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ACADEMIC

학부과정

교과과정

Signal
EE.40069

이 강의에서는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지능”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본 수업에선 진화 과정을 통해 완성된 인간의 지능과 기계적 인공지능의 차이를 살펴보고, 동시에 인공지능 기술의 사회, 경제, 도덕적 문제들을 분석하고 논의한다.

권장과목
Device
EE.40073

본 교과에서는 반도체 이종구조체, 2차원 물질, 양자선, 양자점 등 양자 갇힘 전자 소자의 전자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다룬다.  기본 원리와 함께 실제 나노 전자 소자의 전기적 구동 특성 및 측정 결과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권장과목
Signal
EE.40074

본 코스는 학생들에게 텍스트, 그래픽, 소리, 비디오,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요소 및 멀티미디어 상호 작용 요소를 소개한다. 관련된 기초 기술을 소개함으로 학생들이 멀티미디어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상상력이 있고 창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권장과목
Signal
EE.40076

인간의 시각 및 청각계 정보처리 과정에 대한 인지과학적 계산모델 및 응용 예를 다룬다. 먼저 인간의 시각계와 청각계에서 일어나는 정보처리 메카니즘에 대한 인지과학적 지식을 설명하고, 단계적 특징추출, 두 귀와 두 눈을 이용한 공간지각, 선택적 주의집중, 시청각 융합 등 인공 시청각 시스템을 위한 계산모델을 다룬다.

권장과목

본 과목은 데이터베이스 및 빅데이터 시스템의 디자인 및 구현에 대해서 배운다. 전반부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디자인 및 활용하는 기법을 배운다. 후반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배우고 최근의 NoSQL NewSQL 시스템에 대해서도 배운다.

 
Computer
EE.40078

본 과목에서는 다양한 기술의 융합적 관점에서 최신 로봇 기술을 소개한다. 좌표변환, 항법, 제어, 운동계획 등 로봇의 기본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드론,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기술 동향 및 발전방향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Device
EE.40079

이 수업에서는 물리전자학 문맥에서 과학계산 및 데이터과학 접근법들을 소개한다. 먼저 상미분 및 편미분 방정식 풀이를 위한 다양한 수치해석 방법론들을 개관한다. 또한 현대적 수치해석 기법이란 관점에서 기계학습 방법론과 그 수학적 기초를 공부한다.

 

본 과목은 양자 논리를 바탕으로 양자통신 프로토콜과 양자 알고리즘에 대한 개념과 예시들을 제공하고 양자 ICT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자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과 구현 예시들을 소개한다.

 
권장과목
Signal
EE.40081

이 과목의 중요한 두개의 주제는 ‘Modern Control System’과 ‘Computational Intelligence’이다. 강의는 제어 이론에 대한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적용에 대한 것도 다룬다. 강의의 첫 번째 부분은 제어 시스템 설계를 위한 디지털 제어 이론에 대해 다룬다. 모르는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고려한 기본적인 시스템 검증 방법 또한 역시 다루게 될 것이다. 일단, modern control system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난 후에, 현재의 지능 제어 시스템에 대한 최근의 추세를 알아볼 것이다. “fuzzy logic”, “artificial neural network”, 그리고 “evolutionary computation”을 이용한 ”computational intelligence”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주어진 문제를 풀기위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한 과목 프로젝트가 주어질 것이다.

권장과목

전기 및 전자공학분야에서 중요하거나, 현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주제, 새로운 개념, 새로운 분야 등을 다룬다.

  • [2021봄학기]인공지능의 철학적 문제들(부제코드042)
  • [2021가을학기]반도체소자 양자고체물리(부제코드022)
  • [2021가을학기]MyEE 리더십(부제코드005)
  • [2022봄학기]강유전체 소자 및 메모리 응용(부제코드001)
  • [2022봄학기]로봇제어이론 기초(부제코드003)
  • [2022봄학기]암호 공학 개론(부제코드004)
  • [2022봄학기]기계 학습을 위한 하드웨어 가속(부제코드002)
  • [2022봄학기]인공지능 융합 캡스톤 디자인(부제코드041)
  • [2022가을학기]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이해 및 설계(부제코드032)
  • [2022가을학기]시각적 이해를 위한 심층 학습(부제코드031)
  • [2023봄학기]인공지능 융합 캡스톤 디자인(부제코드041)
  • [2023봄학기]강화학습개론(부제코드006)
  • [2023가을학기]시각적 이해를 위한 심층 학습(부제코드031)
  • [2023가을학기]집적광학개론(부제코드053)
  • [2023가을학기]현대 반도체소자 물리(부제코드058)
  • [2023가을학기]자율제어를 위한 패턴학습(부제코드043)
  • [2024봄학기]강유전체 소자 및 메모리 응용(부제코드001)
  • [2024봄학기]오디오 신호처리 입문(부제코드036)
  • [2024봄학기]전자공학을 위한 사이버 보안 개론(부제코드060)
  • [2024봄학기]Interactive Wearable Computing Lab(부제코드061)
  • [2024가을학기]집적광학개론(부제코드053)
  • [2024가을학기]시각적 이해를 위한 심층 학습(부제코드031)
  • [2024가을학기]초거대 양자컴퓨팅 모델과 공학응용(부제코드065)
  • [2025봄학기]암호 공학 개론(부제코드004)
  • [2025봄학기]로봇제어이론 기초(부제코드066)
  • [2025봄학기]인공지능 융합 캡스톤 디자인(부제코드041)
  • [2025봄학기]AI와 사이버심리전 및 인지 전략(부제코드067)
  • [2025봄학기]디스플레이소자공학(부제코드068)
  • [2025봄학기]강유전체 소자 및 메모리 응용(부제코드001)
  • [2025봄학기]사회과학의 수학적 기초(부제코드070)

 

권장과목