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익 교수 연구실 학생팀 2017 삼성화재 머신러닝 챌린지 최우수상 수상

우리 학부 김창익 교수 연구실 참가팀(은현준, 김종희, 김진수 학생)이 삼성화재에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최한 2017 삼성화재 머신러닝 챌린지에서 1위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본 대회는 도로 표지판에서 한글을 검출 및 인식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인식 정확도 및 속도를 겨루는 대회로, 최우수상은 참가한 60팀 중에 가장 높은 정확도와 가장 빠른 속도를 달성한 KAIST CIL팀에, 우수상과 장려상은 각각 고려대, 서울대에 수여되었습니다.

 

대회 과제: 각 참가자/팀은 본 과제용으로 제공되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내 한글을 인식하고 추출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제출. 주최 측은 비공개 테스트 데이터 1만장에 대하여 제출된 모델의 인식률 및 속도를 평가

참가자격: 대학원생 (국내 대학 석사/박사과정 재학 중인 대한민국 국민 혹은 재외동포)

일정: 2017.05.12~2017.11.09

주최: 삼성화재

운영: 삼성화재 인터넷U&A센터 – Analytics Lab

수상: 최우수상 (1000만원)

 

<관련 Link>

http://alab.samsungfire.com/contest02.html

김종환 교수 연구실 조상현 석사과정, 이원형 박사 IEEE SMC Best Student Paper Award 수상

우리 학부 김종환 교수 연구실 조상현 석사과정 학생과 이원형 박사가 10/5~10/8 캐나다 Banff에서 열린 IEEE Int’l Conf.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SMC) 학회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수상한 논문은 “Implementation of Human-Robot VQA Interaction System With Dynamic Memory Networks” 입니다.

최양규 교수 연구실 배학열 학생과 최성율 교수 연구실 장병철 학생 공동 연구 Nano Letters 게재

우리 학부 최양규 교수 연구실 배학열 박사과정 학생과 최성율 교수 연구실 장병철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으로 개발한 멤리스터 기반 직물형 비휘발성 로직 컴퓨팅회로 제작에 관한 연구가 Nano Letters에 게재되었습니다.

의류를 제작하는 실에 수십나노의 금속층과 절연막층을 코팅하고, 격자로 구성하여 직물형 멤리스터 소자를 제작하였습니다. 

이 직물형 멤리스터 소자는 뛰어난 유연성을 갖추었고, 웨어러블 전자 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기존 폰 노이만 컴퓨팅 방식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대기 전력 (static power) 소모를 0 W에 가깝게 하여, 저전력 웨어러블 소자로써 응용가치가 큰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저널 : Nano Letters

    논문명 : Functional Circuitry on Commercial Fabric via Textile-Compatible Nanoscale Film Coating Process for Fibertronics       

    저자 : 배학열 박사과정 (최양규 교수 연구실), 장병철 박사과정 (최성율 교수 연구실)

    논문 Link : http://pubs.acs.org/doi/abs/10.1021/acs.nanolett.7b03435

EmbedImage?ukey=59ca2f553fd8d143194d34ea&depth=0&mindex=0&aindex=0&dirkey=Inbox junho son

최양규 교수 연구실 배학열 박사과정 학생 SK하이닉스 반도체 공모전 우수상

우리 학부 최양규 교수님 연구실 박사과정 배학열 학생 (4년차)이 SK하이닉스에서 주관하는 ‘2017 SK하이닉스 반도체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 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 공모전은 올 해 1회로 처음 시행되었으며, 본상은 모두 최우수상 1건, 우수상 2건, 장려상 3건이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공모전에서 배학열 박사과정 학생은 DRAM 스케일링 한계 극복을 위해 기존의 DRAM대비 더 높은 집적도와 향상된 메모리 특성을 갖는 새로운 cell 및 array구조를 제안하여 선정되었습니다.

시상식은 올 해 10월 11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SK하이닉스 CEO 및 미래기술 연구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될 예정입니다.

최경철 교수 연구실 권정현 박사과정 IMID2017 동상 수상

최경철 교수님 연구실의 권정현 학생(박사과정)이 부산에서 개최된 제 17회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2017에서 Best paper (Bronze)를 수상하였습니다.

IMID 학회는 미국의 SID, 일본의 IDW와 함께 세계 3대 디스플레이 학회 중의 하나로, 한국정보디스플레이 학회가 주관하여 개최하고 있습니다.

본 학회에서, ‘Highly Flexible and Reliable Gas Diffusion Barrier based on Nanolaminate Structure’ 논문으로 상패와 상금 100만원을 수상하였습니다.

 

논문제목: Highly Flexible and Reliable Gas Diffusion Barrier based on Nanolaminate Structure

저자: Jeonghyun Kwon(Ph.D course), KyungCheol Choi(advisor Prof.)

학회: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7

일정: 2017.8.29 – 8.31

 

논문 소개

본 논문에서는 투명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봉지막으로써 ALD 증착기술을 활용하여 angstrom 수준의 박막 두께 제어를 통해 기능 및 구조적으로 봉지막의 특성이 매우 향상된 초박막 형태의 나노구조로 제작하여 배리어 기능, 기계적 및 환경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안하였습니다.

유승협 교수 연구실 이승원 박사, 김성연 박사과정생 IMID 2017 수상

부산에서 8.28-31 개최된 제17회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에서 유승협 교수 연구실의 이승원 박사가 UDC Award*(상금 1500만원)를 동 연구실 문한얼 박사, 윤정후 박사과정과 공동 수상하였고,

김성연 박사과정 학생이 Young Leaders Conference 최우수 강연상을 각각 수상하였습니다.

 

* UDC Award 는, 미 프린스턴 대학과 USC 대학에서 벤처로 출범하여, 거의 모든 OLED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인광재료를 개발 공급하는 Universal Display Corp. 이, 유기전자 분야의 혁신적 연구성과에 대해 수여하는 상으로서,

올해 첫 제정되었으며 본 학부 유승협 교수 연구팀과 성균관대 이준엽 교수 연구팀이 각각 수상하였습니다.

EmbedImage?ukey=59bf5be23fdd7d51f67285a0&depth=0&mindex=0&aindex=0&dirkey=Inbox junho son

EmbedImage?ukey=59bf5be23fdd7d51f67285a0&depth=0&mindex=0&aindex=1&dirkey=Inbox junho son

Ph.D. Candidate Mi Kyung Kim (advisor Prof. Hyunjoo Jenny Lee) has been selected as an 2017 EMBS Geographic Finalist

Ph.D. Candidate Mi Kyung Kim (advisor Prof. Hyunjoo Jenny Lee) has been selected as an Geographic Finalist at IEEE EMBS(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the world’s largest biomedical engineering conference.

Geopgrahic Finalist and Open Finalist are selected up to 15 people and she has been selected as an Geographic Finalist (Asia-Pacific).

  • Conference: 39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 Date: 2017.07.11 – 2017.07.15
  • Venue: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Jeju Island, Korea
  • Award: Geographic Finalist
  • Title: Implantable Bladder Volume Sensor based on Resistor Ladder Network composed of Conductive Hydrogel Composite
  • Authors: Mi Kyung Kim, Hyojung Kim, Yeon Su Jung, Kenana M. A. Adem, Sarah S. Bawazir, Cesare Stefanini, Hyunjoo J. Lee*

김미경박사과정

이현주 교수 연구실 김미경 박사과정 2017 EMBS Geographic Finalist 선정

김미경 박사과정(지도교수: 이현주) 학생이 IEEE 산하의 EMBS 학회에서 Geographic Finalist로 선정되어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IEEE EMBS(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학회는 생명의학공학분야 세계 최대 학회로

Geographic Finalist와 Open Finalist로 총 15명을 선발하는데 그 중 Geographic Finalist (Asia-Pacific)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학회: 39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 일시: 2017.07.11 – 2017.07.15
  • 장소: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Jeju Island, Korea
  • 수상: Geographic Finalist
  • 논문명: Implantable Bladder Volume Sensor based on Resistor Ladder Network composed of Conductive Hydrogel Composite
  • 저자: Mi Kyung Kim, Hyojung Kim, Yeon Su Jung, Kenana M. A. Adem, Sarah S. Bawazir, Cesare Stefanini, Hyunjoo J. Lee*

김미경박사과정

Prof.Han's paper accepted by ACM SIGCOMM 2017

Professor Han Dongsoo’s research paper will be published on August 24 at ACM SIGCOMM, the top tier academic

society in computer networking. This paper is the only paper accepted by ACM SIGCOMM 2017 written by Korean

author. ACM SIGCOMM accepts 30-35 papers every year, and 36 of 250 papers were accepted in 2017, resulting

in a 14.4% acception rate ACM SIGCOMM has been a top conference for the last 30 years as flagship conference

of ACM Special Interest Group on Data Communication (SIGCOMM). There have been only 4 papers from Korean

institute (1st author) in 1986, 2010, 2013, 2017, all of them are from KAIST and two of them are from Prof. Han. 

In this paper, authors introduced a new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with bounded delay in a large data center

network, and showed its effectiveness theoretically and through large-scale simulation in a testbed using general

-purpose servers and switches 

As Datacenter’s low-latency issue becomes a hot topic, this paper attracts a great deal of interest from academics

as well as companies operating large datacenter such as Google and Huawei.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Dr. Jang Gun, who is from KAIST and currently working at Google. Jo Inho, the first author of the

paper, is doing internship at Google for 6 months as a master ‘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한동수 교수 연구 ACM SIGCOMM 2017 채택 발표

한동수 교수 연구 논문이 Computer Networking 분야 최고학회인 ACM SIGCOMM에 accept되어 8월 24일 발표됩니다. 올해 한국 기관으로는 유일한 논문입니다.

ACM SIGCOMM은 매년 30-35편의 논문을 채택하는데 2017년에는 250편중 36편이 채택되어 논문 채택률이 14.4%로 나타났습니다. ACM SIGCOMM은 ACM Special Interest Group on Data Communication (SIGCOMM)의 flagship conference로 지난 30년간 top conference의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지난 30년간 제 1저자 기준으로 한국 소속 기관으로 채택된 논문은 총 4편 (1986, 2010, 2013, 2017년)으로, 4편 모두 KAIST논문이며 그중 2편이 한동수 교수랩에서 나온 논문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큰 규모의 data center 네트워크에서 패킷의 delay를 최소화 하면서 최대값을 제한한 (bounded delay) 새로운 혼잡제어 (congestion control) 메커니즘을 소개하고, analysis를 통한 증명, large-scale simulation, 실제 datacenter와 유사하게 범용 서버와 스위치를 사용한 testbed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효용성을 검증하였습니다. 

Datacenter의 저지연 문제가 화두가 되면서, 본 논문은 학계 뿐만 아니라 Google, 화웨이 등 큰 규모의 datacenter를 운영하는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KAIST 출신으로 현재 Google에 근무하고 있는 장건 박사와 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논문의 제 1저자 조인호 학생은 전기및전자공학부 석사과정으로 구글에서 6개월 간의 인턴 과정을 밟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