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ACADEMIC

학부과정

교과과정

EE.20016

전기전자공학 분야 중 기존 교과목 이외의 새로운 이론 및 응용분야 주제를 필요에 따라 다룬다.

권장과목

학생들이 리눅스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도구(예: Emacs, GCC, GDB, Git 및 UNIX 명령어)를 배우고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과목은 EE209 과목의 보조 실습 과목으로서 EE209 과목의 프로그래밍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권장과목
Circuit
EE.30003

본 교과목을 통하여 디지털 로직 회로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며, 디지털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념, 구성 요소와 동작을 이해한다.

권장과목
Circuit
EE.30004

먼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의 물리적인 구조와 기본 동작 원리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이로부터 등가회로 모델이 구성되는 것을 이해시킨다, 그리고 이들 소자들을 이용한 기본적인 정류회로, 소신호 증폭기 회로, 차동 증폭기에 초점을 맞추어 강의한다.

권장과목
Computer
EE.30012

워크스테이션, PC 등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기본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 표현 방법, 중앙처리장치(CPU)의 하드웨어 구조, 명령어의 형식과 종류, 어셈블러와 컴파일러의 처리 과정, Datapath와 Controller의 설계 방법, 성능 향상을 위한 파이프라인 기법, 메모리 계층구조와 캐쉬메모리, IO 주변장치의 동작 원리를 다루며, 고성능 컴퓨터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Communication
EE.30021

확률, 통계, 랜덤 프로세스에 관하여 간략히 배운 후, AM, FM, SSB, PLL, Mixer, ADC의 원리, 회로 및 통신회로의 잡음해석 방법을 공부한다. BPSK, FSK, QAM 등의 디지털 통신 방식에 관하여도 공부한다. 다중접속 시스템의 개요도 간략히 다룬다.

Computer ∣ Communication
EE.30023

본 과목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프로토콜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 속에 담긴 법칙과 실제적 예시를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가 어떻게 설계되고 구현되었는지를 공부한다. 그리고 이를 직접 체험해봄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보다 높이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 주제는 인터넷, 즉 인터넷의 동작 원리이다.

Computer ∣ Communication
EE.30024

본 과목은 분산 시스템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본 개념에서부터 실제 산업에서 쓰이는 분산 컴퓨팅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소개한다. 본 과목의 수강생들은 현대 사용되는 대규모 분산 시스템의 설계 원리와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원활하게 활용하게 하는 추상화 방법론과 실적용 사례를 학습한다.

권장과목
Communication
EE.30026

본 과목은 통신 엔지니어를 위한 정보이론의 기초를 소개한다. 과목에서 다루게 될 주요한 주제들은 1) 정보 및 소스의 측도, 2) 데이터 압축, 3) 채널 용량 및 오류 정정 부호, 4) 전송율 왜곡 이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