-Elastomer Composite” 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회명: 2022 한국센서학회 추계학술대회

 

-개최기간: 2022년 8월 24일 ~ 26일

 

-수상명: 최우수 발표 논문상

 

-저자: 이시목, 변상혁, 정재웅 (지도교수)

 

-논문명: Adaptive Electronic Skin with High Sensitivity and Large Bandwidth based on Gallium Microdroplet-Elastomer Composite

 

dataURItoBlob 1

 [수상식 사진한국센서학회 행사관계자이시목학생왼쪽부터]

KAIST EE학부 유민수 교수팀, 세계 최초 개인정보 보호 적용된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캡처

[유민수교수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유민수 교수 연구팀이 `차등 프라이버시 기술이 적용된 인공지능(AI) 어플리케이션(Differentially private machine learning)’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인공지능 반도체를 개발했다.
유민수 교수 연구팀은 차등 프라이버시 기술의 성능 병목 구간을 분석해 해당 기술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시킬 수 있는 `차등 프라이버시 머신러닝을 위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칩’을 개발한 것이다.
유 교수팀이 개발한 인공지능 반도체는 외적 기반 연산기와 덧셈기 트리 기반의 후처리 연산기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공지능 프로세서인 구글 TPUv3 대비 차등 프라이버시 인공지능 학습 과정을 3.6 배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고,
엔비디아의 최신 GPU A100 대비 10배 적은 자원으로 대등한 성능을 낼 수 있다.
 
4명 캡처
 
[(왼쪽부터) 공동 제1 저자 박범식, 황랑기 연구원, 공동 저자 윤동호, 최윤혁 연구원]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범식, 황랑기 연구원이 공동 제1 저자로, 윤동호, 최윤혁 연구원이 공동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현지시간 오는 10월 1일부터 5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컴퓨터 구조 분야 최우수 국제 학술대회인 `55th IEEE/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croarchitecture(MICRO 2022)’에서 발표(논문명 : DiVa: An Accelerator for Differentially Private Machine Learning)될 예정이다.
 
캡처
 
[연구성과도 : ‘개인정보 보호 인공지능 AI 반도체 가속기’의 구조 모식도]
 
유민수교수의 당회 성과는 인공지능신문을 비롯한 주요언론에 소개 되었다.
 
관련 링크 :
인공지능신문 :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435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01116072400063?input=1195m
파이낸셜 뉴스 : https://www.fnnews.com/news/202208212349474072
동아사이언스 :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5893
Industry News :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829

EE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 세계최초로 차세대 CXL2.0 메모리 확장 플랫폼 개발

캡처

[정명수교수, 국동현박사과정,권미령박사과정,왼쪽부터]
 
정명수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자유롭게 확장되며 직접 접근 가능한 고성능의 차세대 인터페이스 컴퓨터 익스프레스 링크(CXL) 2.0 기반의 메모리 확장 플랫폼 다이렉트CXL (이하 DirectCXL)을 개발하였다.
 
정명수 교수 연구팀은 산업체/학계 최초로 CXL 하드웨어 시제품을 제작하고, 운영체제로 작동하는 단대단(End-to-End) 플랫폼을 구성하여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데이터센터 응용을 시연하였다. 국내외 소수 대기업에서 메모리 장치 일부 단품에 대한 구성을 보여준 사례는 있지만, 전체 플랫폼을 구성하고 동작시켜 응용을 시연한 것은 정명수 교수 연구팀이 처음이다. DirectCXL 플랫폼은 기존 메모리 확장 플랫폼 대비 메모리 용량을 대폭 늘리면서 데이터센터 응용의 최대 3배 빠른 실행속도를 자랑한다.
 
데이터센터에서 주로 사용되던 기존 메모리 확장방식인 RDMA기반 메모리 확장은 CPU와 메모리로 이루어진 메모리 노드의 추가를 통해 시스템의 메모리 크기를 늘릴 수 있었지만, 성능 저하 및 추가적인 비용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 등장한 CXL 프로토콜은 PCI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CPU와 장치 간 연결을 지원하며 높은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하지만,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의 방향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메모리 업계와 학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팀은 CXL2.0을 통한 메모리 확장 연구의 초석과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메모리를 확장해 줄 장치인 ‘CXL 메모리 장치’와 ‘호스트 CXL 프로세서’, 여러 호스트를 다수의 CXL 메모리 장치에 연결해주는 ‘CXL 네트워크 스위치’ 그리고 메모리 확장 플랫폼 전반을 제어할 리눅스 운영체제 기반의 ‘CXL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기술들을 통해 DirectCXL은 메모리 이외 컴퓨팅 자원의 추가비용 지불 없이 자유롭게 컴퓨터의 메모리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DirectCXL은 기존 메모리 확장방식보다 효율적인 메모리 확장이 가능하며, 대규모 데이터를 이용하는 응용의 실행 시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어 데이터센터나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칼스배드에서 지난 7월 11에 열린 시스템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유즈닉스 연례 회의 ‘USENIX Annual Technical Conference, 2022’에 ‘DirectCXL’이라는 논문명(Direct Access, High-performance Memory Disaggregation with DirectCXL)으로 발표되었다. 
 
이외에도 미국 산호세에서 8월 2/3일에 열리는 플래시 메모리 정상회담(Flash Memory Summit)에서 CXL 컨소시움이 이끄는 CXL포럼에 발표될 예정이며 메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UK 탑 테크놀로지 기사인 The Next Platform에도 소개 되었다.
(https://www.nextplatform.com/2022/07/18/kaist-shows-off-directcxl-disaggregated-memory-prototype/).
 
‘DirectCXL’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구실 웹사이트(http://camelab.org/)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메타(페이스북) 추천시스템 기계학습 데이터 가속에 대한 시연 영상을 연구실 유튜브(https://youtu.be/jm8k-JM0qbM)에서 확인하실 수 있다.
 
 
 
 
1image01

[연구성과도 1. DirectCXL 플랫폼의 개요 및 CXL1.1과 CXL2.0의 차이]

 
더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도록 관련 링크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Link]
 
네이버/ZDNet(지디넷):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264153?sid=105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0801000168
디지털타임즈: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2080102109931650003&ref=naver
파이넨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208011051322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